메뉴

세계보건기구, 중국 정부에 호흡기 질환 확산 정보 공식 요청

 

'사스에 이어 코로나19 악몽에, 이제는 폐렴까지?'

중국에서 이른바 '어린이 폐렴'으로 불리는 마이코플라스마(mycoplasma) 폐렴이 급속히 확산돼 글로벌 당국을 긴장시키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가 호흡기 질환 증가와 어린이 폐렴 집단 보고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중국에 공식 요청했다.

빠른 확산속도에 불안감이 커지자 세계보건기구(WHO)가 대응에 나선 것이다.

코로나19 팬데믹 초기에는 중국 정부의 늦장 대응이 문제가 됐었다. 미국에서는 중국 세균 연구소의 실수로 배양중이던 코로나 균이 유출됐고, 이에 전 세계적인 코로나 악몽이 시작됐다는 지적도 나온다. 물론 중국 당국은 '사실 무근의 음해'라는 입장이다. 

WHO는 22일(현지시간) 홈페이지 성명에서 국제보건규정(IHR) 메커니즘을 통해 중국 정부에 '추가 역학 및 임상 정보와 보고된 어린이 집단의 실험실 결과'를 요청했다고 밝혔다. 

또 인플루엔자, SARS-CoV-2, RSV 및 마이코플라스마 폐렴을 포함한 현재까지 알려진 병원체 확환의 최근 추세와 중국 의료 시스템의 대응 등에 대한 추가 정보를 요청했다

WHO는 중국과의 기존 기술 협력 시스템과 네트워크를 통해 임상의료진 및 과학자들과 접촉하고 있다면서 중국인들에게 호흡기 질환 감염 방지를 위해 예방 접종, 마스크 착용, 손씻기, 환기 등을 당부했다.

마이코플라스마 폐렴은 지난여름부터 중국에서 집단 발병했으며 겨울철로 접어들면서 더욱 기승을 부리고 있다.

중국 매체 보도에 따르면 저장성 취저우 3개 중점 병원에서 지난 9월 이후 지금까지 이 폐렴에 걸린 걸로 진단된 어린이가 작년보다 17.8배 급증할 정도로 확산 속도가 빠르다.

중국 보건당국은 지난 13일 기자회견을 통해 " 코로나19 방역 제한 조치와 맞물려 인플루엔자, 마이코플라스마 폐렴,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SV), 코로나바이러스(SARS-CoV-2)의 확산 등으로 호흡기 질환이 늘어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마이코플라스마 폐렴은 한국에서도 최근 4주간 입원환자가 2배로 늘어나는 등 어린이를 중심으로 확산되는 상황이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