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소비자물가지수(CPI) 2년 5개월 만에 마이너스로 전환

 

9일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중국의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월 대비 0.3% 하락했다.

소비자 물가가 하락하면 소비가 그만큼 부진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소비 부진은 결국 공급자의 공급의지를 꺾어 '소비침체, 공급침체, 경기침체'로 이어지는 악순환의 고리를 만든다.

중국 CPI가 전년 동월 대비 마이너스를 기록한 것은 코로나19 팬데믹 발생 직후인 2021년 2월(-0.2%) 이후 처음이다.

중국의 월간 CPI는 지난 1월 2.1%를 기록한 뒤 계속 하락 추세를 보이다가 6월에는 0.0%를 기록하며 마이너스 전환을 예고한 바 있다.

식품 물가가 1.7% 낮아져 하락세를 주도했다. 소비 규모가 큰 돼지고기 가격이 26.0%나 떨어진 것이 주요 배경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7월의 상품 물가는 1.3% 떨어졌고, 서비스 물가는 1.2% 상승했다.

비식품 물가 중 서비스 가격은 지난해 동월 대비 1.2% 상승했으며 상승폭이 지난달 대비 0.5포인트 확대됐다. '위드 코로나'의 영향으로 관광 관련 항목의 상승율이 높았다. 호텔 숙박비, 여행상품, 항공권, 영화/공연 티켓 가격이 각각 13.2%, 13.1%, 11.9%, 5.9% 상승했다.

한편 7월 생산자물가지수(PPI)는 전년 동월 대비 4.4% 낮아져 지난해 10월 이후 10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전월 -5.4%에 비해서는 낙폭을 줄였지만 시장 전망치인 -4.0%를 밑돌았다.

중국에서 CPI와 PPI가 모두 마이너스를 기록한 것은 2020년 11월 이후 처음이다.

블룸버그통신은 “소비자 물가와 생산자 물가의 동시 하락은 디플레이션 신호”라고 분석했다.

중국 당국은 꺼져가는 소비의지를 살리고자 농촌지역 가전제품 구매 보조금 등 20개 조치를 내놓았다.

하지만 시장의 반응은 싸늘하다. 일단 중국 당국의 조치에는 경기침체를 막겠다는 의지만 있지, 경기를 강제로 부양하겠다는 적극적인 조치는 없는 때문이다. 

과거 중국은 미국의 금융위기 직후 4조 위안의 대규모 부양책을 내놔 중국 스스로는 물론 글로벌 경기 침체까지 부양하는 효과를 봤다. 당시 "중국이 세계 경제를 구했다"는 말까지 나올 정도였다. 

하지만 그 뒤 각종 버블이 형성돼 부실화하는 부작용을 겪어야 했다. 중국 당국은 이 같은 부작용을 우려해 대규모 부양책을 내놓기 주저하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문제는 그러는 사이 경기 침체의 질병은 갈수록 악화하고 있다는 점이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