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1~2월 중국 서비스 아웃소싱 산업 계약액 2599억 위안, 10.3% 증가

 

'2599억 위안'

약 49조 원이다. 올 1~2월 중국 서비스 아웃소싱 계약액이다. 전년 동기 대비 10% 이상 늘어난 수치다.

서비스 아웃소싱은 한 회사가 영업 등 회사활동을 위해서 외부에 서비스를 의뢰한 계약이다. 외부 용역 계약인만큼 연간 고정비 지출 계약인 셈이다. 즉, 꼭 필요하다고 판단되지 않는 한 함부로 체결하지 않는 계약이다. 

그런데 이 계약이 연초부터 늘고 있다는 것은 그만큼 중국 회사들의 올해 대외 영업 활동의 규모가 증가하고 있다는 의미인 것이다. 

중국 상무부 서비스무역국이 올해 1~2월 중국 서비스 아웃소싱 산업 관련 데이터를 17일 발표했다.

데이터에 따르면 1~2월 중국 기업들의 서비스 아웃소싱 계약액은 2599억 위안(약 49조 원), 집행 금액은 1615억 위안(약 30조 원)으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0.3%, 10.6% 증가한 것이다. 그 중 해외 서비스 아웃소싱 계약액은 1313억 위안, 집행액은 902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3.1%, 23.7% 증가했다.

사업 구조 측면에서 살펴보면 해외 정보 기술 아웃소싱(ITO), 비즈니스 프로세스 아웃소싱(BPO), 지식 프로세스 아웃소싱(KPO) 집행액이 각각 381억 위안, 171억 위안, 350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5.5%, 16.6%, 25.4% 증가했다.

그 중 금융 백그라운드 서비스, 정보기술 솔루션 서비스, 전자상거래 플랫폼 서비스, 집적회로 및 전자회로 설계 서비스 등의 해외 서비스 아웃소싱이 빠르게 성장해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06.4%, 120.3%, 88.2%, 59.7% 증가했다.

국가별로 살펴보면 홍콩, 미국, EU의 대(對)중국 서비스 아웃소싱 집행액이 각각 229억 위안, 196억 위안, 112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45.8%, 26.8%, 10.7% 증가했으며 전체 집행액의 59.5%를 차지했다.

또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회원국의 대중국 서비스 아웃소싱 집행액은 212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25.0% 증가했으며 전체 집행액의 23.5%를 차지했다. 인도네시아와 싱가포르의 집행액이 전년 대비 각각 78.7%, 50.9% 증가하는 등 가파른 성장세를 보였다.

고용 측면에서 살펴보면 지난 2월 말 현재 중국의 서비스 아웃소싱 산업은 총 1507만 명을 고용하고 있으며 그 중 975만 명이 대졸 이상으로 64.7%를 차지했다. 1월부터 2월까지 서비스 아웃소싱 신규 채용 인원은 9만5000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32.9% 증가했으며, 이 중 대졸 이상은 8만9000명으로 92.9%를 차지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