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 연구개발 투자 기업 순위 50위에 중국 기업 4개 포함

 

연구개발(R&D)은 미래에 대한 투자다. 

기술의 시대, 기업은 물론 나라에서 연구개발보다 더 중요한 건 없다. 거의 모든 것을 걸고 새로운 기술, 보다 유용한 기술 확보에 투자해야 한다.

바로 기업의, 국가의 연구개발비다.

물론 여기에는 두 가지 난제가 있다. 하나는 국가적 개발 인프라다. 또 다른 하나는 연구를 수행한 인재 개발이다. 

이 두 가지 조건이 어떠냐에 따라 투입하는 연구개발비의 효용성이 달라진다. 바로 확보한 기술이 어느 정도냐에 따라 기업의, 나라의 생산성을 좌우하듯 말이다. 

그럼에도 핵심은 여전히 연구개발 투자의 규모다. 이게 클수록 자연히 연구개발 성과도 달라진다. 많이 투자할수록, 그 결과도 비례해 좋아진다.

최근 '2022 유럽연합(EU) 산업 연구개발 투자 스코어보드(The 2022 EU Industrial Research and Development Investment Scoreboard)‘가 발표됐다. 

이번 보고서는 연구개발(R&D) 투자 규모가 가장 큰 세계 2500개 기업을 분석했다. 이들 기업들의 지난해 연구개발 투자액은 9089억 유로(약 1218조 원)이며, 연구개발 투자 기업 순위 Top 10은 다음과 같다.

 

1위 알파벳(구글)

2위 메타(페이스북)

3위 마이크로소프트

4위 화웨이

5위 애플

6위 삼성전자

7위 폭스바겐

8위 인텔

9위 로슈

10위 존슨앤존슨

 

중국 화웨이는 지난해 연구개발에 190억 유로(약 25조4000억 원)를 투자해 4위를 차지했다. 2012년 43위에서 10년 만에 4위로 순위가 급상승한 것이다.

중국 기업은 50위권 안에 알리바바, 텐센트,  중국건축공정총공사(China State Construction Engineering Corp.) 등이 이름을 올렸다. 알리바바는 10년 만에 701위에서 17위로, 텐센트는 277위에서 18위로 순위가 올랐으며 중국건축공정총공사는 34위를  차지했다.

한편 이번 보고서에 따르면 바이오테크놀로지, 제약, 소프트웨어 등 부문의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으며 운송 및 에너지 생산 방면에서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으로 화석 연료의 전환이 가속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

더보기
고장난 주차타워...도심 주차난의 주범으로 등장 눈길
‘고장난 주차타워, 이걸 어째?’ 중국에서 한 때 인기를 끌었던 주차타워가 최근 도심 주차난 해소는커녕 오히려 주차난을 가중시키고 있어 논란이다. 타워가 오래되면서 기계 고장으로 멈춰섰거나, 자동차 크기가 변하면서 주차장이 작동을 해도 실제 이용할 수 있는 차량이 크게 줄어든 탓이다. 중국 매체에 따르면 중국 각 도시에서 기계식 입체 주차타워는 공간을 절약하고 도시 내 주차공간을 보완하는 데 일정 역할을 했지만, 일부 장비는 실제 사용에서 제대로 활용되지도, 철거되지도 못해 차량을 세울 수 없는 ‘좀비 주차장’으로 전락했다. 기계식 주차타워는 본래 한정된 토지 위에서 최대한 많은 주차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등장했다. 그러나 보도에서 지적했듯이, 현실에서는 다수의 기계식 주차타워가 ‘좀비 주차장’이 되었고, 많은 운전자들이 통로에라도 주차하려 하지, 기계식 주차타워에 주차하려 하지 않는 상황이 벌어졌다. 이는 분명 자원의 큰 낭비다. 기계식 주차공간은 대개 내연기관 차량을 기준으로 설계됐지만, 현재의 신에너지차량들은 대체로 크고 무거워 차량 소유자들이 ‘주차공간’만 바라보며 한숨짓는 상황이 벌어졌다. 물론 많은 내연기관 차량 소유자들 또한 기계식 주차공간을 피할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