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서 고양이를 애완용으로 기르고 사람가까이에 두었던 역사는 상당히 오래돼, 청나라 중기때문에 황가와 황족 등 상류층에서 애완용 고양이가 유행이었던 것으로 알려진다. 1 : 中国狸花猫 (중국 너구리 고양이) 중국 너구리 고양이는, 중국에서 천백 년 전부터 살아온 것으로 알려진다. 험난한 자연도태를 거치며 살아남은 중국 토종 고양이로, 미국 CFA(The Cat Fanciers’ Association, INC.)의 순종 인증을 받을 정도로 예전엔 매우 귀한 애완 고양였다. 요즘엔 그러나 너구리 고양이를 키우는 집도 많고 야생의 개체수도 매우 많이 늘어나 어디서나 볼 수 있고, 많은 사람이 신기해하지도 않은다. 이 중구 토종고양이는, 길러본 사람이 누구나 인정하듯이 지능이 매우 높을 뿐 아니라 성격이 온순하고 환경에 대한 적응력도 뛰어난데다, 체질도 좋아 쉽게 병에 걸리지 않다는 점에서, 많은 애호가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2 : 狮子猫 (사자 고양이) 중국 사자 고양이는 산둥성 일대에서 자생한 동부 중국의 토종고양이로 알려진다. 흰색 털을 가진 종이 많고 덩지도 큰 편이라고 알려진다. 모양이 아름답고, 성격도 온순하며, 질병에도 강한데다, 쥐잡이에 능숙해서,
지난달 10일 중국전국상공업연합회는 2020년 중국전체의 민영회사 500대 기업을 선정해 발표했다. 거대한 중국경제가운데 상당부분이 국영기업으로 운영되고 있기에, 중국경제 시스템을 파악하는데는 한국의 기업을 보는 시각과는 상당이 다른 안목을 가져야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 주식시장울 중심으로 운영되는 민영 대기업에 대한 관찰력 또한 매우 중요한 것이 사실이다. 한국의 중국과의 무역비중이 약 50%에 달하고 민간회사간의 교역과 교류 또한 긴밀히 확대되는 현실에 비추어, 우리가 중국의 민영기업들에 대한 이해도가 매우 부족한것도 사실이다. 이에 중국당국이 발표한 올해 중국민영 500개 기업들을 순위에 따라 자세히 소개한다. 생소한 중국어 이름이지만 중국의 민영대기업의 이름과 개요정도는 파악하면서 대중국과의 미래를 준비해야 할 것이다. 중국 민영 500대 기업 1위 : 화웨이 투자주식회사 정식이름은 회웨이기술공사(华为技术有限公司)이다. 1987년 본사가 광동성 선쩐시에서 시작해, 데이타통신기술( ICT)를 바탕으로 관련서비스업을 시작으로 컴퓨터, 통신기기등 관련기기생산을 본격화해, 2013년에는 당시 세계 제일의 통신기기회사인 에릭슨을 제치고 미 포츈지선정
중국에는 중국기업들의 총자산순위나 시장지배력에서의 순위와 그 내용을 전해주는 후룬리포트라는 중국기업전문 정보소식매체가 있다. 이 후룬리포트는 창업자인 후룬의 이름을 따 지은 것인데, 이 사람은 중국인이 아닌 룩셈부르크출신의 유럽인이다. 1970년생인 이 사람의 본명은 루퍼트 후거베르프 (Rupert Hoogewerf)이다. 이 사람은 1993년 영국의 더햄대학을 졸업하고 중국인민대학에 유학을 와 중국어를 배우고 상하이등의 영어권회사에 다니다가, 1999년 중국의 부자순위에 관한 소책자인 빠이푸빵 ( 百富榜 / 100대 부자) 을 출판하는 사업을 시작했다. 이 사업은, 많은 사람들이 관심있는 , " 누가 중국에서 최고부자야? 혹은 저 사람은 중국에서 몇 번째나 돈이 많은 가? " 등의 부자에 대한 선정적 관심에 편승해 사업적으로 자리를 잡았다. 그러다, 이 순위발표가 중국내 기업가들끼리의 경쟁심을 자극하고, 까십에 대한 일반 독자들의 선천적인 관심을 부추기면서 성장하면서, 중국에 대한 세계의 관심이 급증하기 시작한 2010년 전후부터 후룬 리포트라는 순위전문 브랜드의 이름을 얻기 시작했다. 이 후룬리포트가 오늘 12일 " 2020년 중국 국내 소비자들이 손꼽는
중국도시가운데 교통체증이 가장 심한 도시는 상하이시 인가 ? 아니면 베이징시 인가? 먼저 답하자면, 두 도시 다 아니다. 물론 두 도시는 등록차량대수가 가장 많은 도시로 1위 2위에 올라 있다. 그렇지만, 이 두도시의 도시계획과 도로율은 중국에서도 가장 우수한 수준이기에, 그리고 중국의 경제수도, 정치수도라는 이름값을 지키기 위해 신호등체계가 우수하고 교통경찰도 매우 많이 배치돼 있기에, 교통지옥 1위 2위는 면했다. 하지만 베이징은 2위는 아니지만, 불명예스럽게도 교통체증이 심한 중국의 도시 3위에 랭크돼 있다. 베이징이 세번째로 체증이 많은 이유는, 중앙집권정치상황으로 인해 중국의 각 부문의 브레인 집단의 많은 인구가 수도에 집중거주하고 있고, 또 그들의 월수입 수준이 상당히 높기 때문에 승용차를 소유할 수 있는 인구의 비율이 다른 도시에 비해 월등히 높기 때문인 것과 무관하지 않다. 그럼 중국의 교통체증이 심한 도시의 순위를 살펴본다. 1위. 충칭 ( 重庆, 중경) 여기서 잠깐 퀴즈... OECD국가인 한국은 다른 선진국들에 비해 1등에 오른 부문이 있다. 무엇일까 ? 바로 수도인 서울의 인구밀도가 다른 OECD 국가의 수도가운데 1위라는 것이다. 그것
중국의 도우인 (抖音) 영어명 틱톡은, 현재 세계인이 가장 많은 짧은 동영상을 올리고 보는 세계적인 애플리케이션이다. 미국 트럼프대통령이, 코로나19 국면에 이 도우인( 미국명 틱톡)이 미국 안보를 위협한다며 미국내 다운로드금지를 위협하며, 미국에서의 영업권을 자국기업에 넘기라고 압박하면서 더욱 유명해진 짧은 동영상(짤방) APP이다. 중국을 비롯해 전 세계 10대와 20대 초반의 소위 Z세대에게 폭발적인 인기를 얻고 있는 이 도우인은 현재 150개 국에서 75개 언어로 전송 서비스가 진행되고 있다. 전세계에서 약 15억명이 동영상을 올리거나 즐겨보고, 미국에서만 약 1억명 ( 전 인구 3억3천만명) 이 이용하고 있다. 중국에서는 이번 추석과 국경절연휴에 약 6억 3천만명의 국내여행객들 가운데 , 자신이 방문한 여행지에서 동영상을 찍어 도우인에 올리며 공유한 건수가 약 5억 건에 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5억 건 가운데 도우인에 가장 많이 올라온 중국의 대도시풍광 동영상들을, 도우인 ( 抖音, douyin) 측이 도시별로 순위를 매겨 발표했다. 이 동영상 순위로 보면, 도우인을 애용하는 중국의 젊은이들이 관광지로 가장 선호하는 도시의 인기도를 짐작할 수 있
중국의 2020년 추석과 국경절연휴가 8일로 늘어나면서 , 이 연휴기간동안 중국각지를 여행하는 국내관광객이 무려 6억명에 달할 것이라고 CCTV등 중국매체들이 전하고 있다. 바다를 찾는 여름 여행이 아닌 가을철 여행은 대부분 산을 찾아 단풍과 함께 기암절벽으로 이뤄진 산을 찾게 되는데, 중국 각지의 명산을 더욱 볼만하게 장식하는 것은 다름아닌 산속의 폭포의 장관일 것이다. 중국인들이 손꼽는 중국의 폭포들을 소개한다. 1위 황커슈 푸부 ( 黄果树 瀑布) 중국 서남부 궤이저우성 안슌시 ( 贵州省 安顺市)묘족자치현 ( 苗猪 自治县) 에 위치한다. 폭포의 높이는 78미터이고 넓이는 101미터에 달한다. 약 5만년 전에 형성된 폭포로 알려졌고, 세계 10대 폭포에 속하는 절경으로 손 꼽히고 있다. 2위 츠쉐이 다푸부 (赤水 大瀑布) 중국 중남부 궤이저우성 츠쉐이시 ( 贵州省 赤水市)의 창지앙 상류에 위치해 있다. 폭포의 높이는76미터 폭은 80미터에 이른다. 3위 루어지 지우스 지우 온천 폭포 (螺髻 九十九里 温泉瀑布) 중국 중서부 쓰촨성 량산 이주자치주 (四川省 凉山彝族自治州)에 위치해 있다. 세계에서 가장 큰 온천 폭포로 인증되기도 했다. 높이 40 미터에 넓이
중국영화관은 현재 추석국경절(10월 1일)을 기해 , 8일간의 1년 중 가장 긴 황금연휴를 맞고 있다. 영화관의 입장에 대한 규제도, 코로나19 방역성공으로 완전히 풀렸다고 보여진다. 가이드 라인이 좌석의 75%로 제한됐지만, 상황에 따라 신축적으로 운영되고 있다고 전해지며, 영화관내로의 음료수,팝콘 등 스낵류의 반입도 탄력적으로 적용되면서 완전한 정상에 버금가는 호황기를 회복한 것으로 전해진다. 10월 1일부터 8일까지 황금연휴가 있는 10월의 박스오피스는 9월 보다 훨씬 많을 전망이지만, 우선 지난 9월 한달 동안 중국 14억 인구가 찾은 스크린 순위 5위를 제목과 함께 포스터를 올린다. 1위: 빠바이 (八佰 / 팔백(용사)) : 9월 한 달 동안 박스오피스 10억 3천만 위안 (한화 환산 1,780 억원) 을 기록한 일본군과의 전쟁을 담은 중국 애국주의 대작 영화이다. 2위: 테넷 ( TENET ,信条) : 4.4억 위안 ( 한화환산 약 760 억원 )의 흥행 성적을 기록한 SF 영화로, 제3차 세계대전과 관련된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헐리웃 영화이다. 3위: 뮬란 (花木兰) : 2.7억 위안 (한화 환산 약 466 억원 )의 흥행성적을 기록했고, 중국
중국의 3D 프린팅 산업이 엄청난 속도로 빠르게 성장하면서, 각 성정부 유관기관에서는 중국내 관련산업 생산에서 우위를 점하려는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고 중국산업뉴스왕이 보도하고 있다. 산업뉴스왕이 전하는 전세계의 3D 프린팅 시장규모는, 올 2020년말에 220억 달러( 한화 환산 약 23조원 ) 를 넘어 설 것으로 예상된다. 이 와함께 중국의 건축 건설산업의 비약적인 수요팽창에 따라, 세계 여러나라 자본이 중국에 시설투자를 집중하면서, 중국내의 3D 프린팅 시장도 2020년말이면 50억 위안 ( 한화 약 9천억원) 을 초과할 것으로 보인다고 산업뉴스는 전했다. 현재 중국내 3D 프린팅 산업은 베이징시와 저장성등에서 빠른 성장속도를 보이고 있다. 1위: 베이징 : 3D 프린팅의 연구 개발 및 생산에 종사하는 기업은 70개가 넘고, 2018년 매출액은 6억 위안을 초과했다. 2위: 절강성 :2018년 영업 수익은 4억 1천만 위안에 도달했다. 3위: 후베이성 : 적층 제조( 3D 프린팅)와 관련된 수십 개의 회사와 R&D 기관이 있다. 4위: 광동성 : 3D 프린팅 사업에 종사하는 기업은 400개가 넘으며 여러 3D 프린팅 산업 단지가 있다. 5위: 산
중국뿐 아니라 전세계 스마트워치의 주요 소비층은 단연 30세 이하의 지우링호우( 90년대 이후 출생자)들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세계최대시장인 중국에서 판매되는 스마트워치의 종류는 자국산이 가장 많고 여기에 미국 한국산은 물론 유럽산 등 전 세계각국이 생산한 온갖 브랜드들이 상가와 인터넷쇼핑몰에 올라와 있으며, 그 가격은 300 위안에서 3,000 위안 ( 한화환산 약 5- 50만원 ) 사이지만, 유럽산중 소위 명품이라는 스마트워치는 7,000 위안에서 10,000 위안 ( 한화환산 약 170만원) 까지 다양한 가격대가 전개되있다. 스마트워치처럼 매니아가 있는 상품은, 나라에 따라 호불호의 브랜드 편차가 클 수 있기 때문에 , 일률적인 잣대로 선호도를 구별할 수가 없는 것이 사실이다. 그리고 판매순위에 관한 매우 많은 여러 정보가 존재하는데, 여기서는 만만마이 ( 慢慢买) 라는 중구의 전문웨이보가 2020년 수출과 내수를 위한 출고량을 기준으로 정리한 순위를 소개한다. 중국 14억명의 잠재적 소비군도 세계적인 추세에 영향을 받는 만큼, 향후 중국시장에서의 순위예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소비추세의 변화부터 보겠다. 1위 : 애플 (미국) 1위인 애플이 지난해보다
중국 pc브랜드 그리고 외국 수입브랜드가 중국공장에서 생산하는 PC를 중국산PC로 보고, 중국산 태블릿 PC중 중국소비자들에게 브랜드파워가 큰 탑 5를 소개한다. 출처 :중국 이디엔파이싱빵(一点排行榜) 1위 : Cube M5 10.1 인치 Android 태블릿 PC ( 酷比魔方M5 10.1英寸安卓平板电脑 ) 중국산 브랜드 태블릿pc 중 1 위를 차지하고 있다. 8인치 디스플레이를 갖추는 동시에 긴 배터리 수명 덕분에 사용자는 하루 종일 게임을 즐길 수있어 일상적인 사용 요구를 크게 충족한다. 2004년 선쩐시에서 설립돼 ,2006년에는 한국과 대만전자회사의 주문자생산방식 ( OEM)제품으로 MP3 MP4 등을 생산할 만큼 기술력이 신장됐고, 이후 CUBE 라는 자사 브랜드 완성품을 생산해 중국내국인들로부터 호평을 사고 있는 중국의 유망 전자회사. 2위 : 荣耀高配平板电脑 ( 롱야오 / HONOR) 16G의 대용량 메모리가 있어 사용자의 저장 공간 요구 사항을 완벽하게 충족한다. 동시에 9.6인치 화면은 사람들의 눈 사이의 시각적 거리를 유연하게 해주기 때문에 사람들의 시각적 피로도를 어느 정도 줄여준다. 3위 : VOORCA / Warrenka T10 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