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교통체증 가장 심한 도시는 상하이? 베이징?

 

중국도시가운데 교통체증이 가장 심한 도시는 상하이시 인가 ? 아니면 베이징시 인가? 

 

먼저 답하자면, 두 도시 다 아니다.

 

물론 두 도시는 등록차량대수가 가장 많은 도시로 1위 2위에 올라 있다.

 

그렇지만, 이 두도시의 도시계획과 도로율은 중국에서도 가장 우수한 수준이기에, 그리고 중국의 경제수도, 정치수도라는 이름값을 지키기 위해 신호등체계가 우수하고 교통경찰도 매우 많이 배치돼 있기에, 교통지옥 1위 2위는 면했다.

 

하지만 베이징은 2위는 아니지만, 불명예스럽게도 교통체증이 심한 중국의 도시 3위에 랭크돼 있다.

 

베이징이 세번째로 체증이 많은 이유는, 중앙집권정치상황으로 인해 중국의 각 부문의 브레인 집단의 많은 인구가 수도에 집중거주하고 있고, 또 그들의 월수입 수준이 상당히 높기 때문에 승용차를 소유할 수 있는 인구의 비율이 다른 도시에 비해 월등히 높기 때문인 것과 무관하지 않다.

 

그럼 중국의 교통체증이 심한 도시의 순위를 살펴본다.

 

1위. 충칭 ( 重庆, 중경)

 

 

 

여기서 잠깐 퀴즈...  

 

OECD국가인 한국은 다른 선진국들에 비해 1등에 오른 부문이 있다. 무엇일까 ?

 

바로 수도인 서울의 인구밀도가 다른 OECD 국가의 수도가운데 1위라는 것이다. 그것도 2위인영국 런던이 5,100명인데 비해 1위은 2위보다 3배나 높은 인구밀도로 압도적 1위에 올라 있다.

 

그런 서울의 인구밀도는 16,000명 /km² 이다.

 

그런데 중국 교통체증도시 1위인 충칭시의 도심중이 도심지역구인 위종취(渝中区) 의 인구밀도는 서울의 두 배에 가까운  27,395명/km²  를 기록하고 있다.

 

아마도 세계에서 가장 높은 이런 인구밀도만으로도 교통지옥 1위를 기록할 만한데, 더우기 이 위종취 (渝中区) 는 구 지역 전체가 전부 고도가 높은 산 동네로 이루어졌다. 

 

장강 즉 창지앙이 굽이쳐 감싸고 도는 그런 높은 지형으로, 이 위종취의 도로중 강변도로만 4차선이상의 도로이고 구 중심도시의 산악도로는 2차선이고 그 중 상당수는 또 일방통행으로 운용되고 있다.

 

이런 저런 지형적 특색에다, 소득증가로 인한 자가용구입인구가 날로 느는 설상가상의 상황으로 인해, 충칭시의 , 특히 위종취의 교통상황은 태생적으로 해결 될수 없는 숙명같은 교통지옥이 되어 있는 것이다.

 

2위 동북3성 북부 헤이룽지앙성 ( 黑龙江省)의 성도 하얼삔 (哈尔滨) 시.

 

3위 베이징 (北京) 

 

4위 동북3성 북부 지린성(吉林省)의 성도 창춘 (长春)시

 

5위 북부 네이멍구자치구( 内蒙古自治区)의 성도 후허하오터( 呼和浩特)시

 

6위 동북3성 북부 랴오닝성(辽宁省)의 항구도시 다렌(大连)시

 

7위 동부 샨동성 (山东省)의 성도 지난 (济南)시

 

8위 동북 3성 랴오닝성(辽宁省)의 성도 선양 (沈阳)시

 

9위 서북부 깐수성(甘肃省)의 성도 란저우( 兰州) 시

 

10위 서부 칭하이성(青海省)의 성도 시닝(西宁)시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