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23년 중국의 석유 및 천연가스 생산량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2023년은 우크라이나 전쟁이 계속되면서 러시아의 석유 수출에 대한 미국과 유럽의 제재가 이어져 글로벌 원유가(WTI 기준)가 배럴당 80~90달러를 오르내렸다. 여기에 연말 이스라엘과 하마스의 대한 전쟁으로 중동 불안이 가미돼 가격 변동폭을 더욱 키웠다. 이 같은 상황에서 중국은 자국 생산량을 늘려 글로벌 원자재 가격 변동에 대응했던 것으로 분석된다. 또 다른 한 편으로는 중국이 미국과 유럽의 제재로 가격이 급락한 러시아 원유를 인도와 함께 싸게 사들여 되팔아 큰 이익을 봤다고 전문가들은 추정하고 있다. 9일 중국 국가에너지국(国家能源局)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내 석유 및 천연가스 생산량은 약 3억 9000만t(석유로 환산한 수치)으로 7년 연속 1000만t 이상 성장세를 유지했다. 리우룽 국가에너지국 석유·천연가스 담당 국장은 "지난해 원유 생산량이 2억 800만t에 달해 전년 대비 300만t 이상 증가했다"며 "2018년과 비교하면 증가량이 1900만t에 달한다"고 밝혔다. 특히 "해상 원유 생산량이 6200만t을 초과해 주요 증가 원인이 됐다"며 "최근 4년 간 중
올해 중국 PC 시장이 점진적인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됐다. 글로벌 PC 시장은 공급 포화로 성숙기에 접어든 산업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글로벌 반도체 시장도 이에 PC에서 산업용 반도체로 그 수요 축이 변한 상태다. 지금은 PC 반도체의 등급이 올라가야 성능 차이를 확인한 개인이 PC를 바꾸는 상황이 됐다. 스마트폰과 비슷한 양상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현재 글로벌 PC시장에서 가장 큰 규모가 중국이다. 중국의 PC 시장이 점진적 성장세를 보인다는 것은 각국 PC 생산업체들에게 반가운 소식일 수밖에 없다. 다만 중국의 PC 생산업체들이 이미 시장을 장악하고 있어, 한국의 삼성과 LG 등에게도 과실을 나눠먹을 수 있는 기회가 올지는 두고 볼 일이다. 중국 IT 시장분석 및 컨설팅 기관 IDC가 최근 발표한 '2024년 중국 PC 시장 10대 인사이트'에 따르면 올해 중국 PC 시장 출하량은 전년 대비 3.8%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IDC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중국 사회가 점차 안정되고 경제 활동이 정상 궤도로 복귀함에 따라 중국의 PC 시장도 회복할 것으로 분석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IDC는 올해 상반기 PC 출하량이 전년 동기 대비 1.
중국 신에너지차(전기차, 하이브리드차, 수소연료차) 1위 업체인 비야디(BYD, 比亞迪)의 연간 판매량이 300만대를 돌파했다. 한국 현대차가 연간 390만 대를 판매한다. 기아와 합치면 대략 700만 대 안팎에 이른다. 비야디는 자체 브랜드 비야디 외에 스웨덴의 자동차 브랜드 볼보를 소유하고 있다. 비야디가 어느새 글로벌 시장에서 현대차의 턱밑까지 추격해 온 것이다. 중국 당국의 '내연기관을 뛰어 넘는 자동차 산업 육성 계획'이 갈수록 결실을 맺는 모습이다. 중국에서는 비야디 이외 상하이자동차(SAIC), 베이징자동차(BAIC) 등 유수한 자동차 제조사들이 전기차 생산에서 글로벌 시장을 리드하고 있다. 지난 1일 비야디의 '2023년 12월 생산 및 판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판매량은 전년 동월 대비 45% 증가한 34만 1043대로 월별 기준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또 2023년 비야디의 신에너지차 총 판매량은 전년 대비 62.3% 증가한 302만 4417대로 연간 판매 목표인 300만대를 넘어섰다. 차종별로 살펴보면 순수전기차 모델의 판매량이 157만 4800대로 전체 판매량의 52%를 차지해 하이브리드 모델보다 약간 높았다. 특히 비야디는
중국 국가에너지그룹(国家能源集团)이 세계 최대 규모의 초고도 풍력발전단지를 공식 가동했다. 중국은 세계 최대의 전기 소비국이며 여전히 석탄 중심 화력발전이 중심이다. 하지만 국제기후협약에 의해서 상당 부분의 탄소 배출 비중을 의무적으로 줄여야 한다. 향후 풍력과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발전이 지속적으로 늘어날 수밖에 없는 구조다. 2일 중국 현지 매체 펑파이신문에 따르면 국가에너지그룹은 최근 중국 서부 시짱자치구(티베트) 춰메이현(措美县) 지역의 100㎿(메가와트) 규모 풍력발전단지의 가동을 시작했다. 해당 시설은 시짱자치주 최초의 100㎿급 풍력발전 단지로 평균 해발고도 4650m 지대에 조성됐으며 단일 용량 4㎿의 풍력 터빈 25개로 구성돼 있다. 일반적으로 해발고도 3500m에서 5500m까지가 초고도 지역으로 정의된다. 국가에너지그룹에 따르면 해당 발전시설은 매년 약 2억㎾h(킬로와트시)의 청정 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며 이는 지역 주민 23만 명의 연간 전력 소비량에 해당한다. 이를 통해 약 6만t의 석탄 소비를 줄여 탄소 배출량을 약 16만t 감소시키는 효과를 거두게 된다. 해당 발전시설 공사에는 총 6억 4000만 위안이 투입됐다. 현재 중국은 세
2024년 새해 벽두부터 중국 제약바이오 업계가 해외 라이선싱 모멘텀을 이어가고 있다. 바이오 산업은 중국이 미래 수종 산업으로 육성하는 것이다. 글로벌 사회는 갈수록 고령화하고 있다. 고령화는 노동력의 상실을 의미한다. 글로벌 인구 대부분이 일하지 않는, 아니 일하지 못하는 시기가 코앞에 다가오고 있다는 것이다. 바이오 산업은 이 같은 고령화 사회에 가장 절실한 분야다. 고령으로 인한 노인성 질병에 대한 해결책을 찾는 게 바로 바이오 산업의 목표이기 때문이다. 중국은 인도와 함께 세계 최대 인구를 자랑하는 국가다. 바이오 산업은 중국 국가 존립에도 필수불가결한 산업인 것이다. 2일 중국 현지 매체 제일재경에 따르면 쑤저우에 본사를 둔 '의련생물(宜联生物, MediLink Therapeutics)'은 스위스 제약업체 로슈(Roche)와 차세대 항체 약물 접합체(ADC)에 대한 글로벌 협력 및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에 따라 양사는 중간엽표피변환인자(c-MET)를 표적으로 하는 차세대 고형종양 항체 접합신약 후보물질인 YL211 개발에 협력하기로 했다. 의련생물은 로슈 차이나 이노베이션 센터와 협력해 YL211 프로젝트를 임상 1상 단계로 추진할
중국의 건설 산업은 부동산 시장 침체 장기화 등으로 철강 수요가 감소한 반면 신에너지차, 풍력·태양광, 장비제조 산업은 지속적인 높은 성장세로 철강제품 수요 증가를 견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경제는 긍정과 부정이 뒤섞인 혼돈의 상태다. 전반적인 불확실성이 해소되지 않으면서 중국 경기에 대한 우려도 짙어지고 있다. 22일 중국 야금공업계획연구원(冶金工业规划研究院)이 발표한 '2024년 중국 및 세계 철강 수요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중국 철강 소비량은 전년 대비 3.3% 감소한 8억 9000만t, 2024년에는 1.7% 감소한 8억 7500만t으로 예상된다. 기계, 자동차, 에너지 산업에서는 철강 수요가 증가하는 반면 건설, 철도 산업에서는 현재의 감소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보고서는 2023년 중국 경제의 회복 기조에도 불구하고 부동산 시장의 지속적인 침체와 제조업 투자 둔화 압력, 국제 무역 성장 둔화로 인해 전체 철강 소비가 감소했다고 밝혔다. 또 내년에는 기계, 자동차, 에너지, 조선, 가전 등의 산업군에서 철강 수요가 증가함에도 건설, 철도 등 산업군에서의 수요 감소로 전체적으로는 소폭 더 감소할 것으로 예측했다. 선행지표로
중국 최대 토종 커피 프랜차이즈 루이싱(瑞幸) 커피가 태국의 왕실 50R 그룹으로부터 거액의 손해배상청구 소송을 당했다. 루이싱은 중국 최대 커피 프랜차이즈다. 워낙 규모가 크다보니 말도 많고 탈도 많은 기업이다. 하지만 이번의 경우, 루이싱이 해외 공략을 시작한 뒤 벌어진 사건이어서 주목된다. 루이싱 등 중국 브랜드들은 중국내 성공을 기반으로 글로벌 기업화에 잰걸음을 보이는 상태다. 이번 사건으로 향후 루이싱의 글로벌 시장 공략 전략에 변화가 있을 지 귀추가 주목된다. 21일 중국 현지 매체 제일재경에 따르면 50R은 최근 태국 법원에 루이싱 커피를 상대로 100억 바트(약 3700억 원)의 손해배상청구 소송을 제기했다. 50R은 "루이싱 커피가 50R이 2020년 태국에 등록한 커피 로고와 상표에 대해 법적 근거 없이 저작권 침해를 문제삼아 영업 활동에 큰 피해를 입었다"며 손해배상 청구 취지를 밝혔다. 루이싱 커피는 2021년 7월 50R이 자사 커피 로고와 상표를 거의 유사하게 도용했다며 상표권 및 저작권 침해 소송(상표 사용 중지 및 등록 취소를 골자로 한)을 제기해 2022년 11월 태국 지적재산권·국제무역법원으로부터 1심 승소 판결을 받았다. 하
대만 TSMC의 류더인(劉德音) 회장이 내년에 퇴임한다고 밝혔다. 19일 중국 현지 매체 차이신에 따르면 류 회장은 2024년 주주총회 이후 퇴임할 예정이며 후임은 웨이저자(魏哲家) 현 TSMC 최고경영자(CEO) 겸 부회장이 맡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류 회장은 은퇴 성명에서 "지난 수십년간의 반도체 업계 경험을 다른 방식으로 활용하면서 가족과 더 많은 시간을 보낼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또 "임기가 만료될 때까지 기업 지배구조에 관해 이사회와 계속 협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차이신은 TSMC 기업지배구조 및 지속가능성위원회가 웨이저자 부회장을 차기 회장으로 추천했으며 결과는 2024년 6월 이사회에서 열리는 회장 선임 투표에 달려 있다고 전했다.. 인텔과 AT&T 출신인 류 회장은 장중머우(張忠謀) TSMC 창업자가 2018년 6월 회사 경영에서 공식 퇴진한 후 TSMC를 이끌어왔다. 12인치 웨이퍼 사업의 기반을 마련하는 등 TSMC의 글로벌 확장을 주도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TSMC는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업체로 대부분의 생산을 대만에서 이어오다 양안관계가 긴장모드로 들어가자 미국, 일본, 독일 등지에 새 공장 설립을
미국과 유럽이 연말 성수기에 돌입하면서 중국의 크로스보더 전자상거래 플랫폼들의 인기가 급상승하고 있다. 중국은 현재 전자 상거래 플랫품을 통해 전세계 소비재 유통 생태계를 빠르게 장악하고 있다. 마치 우후죽순처럼 성장하는 중국 전자상거래 플랫폼들을 그대로 방치한다면 글로벌 사회 대부분의 소비재 제조 유통 생계계가 중국에 종속될 것으로 우려된다. 중국은 그동안 '세계의 공장'이라는 명성에 걸맞게 가장 경쟁력 있는 가성비의 소비재들을 생산해내고 있다. 뛰어난 가성비의 소비재들을 이른바 국경을 넘어서는 '크로스보더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활용해 글로벌 시장에 쏟아내고 있는 것이다. 제조와 유통 모두가 중국 기업들이 담당하는 식이다. 현재 각국의 고유한 유통망들은 중국의 이 강력한 공격에 겨우 버티고 있지만, 속속 고지를 내주며 무장해제 당하고 있다. 15일 애플리케이션 분석 플랫폼 '앱 인텔리전스(App Intelligence)'에 따르면 지난 11월 패스트 패션 플랫폼 쉬인(Shein)의 미국내 다운로드가 전년 동기 대비 26% 증가했다. 또 저가 상품 위주의 전자상거래 플랫폼 핀둬둬(Pinduoduo)의 해외 쇼핑앱 '테무(Temu)'는 11월 다운로드가 720
'2023년 중국 인터넷 기초자원 컨퍼런스(中国互联网基础资源大会)'가 12일 중국 베이징에서 개최됐다. '네트워크 기반의 심층 육성 및 디지털과 실물 경제의 통합을 위한 협력(深耕网络基础 共赴数实融合)'이라는 주제로 열린 이번 컨퍼런스는 도메인 산업 협력 및 발전 포럼, 도메인 식별기술 혁신 포럼, IPv6 혁신 및 발전 포럼, 스마트 경제 포럼 등 1개의 메인 포럼과 5개의 서브 포럼으로 진행됐다. 우허취안(邬贺铨) 중국 공정원 원사는 '인터넷 기초자원의 재이해'라는 제목의 기조연설에서 "현재 인터넷 기초자원이 새로운 도전에 직면해 있으며 AI 기반 인터넷 기초자원 관리 및 보안 역량이 발전의 초점이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모든 통신 기술에서 실행될 수 있는 네트워크, 새로운 프로토콜을 갖춘 개방형 네트워크와 강력한 인터넷 보안장벽을 구축하는 것은 디지털 경제 발전에 필수적인 조건"이라고 강조했다. 아시아태평양인터넷네트워크정보센터(APNIC) 폴 윌슨 원장은 화상 연설에서 "2024년은 중국이 국제 인터넷에 참여한 지 30주년이 되는 해"라며 "앞으로 IPv6 배포 및 측정, 국제 인터넷 거버넌스 및 기술 역량 구축 강화에 관해 중국과 유용한 논의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