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연히 사회 일각의 비판이 일었고, 처음 언급한 풍자가 판을 쳤다. 하지만 홍콩 교육부는 완강했다. 사실 그게 논란을 더욱 부채질 했다. 홍콩 교육부는 즉각 일각의 반발에 자료를 냈고, 교육 고위 관료는 방송에 나와서 “교육 내용이 보수적이라 할 수 없다. 오히려 우리는 초중학생들에게 전통적 가치관을 가르킬 필요가 있다. 우리의 가치관은 일부일처의 혼인제도이다”라고 강변했다. 홍콩 사회 진보세력들은 이 같은 교육부의 태도가 남녀 성 차별은 물론, 성소수자들에 대한 멸시 행위를 낳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특히 이번에 나온 홍콩 교육부의 성 교재는 남자는 충동적이며 여성을 이에 대응해 자신을 지켜야 한다는 남녀간 성인식을 보여주고 있다고 지적했다. 일찍이 영국의 영향을 받아 개화한 도시지만, 홍콩 사회 역시 유교적 전통을 가진 동양 사회다. 자연히 학생들의 성교육은 전통의 영향이 클 수밖에 없었다. 홍콩의 현 20대만해도 학교에서 받은 성교육이 보수적이었다고 기억하고 있다. 아예 성교육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는 편이 더 맞다는 주장도 있다. 성행위에 대한 교육은 생물학 선생이 했는데, 늙은 선생들은 성행위에 대해 ‘서로 좋아하다 보면 그냥 이뤄지는 것’이라고
중국에서 올 8월 BMW 판매가 반토막이 났다. 중 매체들이 갈수록 치열해지는 중국 고급차 시장 판매경쟁에서 뒤지고 있다는 평을 내리는 중 네티즌들은 “불친절 한데 잘 팔리면 그게 이상한 것”이라는 반응을 보였다. 결국 BMW의 오만함에 중국 소비자들의 마음을 떠나게 했다는 것이다. 데이터에 따르면 8월 BMW는 중국 시장에서 3만 4,800대만 판매해 전년 동기 대비 42% 하락했다. 이에 BMW는 일부 모델의 가격을 인하하기로 결정했다. 중국 경제지 증권일보에 따르면 업계 관계자들은 BMW가 다시 "가격 전쟁"에 뛰어든 것은 최근 판매량 급락, 시장 압박, 이전의 가격 인상 전략 실패 및 치열한 시장 경쟁 등의 여러 요인이 작용한 결과라고 보았다. BMW의 최신 재무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상반기 BMW의 자동차 사업 총수익은 630억 900만 유로(약 9조 3,530억 원)로 전년 동기와 거의 비슷했으나, 순이익은 56억 5,600만 유로(약 8조 3,850억 원)로 14.6% 감소했다. 그중 중국 시장에서 BMW의 인도량은 37만 6,400대로 전년 대비 4.3% 감소했다. 중국 시장에서의 판매량 감소에 대해 BMW는 최근 몇 년간 중국 현지 전
중국의 지난 8월 신에너지 자동차 및 충전 생산량이 전년 동기 대비 각각 30.5%, 97% 가량 늘었다. 중국의 신에너지 모바일 산업이 새로운 생태계를 빠르게 구축하고 있다는 평이 나온다. 이미 중국은 전기차는 글로벌 공략에 나서 유럽과 미국 등에서 통상 마찰까지 빚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유럽이 중국 전기차에 관세를 추가키로 했고, 캐나다 역시 비슷한 조치에 나섰다. 중국 역시 캐나다 농산품에 관세를 추가하는 등 보복에 나서면서 중국과 글로벌 각국 간의 통상 마찰도 심화하는 모습이다. 24일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국가발전개혁위원회는 23일 특별 브리핑을 열어 "두 가지 신(新)" 정책의 전반적인 진행 상황과 성과를 소개하였다. 회의에서 국가발전개혁위원회 당 위원회 위원이자 부주임인 조진흠이 각 부문의 공동 노력으로 "두 가지 신(新)" 정책이 점차 뚜렷한 성과를 거두었으며, 이를 "다섯 가지 강력함"으로 요약할 수 있다고 설명하였다. 이날 발표에 따르면 장비 갱신 정책이 지속적으로 추진되면서 경영 주체들이 생산, 에너지 사용, 엘리베이터 등 각종 장비를 갱신하려는 적극성이 높아졌음. 올해 1~8월 동안 장비 및 도구 구매 투자가 16.8% 증가하여 전체
‘12조 1,059억 위안’ 한화로 약 2,288조 2,572억 원 가량이다. 중국의 올 1~8월 세수 수입 총액이다. 전년동기 대비 5.3% 줄었다. 중국 지방정부의 재정난 소식이 끊이지 않는 가운데 나온 수치여서 주목된다. 현재 중국 일부 지방에서는 지방 정부의 재정난에 임금 체불 등의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25일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재정부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의 올 1~8월 재정 수입 및 지출 상황을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전국 세수 수입은 121,059억 위안(약 2,288조 2,572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3% 감소했으며, 세외 수입은 26,717억 위안(약 505조 47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7% 증가했다고 밝혔다. 또한, 증권거래 인지세는 653억 위안(약 12조 3,43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5.5% 감소했으며, 국유 토지 사용권 양도 수입은 20,218억 위안(약 382조 1,606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5.4% 감소했다. 주요 세목의 수입 상황을 보면, 국내 부가가치세는 45,936억 위안(약 868조 2,822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9% 감소했으며, 국내 소비세는
옛날 중국에 두 자리고비 양반이 이웃하며 사이 좋게 살았다. 어느 여름날 한 자리고비가 옆 마을 자리고비 양반 집에 놀러갔다. 하인이 차를 들고 들어왔는데, 옷이 없어 기와장 두 장을 묶어서 허리에 걸쳐 앞뒤 민망한 곳만 가린 채였다. 집 주인이 헛기침을 하며 말했다. “아니, 내가 손님이 있으면 제대로 의관을 갖추라 했거늘, 이게 체면 안 서게 무슨 짓이냐!” 놀란 하인이 급히 나갔다. 잠시 뒤 들어온 하인은 여전히 옷을 벗은 알몸이었다. 다만 기왓장 두 장 대신 이번에 큰 뽕 잎 두장을 끈으로 엮어 역시 앞 뒤 민망한 곳만을 가린 채였다. 주인이 어쩔 수 없다는 듯 차를 권하자, 놀러온 자린고비가 말했다. “아니. 주인장 보니까 낭비가 심하시오” 주인이 되물었다. “무슨 말이시오? 내가 어찌 낭비가 심하단 말이오?” 객이 답했다. “어찌 하인이 겨울옷 여름옷을 구분해 입는다는 말이요. 내 그 것만 봐도 주인장이 얼마나 낭비가 심한 줄 알겠오.” 그러자 집 주인이 웃으며 말했다. “아이고 이 양반아, 내 어찌 그런 도리를 모르겠어. 내 저 놈을 지난 여름에 거둬들였는데, 당시 조건이 먹는 건 자기가 어찌 알아서 해결할테니, 옷만 해결해 달라는 것이었오. 그
인동(忍冬)의 마음, 세한심(歲寒心)이다. 푸르려는 마음, 겨울을 세는 마음이다. 겨울나기가 힘든 건 지루하기 때문이다. 밖에는 온 통 추위 뿐, 꽃도 나무도 변화가 없다. 방에서 이 지루한 겨울을 나야한다. 묘한 게 지루함과 싸움이다. 지루함은 이기려 하면 할수록 지치고 지루함에 지고 만다. 이 지루함을 지나야 봄을 맞을 수 있는데 …. 봄의 꽃을, 풀잎의 푸름을 즐길 수 있는데 …. 지루함을 이기는 유일한 방법은 잊는 것이다. 뭔가를 잊기 위한 가장 손쉬운 방법은 수를 세를 것이다. 그래서 동양에선 예로부터 겨울이면, 붓으로 굵은 나무 가지를 그려, 그 위에 하루에 하나씩 1000개 나뭇잎을 그려 넣으며 1000일, 3개월여의 겨울을 셌다. 겨울을 세는 마음이 바로 세한심(歲寒心)이다. 봄의 푸름을 기다리는 마음, 누구나 고대하고 기다리는 변치 않는 마음이다. 시인에게 시를 쓰게 하는 그런 마음이다. “江南有丹橘 经冬犹绿林(강남유단귤, 경동유록림) 岂伊地气暖 自有岁寒心(기이지기난, 자유세한심)” 강남 단귤 나무 봄 맞아 푸른데. 그 어찌 봄기운만의 덕이랴, 겨울 센 변치 않는 의지 때문이지. 역시 장구령(張九齡, 673~740)이다. 감우십이수(感遇十二首
중국 사람들은 1년에 7억 마리의 돼지를 먹으며, 광둥 사람들은 1년에 8억 마리의 닭을 소비하고, 상하이 사람들은 1년에 최소 3억 마리의 작은 가재를 먹는다. 물론 중국 식탁이 언제나 이렇게 풍성했던 것은 아니다. 최근 경제 성장 덕이 크다. 문제는 과연 10년 뒤에도 여전히 이렇게 풍성할 수 있는가 하는 것이다. 10년 내내 중국의 식소비가 이렇게 늘어나면, 글로벌 사회 먹거리 인플레이션이 눈 앞에 선하기 때문이다. 일단 중국 매체들은 경각심을 높이고 나섰지만, 중국 네티즌들은 아직은 피부에 와닿지 않는다는 반응이다. 중국은 개개인의 식탁을 책임지는 농민들을 위해 올 처음으로 지난 22일을 ‘농민풍수절’로 정하고 기념하기 시작했다. 농민들의 노고를 온 국민이 함께 기억하자는 취지다. 중국 매체들은 최근 중국 각 지역의 영양 섭취 상태를 분석하고 지역별 특색 요리들을 구분하는 기획 기사를 내보냈다. 이에 따르면 중국인의 행복은 상당 부분 탄수화물에서 비롯됐다. 베이징에서는 아침 식사로 샤오빙(燒餅)에 요우티아오(油条)를 끼워 먹을 수 있고, 상하이에서는 따빙(大饼), 요우티아오(油条), 쯔판(粢饭)이 번갈아 가며 등장한다. 광저우에서는 면과 만두가 함께
지난 2023년 중국 디지털 출판산업 규모가 1조 6179억 6800만 위안에 달했던 것으로 집계됐다. 한화로는 306조 9123억 원 가량이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9.08% 증가한 수치다. 이제 출판도 디지털 시대로 본격 진입하는 모습이다. 24일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지난 21일, 하이난성 하이커우시에서 열린 제14회 중국 국제 디지털 출판 박람회에서 중국 뉴스 출판 연구원이 <2023-2024 중국 디지털 출판 산업 연간 보고서>가 발표됐다. 데이터에 따르면, 2023년 중국 디지털 출판 산업의 전체 규모는 지속적으로 성장하여 연간 1조6,179억6800만 위안(306조 9,123억 원)에 달했고, 이는 전년 대비 19.08% 증가한 수치다. 전통적인 서적 및 신문 디지털화 부문에서 인터넷 잡지, 전자책, 디지털 신문의 총수입은 113억 8900만 위안(2조 1,603억 원)으로, 전년 대비 8.56% 증가했다. 신흥 부문도 강력한 성장세를 보였으며, 온라인 교육 수입 규모는 2,882억 위안(약 54조 6,686억 원), 온라인 애니메이션 수입 규모는 364.03억 위안(6조 9,052억 원)에 달했다. 중국 공업정보화부는 2027년까
'27.26%, 29.87%, 21.57%' 중국 3대 택배 회사들의 지난 8월 20%대 업무 물량 성장세를 시현했다. 중국의 택배가 그만큼 급속히 늘고 있다는 의미다. 중국의 소비재 산업이 빠르게 온라인 플랫폼화하면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24일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3대 택배회사인 신통(申通) 택배, 윈다(韵达) 주식회사, 위안통(圆通) 택배 등 빅3는 최근 8월 주요 운영 데이터를 발표했다. 해당 월의 택배 물량과 택배 사업 수입은 전년 동월 대비 모두 두 자릿수 성장을 기록했다. 8월에 신통 택배는 19억 3,600만 건의 물량을 처리했으며, 이는 전년 동월 대비 27.26% 증가한 수치다. 위안통 택배의 물량은 22억 6,100만 건으로 전년 대비 29.87% 증가했고, 윈다 주식회사의 물량은 19억 7,300만 건으로 21.57% 증가했다. 택배 사업 수입을 보면, 신통 택배는 8월에 38억 7,300만 위안(약 7,346억 6,937만 원)의 수익을 올려 전년 동월 대비 21.50% 증가했다. 위안통 택배는 49억 800만 위안(약 9,309억 9,852만 원)의 수익을 기록해 20.67% 증가했으며, 윈다 주식회사는 39억 1,700만 위안
“우리 베드민턴이나 칠까?” 홍콩에서 돌연 ‘우리 성행위할까’를 암시하는 음어가 됐다. 홍콩 교육부 탓이다. 홍콩 교육부가 중 3학년 학생들을 위한 성 교육 교재를 내놓았는데, 거기에 ‘성적 충동을 느낀다면, 운동장에 가서 베드민턴을 쳐보라’라고 돼 있는 것이다. ‘아니 성 충동을 느꼈는데, 베드민턴을 쳐?’ 자연히 남녀가 같이 베드민턴을 치자고 하면 서로 성충동을 느낀다는 말이 됐고, ‘우리 베드민턴이나 치자’는 말이 엉뚱한 뜻으로 들리게 되는 것이다. 홍콩의 중3 성교육 교재가 돌연 ‘19세기 보수로 회귀’를 해 논란이다. 시기에 맞지 않다고 보니, 표현들 자체가 논란이 되는 것이다. 교재에서 ‘성충동을 느끼면 베드민턴을 치라’는 말은 운동을 하면서 잡념을 잊으라는 조언일 것이다. 그런데 그 말이 엉뚱하게 해석이 되는 게 요즘의 MZ세대다. 사실 한 참 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질풍노도의 시기 청소년들에게 성교육을 시키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참으라고 하기도 뭐하고, 그렇다고 함부로 느끼는 그대로 하랄 수는 더더욱 없다. 하지만 이제와서 유교적 사고방식을 강요하며, 유교적 절제로 혼전 순결을 절대적으로 지키라고 하는 것은 과연 옳은 것일까? 시대적 정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