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서는 사람과 관련된 어떤 서비스도 기업형이 된다. 그만큼 시장이 크기 때문이다. 특히 최근 중국 생활수준이 높아진면서 그 시장 규모 역시 더욱 커졌다. 대표적인 산업이 미용 관련이다. 중국에서는 미용실 운영도 프랜차이즈 사업형으로 진행이 된다. 웬만큼 이름이 나면서 베이징 시에는 수백 곳의 브랜치가 생긴다. 최근 중국에서 유행하는 미용실 브랜드 순위를 살펴봤다. 1. 메이리톈위안(美丽田园) 113개 지점에 이르는 비교적 큰 규모이며 중국의 유명 미용체 spa 체인센터 중 하나다. 동양인 피부의 특성에 맞춰 유럽 뷰티 스킨케어 기술을 접목해 각종 피부 트러블에 대응하는 수십 개의 시리즈 수백 개의 제품을 개발·생산해 전국 미용실 순위 1위를 기록하고 있다. 2. 克丽缇娜 10대 뷰티 제품 브랜드 중 하나로 400여 개에 가까운 미용 가맹점이 생겼으며 미용관리품과 미용실 가맹을 위주로 연구개발, 생산, 판매를 아우르는 기업이다. 3. 琪雅 이미 100여 개 지점과 5000여 개 체인점을 거느릴 정도로 규모가 크다. 4. 莎蔓莉莎 비교적 젊은 미용 프랜차이즈 업체이자 중국 미용실 10대 브랜드 중 하나로, 현재 1000여 개의 미용실을 보유하고 있다. 5.
왕홍, 한국인도 한 번쯤을 들어봤을 중국 단어다. 말 그대로 인터넷에서 인기를 끄는 인물이라는 뜻이다. 한국어로는 인플루언서다. 중국에서는 일찌감치 왕홍이 인터넷 공간의 새로운 매개체로 자리잡았다. 뉴스분야 보다는 생활과 문화 방면에서 빠르게 성장했다. 관련 분야의 산업을 소개하는 이들로 자리 잡았다. 왕홍들이 뜨면서 그런 왕홍들을 기획해 길러내는 기획사들도 등장했다. 2022년 3월 현재 중국의 왕홍 기획사 순위를 살펴봤다. 1. 谦寻 (첸쉰) 2017년 설립된 항저우 겸심홀딩스 산하 중국 국내 최대 규모의 온라인 인플루언서 기획사인 谦寻은 50여명의 아나운서가 소속돼 있으며, 유명 인플루언서로는 薇娅viya, 张沫凡MOMO, 深夜徐老师와 같은 유명 블로거가 이 기관이다. 2. 美one 미원은 2015년 설립된 상하이 미완 네트워크 테크놀로지(mione)로, 새로운 콘텐츠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e커머스 회사다. 李佳琦가 바로 이 회사 소속이다. 3. 青藤文化 (칭텅문화) 2011년 설립된 유명 종합 미디어 회사로, 팬덤에게 사랑받는 랩 문화를 만들어가는 MCN 기관으로, 회사는 수백 명의 인플루언서를 계약하고 육성하고 있다. 소속 연예인들도 '프로듀스 10
사치는 미덕이다. 특히 중국인들에게 그렇다. 고래로 중국 부자들은 부를 자랑하길 즐겼다. 고사 중에는 한 부자가 금으로 방을 도배를 하자 그 것을 본 또 다른 부자가 금보다 더 비싼 후추로 방을 도배했다는 게 있다. '내가 잘 났다'는 걸 보여주기 위해 뭐든 한다는 각오가 보인다. 현대 중국인이라고 크게 다르지 않다. 그러다 보니 중국의 집안 가구들이 갈수록 고급화하고 있다. 일부는 한국인들에게 좀 과하다 싶을 정도다. '뭘 그렇게까지 꾸미나' 싶은 것도 적지 않다. 2022년 3월 현재 중국의 가구 업체 브랜드 순위를 살펴봤다. 1. 水星家纺 (MERCURY) MERCURY는 1987년 설립돼 2017년 상장된 업체로 현재 전국 각 성시에 수천 개의 마케팅망을 운영하고 있으며 산하에 아동용품, 담요, 이불, 베개, 키트 등 8대 시리즈 300여 개 품목을 순차적으로 선보이고 있는 심지로 가장 주목받는 브랜드 중 하나다. 2. 罗莱家纺 (LUOLAI) LUOLAI는 1992년 설립돼 2009년 A주시장에 상장된 기업으로 현재 침구, 작은가구 등 다양한 분야의 전품종 홈퍼니싱(home furnishing) 업체를 아우르고 있으며 매년 침구 판매량과 관련 실적
TV는 가전제품의 왕이다. 거실의 한 가운데서 가족이라면 누구나 매일 그 TV 브랜드를 보고 생활을 하게 된다. 브랜드 입장에서 TV로 선택된다는 것은 가족 브랜드로 선택된다는 의미다. 자연히 다른 가전 제품을 사면서 먼저 TV브랜드가 고려된다. 한국의 삼성과 LG는 그런 점에서 대단히 유리한 고지를 점령하고 있다. 세계인의 가장 많은 선택을 받는 중요한 TV브랜드다. 중국에서는 어떨까? 실제 해외 브랜드를 포함한 순서를 보면, 역시 삼성이 1위였다. 2위는 소니였고, 우리 LG는 5위에 머물렀다. 중국 현지 브랜드들의 약진도 놀랍다. 중국 현지 브랜드인 하이센스가 3위를 차지했다. 해외 브랜드를 뺀 중국 TV브랜드 순위를 알아봤다. 1. 海信 (Hisense 하이센스) 하이센스는 중국 국내 브랜드이자 중국 국내 TV의 리더 브랜드로 매출 1위를 차지하고 있다. 하이센스는 TV 화질이 좋고 TV칩을 독자 개발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것으로 가장 유명해 지금까지 북미, 일본, 유럽 등에서도 제품을 많이 판매하고 있다. 2. TCL 1981년 설립돼 컴퓨터와 통신장비를 주로 취급하던 TCL은 한때 중국 TV업계의 왕자 브랜드였으나 지금은 삼성, 소니 같은 큰 브
공산 초기 중국에선 이사라는 게 쉽지 않았다. 호적제가 너무 '단디'하게 실시된 탓이다. 특히 도심의 호적은 호적을 가지고 태어났다는 것 자체가 특권이었다. 당이 정한 일을 해야 했고, 당이 정해주는 곳에서 살아야 하는 게 전부였다. 덩샤오핑의 개혁개방이래 중국에서는 조금씩 거주 이전의 자유가 넓어지기 시작했다. 지금은 지방의 토호라면 베이징에 아파트 한 채씩을 가지고 있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지방과 지방간의 교류가 활발해지고 있다. 또 발전의 고질병인 특정 도시 중심의 개발도 가속화 돼 '도농격차'는 중국의 중요한 사회 문제 중 하나가 된 지 오래다. 이주의 가장 큰 원인인 일자리 역시 다양해졌다. 젊은이들은 일자리를 찾아 도시와 도시를 옮겨다니고 있다. 자연히 발달하는 게 이사업체다. 포장이사는 물론 새로운 인테리어까지 제안해주는 이사업체가 있을 정도다. 중국 주요 이사업체 순위를 알아봤다. 1. 蚂蚁搬家 (개미이사) 1996년 설립된 개미이사는 현재 중국 전국 대도시에 직영지사를 두고 있는 중국 유명 물류서비스업체로, 지금은 고객이 원하는 차종을 선택해 물류운송·이삿짐·크레인캐리어 등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2. 货拉拉 (후오라라) 货拉拉는
중국 청소년들이 갈수록 세련돼 가고 있다. 사실 중국인만큼 자신을 꾸미는데 열심인 국민도 드물다. 문화라는 게 스스로를 꾸미고 도드라지게 하는데서 만들어지는 법이다. 5000년 전통 문화를 자랑하는 중국이니, 이해도 된다. 이런 성향 덕인지, 중국은 패션 분야의 발전이 정말 눈부실 정도로 빠르다. 최근 중국 스스로의 브랜드들이 나와 세계 유행을 선도하고 있다. 중국 5대 의류 브랜드 순위를 살펴봤다. 1. Stage 스테이지(Stage Hyaline of World)라는 풀네임은 罗志祥의 메인 테마로 2016년 런칭된 브랜드로, 파격적이고 혁신적인 패션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산하의류들은 오리지널 위주이며, 최근 몇 년간 글로벌 브랜드와 협업해 많은 글로벌 오리지널 의상을 만들어내고 있다. 2. MADNESS 매드니스(MADNESS)는 2014년 홍콩에서 창립된 패션 브랜드로, 메인 디자이너는 余文乐으로 처음엔 余文乐이 자신이 입을 수 있는 옷을 만들자는 취지에서 출발했다. 브랜드 스타일은 심플하고 일상적인 디자인으로, 다양한 데님의류가 주를 이룬다. 3. CLOT CLOT는 2003년 陈冠希가 설립한 의류 브랜드로 발전해 중국 1위 브랜드이자 국내
지난 3월 10일까지 역대 중국 영화시장에서 일일 매출 최고 기록은 어떤 영화가 세웠을까? 지난 2021년 2월 12일 나왔다. 주인공은 '당인제탐정3', 하루 10억1100만 위안을 기록했다. 한화로 1929억6957만 원 가량이다. 개봉 첫날의 기록이었다. 당인제탐정3의 기록은 이어졌다. 개봉 둘째날은 8억1800만 위안, 세쨋날은 7억4900만 위안을 기록했다. 이는 역대 중국 영화 일일 매출 1~3위에 해당한다. 영화 '당인제탐정3'은 중국 역대 영화 일일매출 금,은,동을 모두 석권한 것이다. 그렇다고 당인제탐정3이 중국 영화 매출 1위는 아니었다. 당인제탐정3의 총 매출은 45억2300만 위안이었다. 이는 일일 5억8000만 위안을 기록 매출 5위에 랭크된 '안녕 이환영'(총매출 54억1300만 위안)보다 적은 것이었다. 중국 영화 일일 매출 최고 50위를 분석하니, 지난 10일 현재 상영되는 여러 영화(국산영화·수입영화 포함) 중 미국영화 4편, 중국영화 14편들이 일일 매출 50위 기록을 석권했다. 지난 2019년 영화들 가운데는 《미친 외계인:疯狂的外星人》、《유랑지구:流浪地球》、《꼬마 마신 나타 강림기:哪吒之魔童降世》、《나와 나의 조국:我和我的
해방군과 무장경찰부대 1위 무슨 말일까? 중국 전국인민대표단 구성비 순위다. 중국의 전국인민대표는 우리나라의 국회의원 격이다. 전인대로 불리는 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 각종 입법 활동을 벌인다. 정부 보고서도 심의하고 비준한다. 이번 대표단은 지난 2018년 3월 임기가 시작됐다. 5년이 임기여서 오는 2023년 3월 임기가 끝난다. 2018년 1월 2980명의 전국인민대표대회 대표를 선출했다. 총 2951명으로 구성돼 있다. 인민대표들은 중국 지역과 사회 각층을 대표한다. 즉 그 구성비를 보면 중국사회 어떤 계층의 발언권이 가장 높은 지 알 수 있다. 이 2951명의 전인대 대표는 주로 전국 34개 성, 해방군, 무장경찰부대 대표단에서 왔으며, 그 중 736명은 여성으로 24.9%를 차지하였다. 해방군과 무장경찰부대 대표단은 전국인민대표 285명으로 1위를 차지했으며 허난(河南)·산둥(山東)·광둥(廣東)·장쑤(江蘇)·쓰촨(四川)·허베이(河北)·후난(湖南)·안후이(安徽)·후베이(湖北)·랴오닝(遼寧) 등 10개 대표단의 전인대 대표 수는 100명을 넘어섰고 대만·마카오(馬島)에는 각각 12명이 포함됐다. 특히 산둥, 광동, 하남의 여성 전인대 대표는 40명이 넘어
'세계 1위' 중국이 베이징 동계패럴림픽에서 종합 1위를 차지했다. 베이징 동계 패럴림픽은 지난 13일 폐막했다. 이번 동계패럴림픽에서 중국 대표단은 금메달 18개, 은메달 20개, 동메달 23개로 총 61개의 메달을 얻었다. 종합 1위에 오르며 역사적인 도약을 이뤘다고 중국 매체들은 평했다. 중국 대표단의 자오쑤징 사무총장은 "대표단이 '임무는 어깨에 짊어지고 나와 함께 투쟁한다'는 맹세를 이행했다"며 "스포츠 경기력과 정신 문명을 모두 달성하고 동계 스포츠의 새 장을 썼다"고 말했다. 중국 매체들은 이번 종합 1위가 스포츠 강국으로 계속 발전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또 다른 중요한 상징이라고 분석했다. 중국 매체들은 설상 경기에서 중국 스포츠 대표단은 역사적인 돌파구를 마련했다고 봤다. 이번 대회 전까지 중국 선수들은 동계패럴림픽의 눈 종목에서 메달을 따낸 적이 없었다. 역대 최고 순위는 4위였다 하지만 베이징 동계패럴림픽에서 중국 체육대표단은 패럴림픽 알파인스키, 스노보드, 크로스컨트리 스키, 바이애슬론에서 금메달 17개, 은메달 20개, 동메달 22개를 획득했다. 휠체어 컬링 대표팀이 평창 동계패럴림픽에서 우승했고, 이번에는 롄커창 팀이 10연승으로 타이
중국은 반려동물 시장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특히 온라인 구매 시장의 규모는 성장세가 더욱 두드러진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제 웬만한 반려동물의 간편식은 모두 타오바오나 징둥을 통해 구매를 한다. 인기 상품 순서를 각 회사들의 전장이다. 각 회사별로 다양한 상품을 내놓고 10위권내 들기 위해 총성없는 전쟁을 벌이고 있다. 징둥에서 고양이 간편식 브랜드 순위를 살펴봤다. 1위는 프리시안이 차지 했다. 1위: 富力鲜 (네덜란드 Frisian) 2위: 珍致猫罐头 purina 통조림 3위: 耐威克 (미국 Navarch) 4위: 麦富迪 (중국 Myfoodie) 5위: 憨憨宠 (중국 hanhanchong) 6위: 网易严选 7위: 希宝 (미국 Sheba) 8위: 坏小宠(HUAIXIAOCHONG) 9위: 最宠 (캐나다 PaddyTime) 10위: 朗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