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3%와 56.1%’ 중국의 지난해 10월부터 올 2월까지 살펴본 TV 등 가정용 시청각 기기 소매 판매량과 냉장고 등 생활 가전 소매 판매량이다. 이 기간 중국 당국은 곳간을 열고, 막대한 재정을 동원해 ‘이구환신’(중고 제품을 새 제품으로 교환하도록 지원하는 정책)을 펼쳐 소비를 독려해왔다. 그 결과가 2월까지 이어지고 있다는 게 중국 매체들의 분석이다. 중궈신원왕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세무총국은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부가가치세 발급 데이터를 공개했다.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24년 10월부터 2025년 2월까지 국가 장려 정책, 지방정부 지원 및 기업의 가격 인하 등의 요인에 힘입어 TV 등 가정용 시청각 기기 소매 판매량과 냉장고 등 생활 가전 소매 판매량이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3.3%와 56.1% 증가했다. 인테리어와 관련된 가구 소매와 위생용품 소매 판매량도 각각 28.5%와 17.4% 늘었다. 중국 전국의 기업 판매 수익은 지난 2024년 10월부터 2025년 2월 같은 기간 2024년 3분기 대비 1.1%포인트 증가했다. 소비 증가폭에 비해 수익 증가폭이 적은 것은 그만큼 시장의 경쟁이 가열된 것이라는 방증이다. 중국
‘2,070억 위안’ 한화로 약 41조 5,159억 원 가량이다. 베이징, 텐진 등 소위 ‘징진지’ 경제 구역의 올 1~2월 수출입 총액이다. 전년보다 2% 이상 늘었다. 중국 전역의 수출입 총액은 같은 기간 소폭 줄었다. 베이징 지역의 수출이 늘었다는 것은 다른 지역의 수출입 총액이 상대적 감소폭이 컸다는 의미다. 베이징완바오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베이징 세관은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올 1~2월 수출입 현황 자료를 공개했다. 자료에 따르면 올해 1~2월 동안 징진지(京津冀) 지역의 수출액은 총 2,070억 위안(약 41조 5,159억 원)으로, 같은 기간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전년 동기 대비 2.1% 증가했다. 올해 1~2월 동안 징진지 지역의 신흥 산업과 고부가가치 제품 수출이 강세를 보였다. 정보기술 산업 분야에서는 평판 디스플레이 모듈 수출이 전년 동기 대비 78.1% 증가했으며, 항공우주 산업에서는 항공기 부품 수출이 14% 증가했다. 문화 제품 중에서는 중국풍 장난감(国潮玩具) 수출이 76% 증가했으며, 자동차 제조 산업에서는 자동차 부품 수출이 20.1% 증가했다. 같은 기간, 베이징 지역(중앙 정부의 베이징 소재 기관 포함)의 수
‘과학기술 개발 능력’ 중국에서 새롭게 중시되는 발전을 가름하는 새로운 요소다. 과학, IT 기술의 발전 없이는 발전도 없다는 의미다. 그럼 중국 도시들 가운데 가장 ‘기술 개발 능력’을 보유한 곳은 어딜까? 1위는 베이징이 차지했다. 2위는 선전, 3위는 상하이가 랭크됐다. 소위 중국 과학 기술 선도 도시 3인방인 셈이다. 훙신신원 등 중국매체들에 따르면 최근 수도과기발전전략연구원 과제팀이 《중국 도시 과학기술 혁신 발전 보고서(2025)》(이하 《보고서》)를 발표했다. 팀은 지난 2017년 해당 보고서를 첫 발간했다. 그 뒤 8년 연속 '중국 도시 혁신 및 발전 보고서'를 발간해왔다. 보고서는 '중국 도시과학기술 혁신발전 지표체계'를 구축하고, 중국 288개 현급 이상 도시의 과학기술 혁신 수준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방식이다. 중국 도시 과학기술 혁신의 현상과 추세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중국 도시 과학기술 혁신과 발전의 내부 법규와 논리를 파노라마적으로 제시한다. 이번 조사에서 청두시 도시 과학기술 혁신 및 개발 지수(City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and Development Index) 순위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6조 5,363억 위안’ 한화로 약 1,314조 2,538억 원에 달하는 금액이다. 올 1~2월 중국의 수출입 총액이다. 큰 금액이지만, 전년 동기 대비 1%이상 줄었다. 수출은 소폭이지만 늘었고, 수입이 크게 줄면서 총액이 감소했다. 불확실한 대외 경제 여건에 처한 중국이 어떻게 대처하고 있는지 잘 보여주는 대목이다. 신화통신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해관총서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의 올 1~2월 수출입 현황을 밝혔다. 발표에 따르면 2025년 1~2월 수출입 총액은 6조 5,363억 위안(약 1,314조 2,538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 감소했다. 이 중 수출 총액은 3조 8,812억 위안(약 780조 3,928억 원)으로 3.4% 증가했고, 수입 총액은 2조 6,551억 위안(약 533조 566억 원)으로 7.3% 감소했다. 이에 무역수지는 여전히 1조 2,260억 위안(약 246조 5,118억 원) 흑자를 기록했다. 동방금성 연구개발부 집행총감인 펑린(冯琳)은 "현재 글로벌 수요는 전반적으로 안정적이지만 다소 둔화되는 추세"라고 밝혔다. 미화 기준으로 보면 1~2월 중국의 수출 증가율은 2.3%를 기록했으며, 이는 2024년 12월보
‘약 7,508억 위안’ 한화로 약 150조 7,981억 원 가량이다. 지난해 중국의 중소기업들이 집행한 투자 융자금액이다. 전년보다 10% 이상 훌쩍 늘어난 수치다. 기존 단순 ‘제조’만 주력한 중국이 ‘기술 굴기’에 나서면서 대기업은 물론 중소기업들까지 대거 기술 투자에 나선 때문으로 분석된다. 앙광왕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인터넷정보센터는 빅데이터 분석 기법을 활용해 6000만 개 중소기업의 인터넷 공개 데이터를 모니터링한 결과를 공개했다. 공개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24년 중소기업의 신규 투자·융자 건수는 5,780건을 넘어 전년 대비 7.3% 증가했으며, 이는 전체 기업의 투자·융자 건수 중 96.4%를 차지했다. 또한, 투자·융자 금액은 약 7,508억 위안(약 150조 7,981억 원)으로 전년 대비 13.1% 증가했으며, 전체 기업 투자·융자 금액 중 84.2%를 차지해 전년 대비 6.4%포인트 상승했다. 동시에, 더 많은 초기 창업 중소기업이 자본 시장에서 주목받았다. 이번 조사는 빅데이터 모니터링은 물론 중소기업 직원과 대학 졸업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도 동시에 진행됐다. 중국 매체에 따르면 그 결과, 최근 몇 년간 중소기업의 생존
‘138만6000 대’ 중국의 올 2월 승용차 판매량이다. 전년동기 보다 무려 26% 늘어난 수치다. 지난 1월 소폭 조정 국면이었던 중국 승용차 시장이 갈수록 뜨거워지고 있다. 중국 당국 역시 각종 보조금을 내세워 승용차 소비 촉진에 나선 상태다. 경제지 베이징상바오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자동차유통협회 승용차시장정보연석회(이하 "승련회")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의 중국 승용차 시장 현황을 밝혔다. 자료에 따르면 지난 2월 승용차 시장의 소매 판매량은 138.6만 대로 전년 동기 대비 26% 증가했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승련회 측은 2월 국내 소매 판매가 역대 2월 중 최고 수준에 도달했으며, 시장이 강한 회복세를 보였다고 밝혔다. 특히, 2월 자동차 시장의 판매량 급증 덕분에 올해 들어 자동차 시장의 누적 판매량도 다시 플러스 성장으로 돌아섰다. 데이터에 따르면, 2025년 1~2월 승용차 누적 소매 판매량은 317.9만 대로 전년 동기 대비 1.2% 증가했다. 반면, 2025년 1월에는 승용차 소매 판매량이 전년 동기 대비 12.1% 감소한 바 있다. 자동차 시장 회복의 핵심 동력은 신에너지차였다. 승련회에 따르면, 2025년 1~2월 신에너지
‘685억4000만 위안’ 한화로 약 13조 7,141억 원에 달하는 금액이다. 중국의 올 1~2월 전국 철도 고정자산 투자액이다. 전년동기 대비 5% 이상 늘어난 수치다. 중국은 지난해 연말부터 사회고정자본에 대한 투자를 강화하고 있다. 사회 인프라 구축 사업을 통해 재정을 소모해 사회 유동성을 공급하려는 조치다. 신화통신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철도’는 공식 위챗 계정을 통해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1~2월 고정자산 투자 현황을 밝혔다. 자료에 따르면 올 1~2월 전국 철도 고정자산 투자는 685.4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5.1% 늘었다. 중국 매체들은 “철도 중점 공사가 질서 있고 효율적으로 추진되어 지역 경제 및 사회 발전에 새로운 동력을 불어넣었다”고 평했다. 보도에 따르면 올 들어 국가철도그룹은 중앙 정부의 ‘전방위적 내수 확대 및 현대화 인프라 체계 구축 가속화’ 방침을 이행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이는 중국 당국의 ‘두 가지 중점’ 지원 정책을 적극 활용하는 것이다. 특히 춘제 이후 봄철 철로 인프라 보강 사업에 적극 나섰다. 2월에 접어들며 충칭동역이 정적 검수 단계에 들어섰고, 시안-옌안 고속철도의 전 구간 터널이 관통되었
중국 소비자 물가가 연초부터 하락세다. 중국 경제에 디플레이션, 경기 침체의 먹구름이 짙어 지고있다. 중국 당국은 올 경제 성장목표를 5%로 잡고, 내수를 통해 달성하려 하고 있다. 디플레이션 우려가 중국 당국의 이 같은 방침을 어둡게 하고 있는 것이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국가통계국은 이 같은 내용의 2025년 2월 소비자물가지수(CPI) 데이터를 공개했다. 자료에 따르면 2월 CPI는 전월 대비 0.2% 하락, 전년 동월 대비 0.7% 하락했다. 국가통계국 도시사(城市司) 수석 통계사 둥리쥐안(董莉娟)은 “주로 춘절 시기의 차이, 연휴, 일부 국제 원자재 가격 변동 등의 요인에 영향을 받은 결과”라고 분석했다. 실제 지난해 2월에는 춘절 영향으로 식품 및 서비스 가격이 크게 올랐으며, 이로 인해 올해 2월의 비교 기준이 높아졌고, 결과적으로 올해 2월 CPI가 전년 대비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구조적으로 보면, 일부 분야의 가격이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CPI 내 일부 산업 소비재 및 서비스 가격은 안정적으로 상승했고, PPI 하락폭은 다소 축소되었으며, 현재 물가의 완만한 회복세는 변함이 없었다. 2월 CPI가 상승에서 하락으로 전환된 이유는 세
‘2737만 개’ 지난 2024년 중국에서 새로 설립된 기업체 수다. 하루 평균 2만4000개의 기업들이 새로운 경영을 시작한 셈이다. 기업은 한 나라 경제의 주체다. 생산을 도맡아 국가 경제의 성장을 좌우하는 핵심 역량이다. 국가통계국이 28일 발표한 《2024년 국민경제 및 사회발전 통계 공보》에 따르면, 2024년 한 해 동안 신규 설립된 경영 주체는 2737만 개로, 하루 평균 2.4만 개의 기업이 새로 설립되었다. 공보에 따르면, 2024년 한 해 동안 신규 설립된 외국인 투자 기업은 5만9080개로, 전년 대비 9.9% 증가했다. 실제 사용된 외국인 직접 투자(FDI)는 8,263억 위안(약 165조 2,186억 원)에 달했으며, 이 중 ‘일대일로’ 공동 건설 국가(일부 자유항을 통한 대중국 투자 포함)의 신규 외국인 투자 기업은 1만7172개로, 23.8% 증가했다. 정부는 기업을 통해 나라 경제의 성장을 도모하고, 성장하는 기업들은 더 많은 세금을 내 국가의 발전의 토대를 만든다. 개인은 기업에서 노동자로 생산의 핵심 역량을 담당하고 기업에서 얻은 수익을 소비하며 다시 경제의 수레바퀴를 돌린다. 나라 경제에서 기업 활동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
‘90.6%’ 지난해 중국 강소기업들이 제조업 판매수익 분야에서 차지하고 있는 비중이다. 중국의 기술을 갖춘 강소기업들이 중국 경제의 핵심 역량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중국 경제지인 징지관찰바오 등 중국매체들에 따르면 국가세무총국 웹사이트는 이 같은 내용의 ‘전문화·정밀화·특수화·신규화(专精特新)’ 중소기업인 ‘작은 거인(小巨人)’ 기업 현황을 밝혔다. 데이터에 따르면, 2024년 ‘작은 거인’ 기업의 판매 수입 증가율이 전국 평균 수준보다 2.1%p 높았다. 국가세무총국 관계자의 설명에 따르면, 현재 ‘작은 거인’ 기업은 다음 세 가지 측면에서 뚜렷한 특징을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무엇보다 민영기업과 실물경제 비중이 높았다. 지난 024년 민영 ‘작은 거인’ 기업 수는 전체 ‘작은 거인’ 기업의 88.8%를 차지했고, 판매 수입 비중은 85.4%에 달했다. 제조업 부문에서는 ‘작은 거인’ 기업이 전체 기업 수의 82%를 차지했으며, 전체 ‘작은 거인’ 기업의 판매 수입 중 90.6%를 담당했다. 또한, 이들 기업의 판매 수입은 전년 대비 3.2% 증가했다. 특히 컴퓨터·통신·전자기기 제조업과 자동차 제조업 등 첨단 제조업의 성장세가 두드러져, 판매 수입이 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