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9.7%’
중국의 6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다. 이 지수는 50을 기준으로 이상이면 경기 활성화를 의미하고 아래는 경기 위축국면을 예고한다.
지난 6월 중국의 PMI는 전월대비 0.2%포인트 높아진 수치다. 전월대비 높아져 반등국면이기는 하지만 6월에도 여전히 경기 위축을 의미하는 구간에 머물고 있다.
징지찬카오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국가통계국은 이 같은 내용의 6월 PMI 현황을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6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49.7%로 전월 대비 0.2%포인트 상승한 수치다.
중국 매체들은 “계절성을 고려했을 때도 양호한 수준을 보였다”고 분석했다.
자료에 따르면 6월 비제조업 사업활동지수와 종합 PMI 생산지수는 각각 50.5%, 50.7%로 전월 대비 각각 0.2%포인트, 0.3%포인트 상승했다. 세 가지 주요 지수가 모두 반등해 중국 경제 경기 수준이 전반적으로 확장 국면을 유지하고 있음을 나타냈다.
중국 증권사 동방금성의 수석 거시분석가 왕칭은 중국 매체에 올해 들어 안정적 성장 정책의 효과가 지속되고 있으며, 6월 제조업 PMI 지수도 상승세를 이어가고, 종합 PMI 생산지수는 확장 구간에서 계속 상승해 6월 거시경제가 안정적이면서도 강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실제 6월 주요 경제 지표 다섯 개 중 네 개는 상승하고 한 개는 하락했다. 6월 생산지수, 신규 주문지수, 원자재 재고, 공급업체 납기 지수는 전월 대비 상승했으나, 고용지수는 0.2%포인트 하락해 47.9%를 기록해 4월과 동일했다.
국가통계국 데이터에 따르면, 6월 생산지수와 신규 주문지수는 각각 51.0%, 50.2%로 전월 대비 각각 0.3%포인트, 0.4%포인트 상승해 제조업 생산활동이 가속화되고 시장 수요가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생산과 수요가 회복되면서 기업의 구매 의사도 강화돼 구매량 지수는 50.2%로 전월 대비 2.6%포인트 상승했다.
가격 지수 반등도 주요한 특징이었다. 데이터는 6월 주요 원자재 구매가격 지수와 출하가격 지수가 각각 48.4%, 46.2%로 전월 대비 1.5%포인트 상승해 제조업 시장 가격 수준이 전반적으로 개선됐음을 보여줬다.
국가통계국 서비스업조사센터 수석 통계사 자오칭허는 최근 국제 원유 가격 상승 등 요인으로 석유·석탄 및 기타 연료 가공업의 주요 원자재 구매가격 지수와 출하가격 지수가 눈에 띄게 반등했다고 분석했다. 그러나 철광석 등 원자재 가격이 계속 하락하고 최종 수요가 부족한 배경에서 흑색 금속 제련 및 압연 가공업 가격 지수 두 개가 모두 하락해 관련 산업 시장 가격이 약세를 보였다고 덧붙였다.
전반적으로 보면, 시장 수요가 다시 확장 구간에 진입해 생산이 계속 상승세를 보였으며, 이러한 지표들은 중국 경제가 충분한 회복력을 갖추었음을 반영했다. 2분기 경제 성과는 전년 동기 대비 더 강한 회복력을 보일 것으로 전망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