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팬데믹 이후 중국의 관광 열기가 되살아 나면서 올 여름, 중국 칭하이성 관광 상품 매출 동기 대비 31%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칭하이는 중국에서도 독특한 자연환경으로 유명하다. 신장위구르 자치구와 티베트 자치구에 인접한 중국 서부 지역의 성이다. 끝없이 펼쳐지는 고원 속에 사람의 발길이 닿지 않은 원시의 모습이 담겨 있어 중국인은 물론 중국을 찾는 외국 관광객들에게 인기를 끌고 있다. 중국의 여행 플랫폼인 통청 데이터에 따르면, 올 7월~ 8월 플랫폼에서 칭하이 관광객 수는 전년 동기 대비 29% 증가했다. 전체 주문량은 전년 동기 대비 26% 이상 늘었다. 지난 2019년 동기 대비해서는 거의 50% 급증했다. 중국 관광 열기가 코로나 사태 이후로 빠르게 제모습을 되찾고 있는 것이다. 그중 호텔, 중국 국내 항공권, 관광지 등 예약수는 모두 전년 동기 대비 20% 이상 증가했고, 국제 항공권 예약수는 전년 동기 대비 225% 늘었다. 올 들어 칭하이 문화관광 부서는 국제 생태 관광지로 거듭나기 위한 목표와 사계절 전역 관광 개발을 방향으로 설정, 문화관광 산업의 고품질 발전을 꾀했다. 방치된 자연을 그대로 관광객에게 보도록 하는 게 아니라 관리된
올 중추절 연휴 3일(9월 15~17일) 동안 6억 3000만 명 가까운 이들이 중국 전역을 이동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동기 대비 31%이상 늘어난 수치다. 연휴기간은 비롯 짧았지만, 동양 최대의 명절을 가족과 함께 보내려는 마음을 막지 못한 것이다. 신화통신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총 6억 2956만 4천 명, 일 평균 승객은 2억 985만 4천 명이 중추연휴기간 이동을 했다고 교통부는 집계했다. 2023년 같은 기간에 비해 일 평균 31.1% 증가했다. 중국 교통부에 따르면 철도여객은 4,257만 3000명, 일평균 1,419만 1000명, 수로여객은 198만 1000명, 일평균 66만명, 민간항공여객은 506만 9000명, 일평균 169만명을 기록했다. 고속도로(고속도로와 일반 국도 및 지방도로의 비상업용 승용차 통행, 고속도로의 상업용 여객 통행 포함)의 지역 간 유동인구는 5억 7,994만 명이며, 하루 평균 승객은 1억 9,331만 3000 명에 달했다. 한국 못지 않게 무더위가 기승을 부렸던 중국은 중추 연휴 기간 중국의 대표 휴양지인 하이난섬을 찾은 외국 관광객들도 크게 늘었다. 연휴 기간 동안 하이난의 공항을 이용한 출입국 인원은 1
중국 경제지표에서 첨단기술 산업투자 증가세가 6개월 연속 두자릿 수 증가세를 시현했다. 그만큼 중국이 첨단 기술 분야에 대한 투자에 적극적이라는 의미다. 19일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국가통계국은 최근 올 1~8월 간 경제 데이터들을 정리해 발표했다. 류아이화 국가통계국 대변인 국민경제종합통계국 국장은 "고온의 날씨와 폭우로 인한 홍수 등의 자연재해에도 불구하고 각 지역과 부문에서 거시 정책의 효과가 계속해서 나타나고 있다"고 자평했다. 통계국에 따르면 산업 분야에서는 8월 규모 이상의 산업 부가가치가 전년 동기 대비 4.5% 증가했다. 이는 중국 정부의 목표치 5% 안팎의 성장보다는 조금 못미치는 수준이다. 다만 장비 제조업과 첨단 기술 제조업, 특히 신에너지 자동차, 서비스 로봇, 집적회로 등의 제품 생산량이 크게 증가힌 점은 고무적이라는 게 중국 매체들의 평가다. 이번 8월 서비스업 생산 지수는 전년 동기 대비 4.6% 상승했다. 현대 서비스업의 성장세가 양호하고, 정보 전송 소프트웨어와 정보기술 서비스업, 임대 및 비즈니스 서비스업 생산 지수는 각각 12.1%, 9.4% 증가세를 시현해 중국 산업 서비스도 IT기술 분야에 그 성장세가 쏠려 있음을
5일간의 황금 연휴였던 한국도 마찬가지이지만, 중국 역시 중추절 황금 연휴를 이용한 소위 '민족 대이동'이 시현됐다. 올 중추절 연휴 첫날 중국에서는 2억 명이 지역간 이동을 했다. 18일 중국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교통운수부는 이 같은 '민족대이동' 현황 데이터를 집계해 발표했다. 데이터에 따르면, 연휴 첫날인 15일 당일 전국적으로 지역 간 이동 인원이 2억 1592만 4000명을 기록했다. 이는 전일 대비 10.6% 증가한 수치다. 이 중 도로 이동 인원(고속도로 및 일반 국도와 지방도의 비영업용 소형 차량 이동 인원과 도로 영업용 여객 수송량 포함)은 1억 9,645만 명으로, 전일 대비 9.5% 증가했다. 고속도로 및 일반 국도와 지방도의 비영업용 소형 차량 이동 인원은 1억 6,007만 명으로, 전일 대비 11.1% 증가했다. 또 도로 영업용 여객 수송량은 3,638만 명으로 3.2% 늘었다. 다만 수로 여객 수송량은 54만 4,100명으로 전일 대비 1.0% 감소했다. 또 항공 여객 수송량은 184만 4,900명으로 전일 대비 13.4% 줄었다. 지난 2023년 동기 대비 2.0% 감소했으나 2019년 같은 기간 대비 16.9% 는 수치다. 연휴
중국에서 올 1~8월 사이 수출입 실적이 있는 대외무역기업 수가 무려 63만개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동기 대비 약 9% 가량 늘어난 수치다. 중국은 글로벌 무역 시장에서 제조와 유통망을 장악하고 독주해 각국의 견제를 받는 상황이다. 중국 전문가들은 "각국의 견제가 갈수록 심해지는 상황 속에서 중국 각 기업들이 아직 선전을 하고 있다"고 평하고 있다. 하지만 중국에 대한 각국의 견제가 갈수록 심화하는 가운데 중국 기업들의 선전 역시 언제까지 이어질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세관은 최근 올 1~8월 간 무역데이터를 발표했다. 발표된 데이터에 따르면 올 1~8월 간 중국에서 수출입실적이 있는 대외무역기업은 63만개에 이른다. 이는 전년 대비 8.8% 는 수치다. 이 중 대외무역의 주력인 민간기업 수출입액만 15조7400억 위안에 달한다. 중국의 올 1~8월 간 무역액은 이들 63만 개 기업들의 선전에 힘입어 첫 8개월 동안 계속 성장했다. 수출입 총액은 28조 5800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6% 증가했다. 이중 수출액은 16조4500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6.9% 늘었고, 수입액은 12조1300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4.
올 1~8월 중국 전역의 고정 자산 투자가 전년 동기 대비 3.4%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중국의 소비와 투자가 3% 이상의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이는 중국 당국이 밝힌 국가 성장목표인 5%에는 못미치지만, 침체 우려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양호한 수치여서 주목된다. 17일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국가통계국은 14일 이 같은 내용의 투자 현황 자료를 발표했다. 발표 자료에 따르면 올 1~ 8월 간 중국 고정자산 투자(농가 제외)는 32조 9,385억 위안이었다. 한화로는 약 6,177조 6,156억 원에 달하는 금액이다. 전년 동기 대비 3.4% 증가한 수치다. 다만 민간 고정자산 투자는 16조 7,911억 위안(약 3,149조 1,708억 원)으로 0.2% 줄었다. 월별로는 8월 고정자산 투자(농가 제외)가 0.16% 늘었다. 연초 투자증가가 상대적으로 둔화하고 있는 것이다. 산업별로 보면, 1차 산업 투자는 6,146억 위안(약 115조 2,682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9% 증가했다. 2차 산업 투자는 11조 2,778억 위안(약 2,115조 1,513억 원)으로 12.1% 늘었다. 3차 산업 투자는 21조 461억 위안(약 3,94
중국의 지난 1~ 8월 간 소비품 소매 총액이 31조 2452억 위안에 달했다. 한화로는 약 5,860조 372억 6,000만 원 가량이다. 전년 동기 대비 3.4% 늘었다. 중국은 현재 극심한 소비침체기에 빠져들고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는 상황이다. 이번 수치는 소폭이지만, 여전히 소비가 증가세에 있다는 것이어서 주목된다. 17일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통계국은 이 같은 내용의 중국 소비 현황을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8월 소비재 소매총액이 38억 7260만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2.1% 늘었다. 이에 올 1~8월 소비재 소매총액은 31조 2452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3.4%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8월 도시 소비재 소매액은 3조 3,575억 위안으로 동기 대비 1.8% 증가했고 농촌 소비재 소매액은 5,151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3.9%. 늘었다. 이에 올 1~8월 간 도시지역 소비재 소매액은 270,825억 위안으로 동기 대비 3.2% 늘었고, 같은 기간 농촌 소비품 소매액은 4조 1,627억 위안으로 4.4% 증가했다. 소비 유형별로 보면 8월 상품 소매액은 3조 4,375억 위안으로 동기 대비 1.9% 늘었고 요식업 수입은 4
지난 한 해 중국의 체육 서비스 무역 수출입 총액이 528억 9000만 위안을 훌쩍 넘어섰다. 한화로는 약 9조 8,936억 원 가량이다. 전년동기 보다 178% 늘어난 수치다. 중국의 스포츠 산업도 갈수록 그 성장의 기세를 키우고 있다. 16일 중국매체들에 따르면 지난 12일, 2024년 중국 국제 서비스 무역 거래회의 스포츠 서비스 주제 포럼 및 스포츠 서비스 무역 발전 대회에서 <2023년 중국 스포츠 서비스 무역 발전 보고서>가 발표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중국 주요 스포츠 서비스 무역의 수출입 총액이 크게 증가하여 528억 9천만 위안(약 9조 8,936억 원)에 달했으며, 전년 동기 대비 178% 증가하여 같은 기간 중국 서비스 무역 수출입 총액의 0.8%를 차지했다. 중국 국가체육총국 체육경제사 양쉐둥(杨雪鸫) 사장은 중국의 주요 스포츠 서비스 무역이 직업 스포츠 경기 공연, 스포츠 행사 후원, 스포츠 행사 저작권 거래, 인터넷 스포츠 서비스, 스포츠 관광 등 5대 부분으로 구성된다고 소개했다. 지난 2023년 중국 주요 스포츠 서비스 무역이 빠르게 회복하고 급속히 성장하였으며, 그 중 수입액은 517억 2천만 위안(약 9조
중국 바이오 산업이 국내시장을 기반으로 급속한 성장세를 예고하고 있다. 중국 의료 당국이 올 1~8월 사이 혁신 의약품만 31개를 승인했다. 중국은 15억 인구가 의약품을 이용한다. 최근 중국은 경제 수준이 높아지고 빠르게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면서 단일 시장으로는 세계 최대의 의료 시장으로 부상한 지 오래다. 중국 바이오 산업은 이 같은 국내 시장을 바탕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16일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국가 약품 관리 감독국, 올해 첫 8개월 동안 혁신 의약품 31개 승인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9.23% 증가한 수치다. 그만큼 중국 바이오 산업이 급속이 성장하고 있다는 방증이다. 증가중국 국가 약품 관리 감독국 국장 리리(李利)는 지난 13일 국무원 신문판공실에서 '고품질 발전 촉진 시리즈' 주제 기자회견을 통해 이 같이 밝혔다. 그는 "국민의 안전한 의약품 사용을 보장하고 의약품 품질 향상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의약 산업의 고품질 발전이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리리 국장에 따르면 중국 국가 약품 관리 감독국은 심사 및 승인 제도 개혁을 심화하고, 주요 품목에 대해 '사전 개입, 기업별 맞춤 전략, 전 과정 지도, 연구와 심사 연계'를 시행
올 8월 중국 택배 발전 지수가 전년동기 대비 12.6% 늘었다. 택배가 는다는 것은 그만큼 물동량이 늘었다는 의미다. 중국의 제조 물동량은 아직 두자릿수 성장을 구가하고 있는 것이다. 13일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국가우정국은 12일 올 8월 중국 택배 발전 지수가 407로, 전년 동기 대비 12.6% 상승했다고 밝혔다. 그중 발전 규모 지수, 서비스 품질 지수 및 발전 능력 지수는 각각 510.1, 603.6, 221.6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7.2%, 5.3%, 6.5% 상승했다. 발전 추세 지수는 64.3으로 나타났다. 8월 동안 택배 시장은 원활하게 운영되었고, 네트워크 구축이 질서 있게 진행되었으며, 서비스 품질이 개선되었고, 무인 기술의 적용이 가속화되었으며, 국경 간 서비스 능력이 꾸준히 향상되었다. 8월 택배 발전 규모 지수는 510.1로, 전년 동기 대비 27.2% 상승했다. 세부 지표에 따르면 8월 택배 물량은 전년 동기 대비 약 19%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수익은 전년 동기 대비 약 11%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8월 동안 택배 기업들은 장마철 사고 방지에 적극 나섰다. 결과적으로 큰 사고 없이 하루 최대 택배 물량이 4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