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조 1,292억 위안’ 한화로 약 1,377조 4,327억 원 가량이다. 중국의 올 상반기 전국 규모 이상 문화 및 관련 산업 기업들의 영업 수익액이다. 전년동기 대비 7% 이상 늘어난 수치다. 2분기 증가폭이 1분기보다 빨랐다. 문화 소비는 중국의 새로운 소비 특징 중 하나다. 중권신원왕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국가통계국은 최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중국 문화 산업 현황을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올 상반기 전국 규모 이상 문화 및 관련 산업 기업들의 영업수익이 7조 1,292억 위안에 달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7.4% 증가한 수치다. 증가율은 1분기보다 1.2%포인트 빨라졌다. 이 중 문화 핵심 분야는 4조 8,445억 위안(약 936조 58억 원)의 영업수익을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10% 늘었따. 증가율은 역시 1분기보다 2.9%포인트 빨랐다. 국가통계국 사회과학문화통계사 판쉬화는 이 자료를 해석하며, 상반기 동안 각 지역과 각 부처가 문화 소비 시장 환경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문화 제품과 문화 서비스의 공급 능력을 꾸준히 향상시킴에 따라 문화 기업의 생산과 경영이 안정적이고 비교적 빠르게 성장했다고 밝혔다. 문화 서비스업이
‘더 이상 도시 마천루로 경쟁하지 말아야 한다.’ 중국 도시들은 한 때 누가 먼저 중국에서 제일 높은 빌딩을 갖느냐 경쟁을 벌여왔다. 하지만 그로 인한 난개발 등의 문제도 적지 않았다. 흉물이 된 고층 빌딩도 문제였다. 중국 매체가 이 같은 풍토를 정면으로 비판하고 나섰다. “도시는 누가 더 높은 빌딩을 짓는가를 겨루던 시대를 이제 정말로 뒤로할지도 모르겠다.”고 지적했다. 실제 중국 당국에서도 비슷한 움직임이 감지되고 있다. 최근 개최된 중국 중앙도시공작회의(중앙 도시 업무 회의)에서는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회복탄력성 도시 건설에 힘써야 한다"라며, 구체적인 실천 과제로 초고층 건물의 건설을 엄격히 제한하고, 주택 안전 보장 수준을 전면적으로 제고해야 한다"라고 제시했다. 이는 중앙 정부 차원에서 건축물 ‘고도 제한’이라는 정책 신호를 분명히 내보낸 것이라는 게 중국 매체의 분석이다. 일반적으로 초고층 건물은 40층 이상, 높이 100미터 이상의 건축물을 가리킨다. 여기에 일반 주거용 건물은 물론 업무용 건물 등 공공건축물도 포함된다. 현재 중국은 세계에서 초고층 건물이 가장 많고 증가 속도도 가장 빠른 국가다. 통계에 따르면 중국의 마천루 수는 세계
올 상반기 중국의 재정 수입은 0.3% 소폭 줄었지만, 지출은 3.4%로 상대적으로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당국이 적극적인 재정정책을 펼친 결과로 보인다. 중궈신원왕 등 중국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재정부는 최근 2025년 상반기 재정수입과 지출 상황을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올 상반기 중국의 일반 공공예산 수입은 약 11조 5,600억 위안, 한화로 약 2,237조 2,068억 원 가량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0.3% 감소한 수치다. 다만 감소폭은 1분기보다 0.8%p 축소되었다. 반면 올 상반기 중국의 일반 공공예산 지출은 14조 1,300억 위안, 한화로 약 2,734조 5,789억 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3.4% 증가한 수치다. 중국 재정 수입은 소폭 줄었지만, 지출은 상대적으로 크게 늘어난 것이다. 발표 자료에 따르면 중국의 세수 수입은 9조 2,900억 위안, 한화로 약 1,797조 8,937억 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동기 보다 1.2% 준 수치다. 비세수 수입은 2조 2,700억 위안, 한화로 약 439조 3,131억 원으로 3.7% 증가했다. 중앙과 지방을 구분해서 보면, 중앙 일반 공공예산 수입은 4조 8,60
‘7,155억 위안’ 한화로 약 138조 2,131억 원 가량이다. 중국의 올 6월 규모이상 제조업의 이익 총액이다. 전년동기보다 2% 가까이 줄어든 모습이다. 중국 기업들간 경쟁이 그만큼 격화하고 있다는 의미다. 둥팡차이푸왕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국가통계국은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6월 제조업황을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지난 6월 제조업 이익이 5월의 4.1% 감소에서 1.4% 증가로 전환됐다. 6월 규모 이상 공업기업의 이익 총액은 7,155억 위안(약 138조 2,131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3% 감소했다. 다만 감소 폭은 5월보다 4.8%p 축소되었다. 1월부터 6월까지 상반기 중국 규모 이상 공업기업의 이익 총액은 3조 4,365억 위안(약 663조 8,287억 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8% 줄어든 수치다. 국가통계국 산업사 통계사 위웨이닝은 다음 단계에서 복잡하고 변화무쌍한 외부 환경에 직면하여 전국 통일 내수시장 건설에 주력, 경기 선순환 구축에 힘썼다고 밝혔다. 중국 당국은 지속적인 재정정책을 펼쳐, 기업들의 수익을 올려 공업경제의 발전을 꾀한다는 계획이다. 데이터에 따르면, 6월 규모 이상 공업기업의
‘9,055억 위안’ 한화로 약 173조 8,650억 원 가량이다. 중국의 올 상반기 전기통신 사업 누적 수입액이다. 전년동기 대비 1% 가량 증가한 수치다. 중국 인터넷 이용자가 포화상태라는 점을 보여준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다만 누적 트래픽이 여전히 두 자릿수 증가세를 보이고 있어, 중국 경제가 빠르게 인터넷 경제로 재편되고 있음을 보여줬다. 중궈신원왕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공업정보화부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2025년 상반기 중국 통신업 운용 현황’을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올 상반기 전기통신 사업 수입은 누적 9,055억 위안(약 173조 8,65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 증가했다. 이동 인터넷 누적 트래픽은 1,867억GB로 전년 동기 대비 16.4% 증가했다. 중국 매체들은 올 상반기 동안 중국의 통신업 운영은 전반적으로 안정세를 유지했다고 평가했다. 중국 경제는 빠르게 온라인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다. 제조에서 IT기술을 활용한 자동화가 이뤄지고 있고, 판매와 유통은 온라인 플랫폼을 중심으로 새롭게 통합되고 있다. 온라인에서 제폼 정보의 비대칭성이 최소화하면서 백화점을 가더라도 브랜드 정보를 검색하고 나선다
“존뚜가뚜(尊嘟假嘟)”, “XSWL” 중국 인터넷에서 새롭게 쓰이는 언어들이다. 전자는 ‘진짜야 가짜야?’라는 말을 어린애가 발음하듯 ‘쯘짜야, 까쯔야?” 하고 한 것이다. 애교를 넣은 표현이다. 후자는 ‘우스워 죽겠다’ 한자 표현의 영어 발음 표기의 머리글자만 딴 것이다. 한국도 마찬가지만 중국에서도 인터넷 신조어들이 하루가 다르게 등장하고 사라진다. 중국의 최고 권위지인 런민르바오가 이 같은 언어의 생동감 속에 그래도 교양과 중국 자체에 대한 애정이 담겨야 한다고 주장하고 나서 눈길을 끌고 있다. 다음은 매체의 주장이다. 음성 유희나 약어 유행어가 인터넷 곳곳에서 넘쳐났고, “위안(媛)”, “노육(老六)” 등 본래의 중립적 단어들이 부정적인 의미로 바뀌었으며, “쏘하(梭哈)” 같은 게임 속 은어는 일반인이 이해하기 어려운 표현이 되었다. 얼마 전, 이러한 인터넷 속의 ‘은어와 난해한 유행어’의 확산을 문제 삼아 일부 온라인 플랫폼들이 공지를 발표하고, 플랫폼 내 비표준 언어 표현을 정비하겠다는 방침을 명확히 하며 건강하고 문명적인 온라인 언어 환경 조성에 나섰다. ‘은어와 난해한 유행어’ 같은 비표준 표현은 언어의 명확성과 아름다움을 훼손할 뿐만 아니라,
‘455만 개’ 중국의 올 상반기 현재 5G 기지국 수다. 세계 최대다. 빠르게 온라인 중심의 ‘플랫폼 경제’로 변신하는 중국 산업구조 재편의 핵심 역량이다. 중국의 전기통신 산업 성장세는 이미 포화상태다. 이 포화상태인 전기통신업을 기반으로 여타 산업의 구조 재편이 가속화하고 있는 것이다. 중궈신원왕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산업정보화부는 이 같은 내용의 전기 통신산업 기반 현황을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6월 말 기준, 중국 5G 기지국 총수는 455만 개에 달했고, 5G 이동전화 가입자는 11억 1,800만 명으로, 사용자 보급률은 79%를 초과했다. 기가급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포트 수는 3,022만 개에 이르렀고, 기가급 광대역 사용자 수는 2억 2,600만 명에 달했다. 산업정보화부 정보통신발전사 사장 셰춘은 “올해 상반기 중국 전기통신 업무 총량은 전년 동기 대비 9.3% 증가했다”고 밝혔다. 그는 “정보통신 산업은 전반적으로 안정적인 운영세를 유지했다”며 “다음 단계로 우리는 네트워크 구축 및 업그레이드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5G 및 기가급 광통신망의 커버리지 심화 및 확대를 강화하며, 5G-A 및 10기가 광통신망의 시범 구축을 가
중국의 재정수입이 지난 4월부터는 3개월 연속 전년 동기 대비 증가세를 유지해 주목된다. 재정을 통해 경기를 부양하고 결과적으로 세수가 늘어나는 선순환의 징조일 수 있기 때문이다. 중궈신원왕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재정부는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올 상반기 중국 재정밸런스 현황을 공개했다. 무엇보다 중국 재정수입이 전 분야에서 전반적으로 다 전년 수준의 양호한 모습을 보였다. 업종별로 보면, 올 상반기 철도·선박·항공우주 장비, 컴퓨터 및 통신장비, 전기기계 및 설비 등 장비 제조업 관련 세수는 각각 32.2%, 9.2%, 6.3% 증가했다. 과학 연구 및 기술 서비스업 세수는 13.8% 증가, 문화·체육·오락 업종의 세수는 8.6% 증가했다고 전했다. 중국 매체들은 “신성장 동력이 이끄는 산업의 발전세가 뚜렷하고 산업 고도화 경향이 강해지며, 재정 수입의 구조가 지속적으로 합리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고 평가했다. 상반기 일반 공공예산 주요 지출 항목 중에서 가장 큰 증가율을 보인 것은 사회보장 및 고용 분야였다. 중국 재정부 사회보장사 부국장 거즈하오는 “고용 우선 전략을 시행해 중앙재정에서 667억 4,000만 위안(약 12조 9,161억
‘28.4%, 25.2%’ 올 상반기 중국 상하이 시의 디지털 제품 제조업과 고기술 제조업 판매 수익의 전년동기 대비 증가 폭이다. 중국 기술 산업의 핵심 도시 가운데 하나인 상하이시가 중국 전자 및 고기술 산업의 압도적인 성장세를 대변해주고 있다. 신민완바오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상하이시는 최근 부가가치세 세금계산서 등을 토대로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시 산업 발전 현황을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상하이시의 다른 산업 발전은 소폭 증가하거나 제자리 걸음을 했으나, 전자, 고기술 제조업은 20% 대의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 시 당국 발표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상하이 제조업체의 판매 수입은 전년 동기 대비 2.7% 증가했다. 그 중에서도 장비 제조업, 디지털 제품 제조업, 고기술 제조업의 판매 수입은 각각 7.9%, 28.4%, 25.2%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중국 매체들은 “올해 상반기 상하이시의 경제 활력이 지속적으로 강화되었고, 신형 생산력이 끊임없이 육성되며 발전의 질이 꾸준히 향상되었다”고 보도했다. 중국 매체에 보롱장비기술주식회사의 장링롱 회장은 “첨단 기술, 국제적 배치, 정책 혜택 덕분에 회사는 고품질 발전의 고속도로에 진입했다”고 밝혔
‘제3회 중국국제공급망엑스포(China International Supply Chain Expo, CISCE)’가 20일 베이징에서 막을 내렸다. 엑스포 기간 중, ‘녹색농업’을 주제로 한 특별 행사가 열렸다. 참석자들은 이번 행사를 통해 중국이 농업 발전 방식을 적극적으로 전환하고, 녹색농업 산업망 구축을 가속화하며 글로벌 친환경 농업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고 평가했다. 카를로스 와트슨 유엔식량농업기구(FAO) 중국 주재 대표는 “중국은 혁신, 가치 창출, 녹색 기술 분야의 중심지로 자리 잡고 있으며, 관련 분야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개발(R&D) 투자 덕분에 첨단 기술 영역에서 선도적인 위치에 올랐다”고 말했다. 엑스포의 6대 핵심 산업망 중 하나인 ‘녹색농업망’ 전시구역은 ‘논밭에서 식탁까지’를 주제로 구성됐다. 이번 전시에는 전통적인 농업 선도 기업뿐 아니라 선별 장비, 검사 기기, 스마트 포장 등 농업 공급망의 세분화된 분야에 특화된 전문 기업들도 대거 참여해 이목을 끌었다. 많은 기업이 농업의 현대화와 지능화를 실현한 최신 사례들을 집중적으로 선보였다. 황둬둬(黃多多) 얌 차이나(百胜中国·Yum China) 공급망 최고책임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