穷质量 qióng zhìliàng 품질이 낮다 真倒霉!我昨天刚买的笔,今天坏了!... Zhēn dǎoméi!Wǒ zuótiān gāng mǎi de bǐ,jīntiān huàile! 정말 운이 없어요! 어제 산 펜이 오늘 망가졌어요! 你是在路边的商店买的吗? Nǐ shìzài lùbiān de shāngdiàn mǎide ma? 노점에서 산 거에요? 是啊! Shì a! 맞아요! 以后不要去那儿买东西了,那的东西质量很穷! Yǐhòu búyào qù nàér mǎi dōngxī le,nà de dōngxī zhìliàng hěn qióng! 다음부터는 거기에서 사지 말아요, 거기 물건의 품질이 아주 가난해요! *영어의 ‘poor’은 ‘나쁘다’라는 뜻도 있고 ‘빈곤하다’이라는 뜻도 있기 때문에 벌어진 실수이다. ‘품질이 나쁘다’의 중국어 표현은 ‘品质差’이다. ‘差(chà)’는 ‘나쁘다, 표준에 못 미치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맞는 문구: 后不要去那儿买东西了,那的东西质量很差! hòu bùyào qù nàér mǎi dōngxī le,nà de dōngxī zhìliàng hěn chà! 作者:刘志刚 画家:宋海东
신체 어느 한 곳이 중요하지 않으랴. 예부터 ‘身體髮膚受之父母’(신체발부수지부모: 몸과 머리 피부 모두는 부모가 주신 것이다)라 했다. 몸의 어느 하나도 내 것이 아닌 부모님의 것이니, 아끼고 아끼라는 의미다. 요즘엔 이 말을 듣고 내께 아니니까, 마음대로 하지 하는 젊은이도 있을 수 있겠다. 옛날엔 내 것은 함부로 막대해도 남의 것, 특히 부모, 친지, 친구 등 친족과 지인의 것은 함부로 하지 못하고 더욱 아껴 나온 말이다. 머리도 귀중하고 손도 귀중하고 가슴도 귀중하다. 그럼 그 중에서 우리가 꼭 중요하다 알아야 할 건 무엇일까. 머리? 손? 가슴? 옛 현인들이 꼽은 의외로 발(足)이다. 한자에서 발은 다양한 기호로 쓰인다. 지(止), 족(足), 치(夂) 등이 대표적이다. 머리도, 손도, 가슴도 아닌 발이라니? 현인들은 왜 발을 아는 걸 중시했을까? 발은 기본적으로 이동의 뜻이 있다. ‘걸어간다.’는 게 발의 기능이다. 누구나 알아 잊지 않는 부분이다. 반면 누구나 알아서 쉽게 잊는 부분도 있다. 마치 공기가 흔해서 그 소중함을 모르듯, 너무 중요한 데 너무 당연해서 잊는 부분이다. 발의 ‘멈춘다’는 기능이다. 발은 걸어만 가는 게 아니다. 걸어가 목적지
'천리 길도 한 걸음부터'는 고래로 동양에서 집안을 일으키고, 나라를 일으킨 이들이 가장 되새긴 명언이다. 반면 ‘조장’(助長)은 마음이 급한 이가 벼가 빨리 자라도록 위에서 잡아당겨 돕는다는 의미로, 무리해 서두르면 결국 뿌리를 내리지 못하게 해 벼를 죽인다는 무시무시한 경고다. 동양의 사업가들이 가장 경계하는 말이다. 본래 진리는 쉽고 단순하다. 뭐 이런 게 지혜라고 할 수도 있다. 하지만 그 단순한 것을 실천할 때 그 끝에 성공이 있다. 성공은 지난한 실천의 결과일 뿐이다. 사업의 성공이라고 다르지 않다. 중국의 호설암의 고사가 있다. 호설암은 중국 청나라 말기 대상인이다. 가난한 집에서 태어나 전장 점원에서, 음식점 점원에서 큰 기업가가 됐다. 중국 상인들 가운데 청나라 정식 관직을 얻었다. 홍정상인이라고 칭했다. 중국 문호 루쉰도 그를 높게 평가했다. 강남 쌀 거래를 독점하고, 중국 전역에서 전장을 연 근대 중국 금융업의 시조다. 당시만 해도 무역을 하기 위해 상인들을 금덩이를 수많은 경비원을 동원해 들고 다녀야 했다. 하지만 호설암이 세운 전장을 통해 강남에 금덩이를 맡기고 증명서만 들고 가면 강북에서 금을 찾을 수 있었다. 중국 면화산업을 독점해
迟迟白日晚 chí chí bái rì wǎn 袅袅秋风生 niǎo niǎo qiū fēng shēng 岁华尽摇落 suì huá jìn yáo luò 芳意竟何成 fāng yì jìng hé chéng 뉘엿뉘엿 하루 해 지면, 솔솔 가을바람 불고, 낙옆따라 한 해도 가네. 아 꽃은 언제나 피려나? “츠츠”, “뇨뇨” 둘 모두 귀를 확 당긴다. 소리도 재미있지만, 뜻은 더 재미있다. 츠츠는 꾸물대는 모양이고, 뇨뇨는 하늘대는 모양이다. 바람이 하늘하늘, 즉 솔솔 분다는 의미다. 마치 바람을 눈에 본 듯 묘사했다. 한문의 독특한 맛이다. 다시 시로 돌아가자. 하루 해는 뉘엿뉘엿 지고 바람이 솔솔 불어온다. 그런데 어느 새 불어온 바람에 가끔 찬기가 느껴진다. ‘아! 가을이구나, 그래서 저 석양이 이리도 붉었구나’ 생각하는 데 문뜩 서글프다. 한 해가 또 어느 새 지나고 있기 때문이다. 돌아보니 스스로가 한 해, 한 해가 아쉬운 나이가 됐다. 그 때 불연듯이 떠오르는 의문, "올 해 꽃을 봤던가?" "도대체 내 인생의 꽃은 언제 피었던가?" 진자앙(陈子昂; 661~702)의 시다. 진자앙은 참 격정적인 삶을 산 인물이다. 어려서 문 걸어 잠그고 경서를 독파, 진사에 급
아름답다는 단어처럼 복잡하고 추상적인 게 있을까? 미(美)는 굳이 칸트의 지적이 아니어도 그 자체로 이율배반적이다. 미(美)에 붙는 수많은 형용사가 증명한다. 화려한 미가 있고 단순한 미도 있으며 …. 현대적 미가 있는가 하면 고전적 미도 있다. 개인마다 선호하는 미(美)가 다르다. 또 일단 미라 불리는 것에 대해 인간 모두가 느끼는 인간이라 느끼는 그런 보편적인 미(美)도 있다. 그래서 서양의 철학자들은 미라는 감성을 보편과 주관, 취미로 나눴다. 미적 감각은 인간만의 특징이다. 동물과 달리 인간이어서 느끼고 추구하는 게 미(美)다. 아름다움은 다시 숭고함으로 의연함으로 말초적인 것으로 심오함으로 나뉘기도 한다. “글이 생겨 오해를 낳았다”는 노자의 말처럼, 미(美)는 마치 봄비 맞은 이끼처럼 이리저리 새롭게 뿌리를 내려 자랐다. 결국 누구도 쉽게 미(美)를 이해하고 이야기하기가 어렵게 됐다. 한자는 다르다. 한자의 세계에서 미(美)는 글자가 만들어진 순간부터 지금까지 미(美)일 뿐이다. 단지 많은 이들이 그 본연의 뜻을 잊고 살 뿐이다. 갑골문자 미(美)는 춤추는 무당이다. 깃털로 장식한 무당의 모습이다. 자형으로는 양(羊) 아래 큰 대(大)가 있다.
안다는 게 무엇인가? 하나의 사물을 아는 방법은 본래 두 가지다. 하나는 밖에서 그 경계를 아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안에서 그 경계를 아는 것이다. 경계의 선은 분명 하나지만, 둘의 인식 방식은 극과 극이다. 안다는 건 그런 것이다. 안에서 밖에서 모두 아는 게 진정 아는 것이다. 안다는 뜻의 한자도 두 가지다. 하나가 지(知)요, 다른 하나가 지(智)다. 네이버 사전에 따르면 지(知)는 ‘알다’, ‘깨닫다’, ‘들어서 알다’ 등의 뜻이다. 반면 지(智)는 ‘슬기롭다’, ‘사물의 도리를 알다’, ‘꾀’, ‘모략’ 등의 뜻이다. 마치 지(知)는 형이하학적이며 지(智)는 형이상학적으로 들린다. 또 그렇게만 보기에, 묘하게 지(智)에는 모략, 꾀라는 부정적인 의미도 담겨있다. 한자에서 지(智)가 지(知)보다 오래된 글자다. 지(智)는 갑골자가 있지만, 지(知)는 없다. 지(知) 후대인 청동기 금문에서 등장한다. 묘하게 복잡한 글자가 단순한 자보다 더 먼저 등장한 것이다. 그래서 학자들은 지(智)와 지(知)가 한 글자라 본다. 금문에 등장하는 지(知)는 화살 시(矢)과 말하는 입 구(口)의 조합이다. 갑골자 지(智)의 자형은 좀 복잡하다. 일부 글자는 화살이
家荣,听说你跟你的女朋友分手了。... Jiā Róng,tīngshuō nǐ gēn nǐde nǚpéngyǒu fēnshǒu le. 찌아롱, 여자친구랑 헤어졌다면서요. 是啊! 我受不了她! Shì a! Wǒ shòubùliǎo tā! 네! 정말 못 견디겠어요! 怎么了? Zěnme le? 왜요? 我们吵架的时候,她总是“喊”我! Wǒmen chǎojià de shíhòu, tā zǒngshì“hǎn”wǒ! 우리가 싸울 때, 그녀는 항상 나를 불러요! *‘喊我’라는 표현은 ‘나를 부르다’라는 뜻이다. ‘喊’이라는 단어 자체에는 ‘소리지르다’라는 뜻이 있지만, ‘누군가에게 소리지르다’라는 표현은 ‘对~大喊大叫’를 많이 쓴다. >>맞는 문구: 我们吵架的时候,她总是对我大喊大叫! Wǒmen chǎojià de shíhòu, tā zǒngshì duì wǒ dàhǎn dàjiào! 作者:刘志刚 画家:宋海东
느낀다는 건 마음이 이뤄지는 것이다. 손과 발 피부로 눈으로 만져서 보아서 느끼는 것은 마음속에 느껴진 것들이 그려지고 이뤄지는 것이다. 느낌은 그런 것이다. 마음이 이뤄져야 하는 것이다. 손이나 발이 아닌 눈이나 코가 아닌 마음이 이뤄져야 하는 것이다. 동물의 느낌이 아닌, 가장 인간다운 느낌이 바로 감이다. 가장 인간다운 글자 단어가 바로 감인 것이다. 그래서 느낌의 감(感)은 갑골문은 청동기 시대의 금문에 와서야 발견된다. 마음 심(心) 위에 이룰 성(成)이 있는 모양이다. 이룬다는 게 무엇인가? 무기를, 집착을 내 욕망을, 내 주장을 내려놓는 것이다. 그 것을 마음으로 하면 비로서 느낌이 온다. 내 무기를 내려놓고 내 집착을 버리면 비로소 주변의 풀벌레 소리가, 새소리가, 남의 말이 들린다. 신선한 바람이 느껴지고 나를 둘러싼 자연, 나 같은 것 혹 나와 다른 것들이 내 눈길에 내 후각에 내 촉각에 내 미각에 나의 피부에 접하고 있음을 비로소 느끼게 된다. 그 느낌, 바로 감(感)이다.
중국 유인우주선 선저우(神舟) 14호의 우주인 세 명이 지난 4일 183일간의 임무를 마치고 지구로 돌아왔다. 중국유인우주국(CMSA) 비행공정판공실에 따르면 선저우 14호 귀환 모듈은 4일 오후 8시 9분(현지시간) 네이멍구(內蒙古)자치구 둥펑(東風) 착륙장에 성공적으로 착륙했다. 현장 의료 체크 및 보장 인원들의 확인 결과 탑승한 우주인 세 명의 건강 상태는 양호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로써 선저우 14호 유인우주 비행 임무는 원만한 성공을 거두었다. 착륙 당일 19시 20분, 베이징우주비행관제센터는 지상 관측소를 통해 귀환 명령을 내렸고 선저우 14호 유인우주선의 궤도 모듈과 귀환모듈이 성공적으로 분리되었다. 이후 우주선은 귀환 엔진 점화를 했고 귀환모듈은 추진모듈과 분리됐다. 귀환모듈이 성공적으로 착륙한 후 수색 회수 임무를 맡은 수색 구조팀은 목표물을 발견하고 착륙 현장에 도착했다. 우주인 천둥(陳冬), 류양(劉洋), 차이쉬저(蔡旭哲)가 탑승한 선저우 14호는 지난 6월 5일 우주로 향했다. 간쑤성 주취안 위성발사센터에서 창정-2F 야오-14호 로켓에 실려 발사된 후 중국의 독자 우주정거장 톈궁(天宮)의 핵심 모듈인 톈허(天和)와 도킹해 조립체를 형성
성공이란 무엇인가? 이룬 것이다. 뭔가 이룬다는 건 무엇인가? 내려놓는 것이다. ‘이제 됐다’는 것, 내려놓는 것 바로 이룬 자만 할 수 있는 것이다. 진정한 완성의 경지다. 일찌감치 갑골자를 썼던 동양의 선인들이 본 경지다. 이룬다는 건, 시작이 아니다. 완성이요, 끝이다. 비로소 내려놓는 것이다. 갑골자 이룰 성(成)은 전투를 끝내고 큰 창을 내려 세워 잡고 있는 모습이다. 싸움의 결과는? 나오지 않는다. 큰 창이 쓰러지지 않은 걸 봐서 최소한 지지는 않았다. 큰 창을 내려 세운 모습이 사뭇 장엄하다. 이겼거나, 휴전한 것이다. 창을 내려 세워 잡은 모습에서 지지 않고 전쟁을 끝낸 병사의 자부심이 느껴진다. 실제 춘추시대 문서 가운데는 이룰 성(成)을 휴전하다는 뜻으로 쓴 게 확인된다. “所以为成而归也。”(소이위성이귀야: 그래서 휴전을 해 되돌아가다.) 여씨춘추의 한 대목이다. 이긴 것을 성공으로 본 게 아니라, 지지 않은 걸 성공으로 본 것이다. 성공의 확률이 확 올라간다. 바로 손자가 이야기 한 ‘백전불태’(百戰不殆: 싸워서 위태롭지 않다)의 경지다. 진정한 ‘백전백승’(百戰百勝)이다. 지지 않아서 이긴다. 최고의 효율적인 승리다. 이기는 데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