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동방항공은 28일 C919 항공기인 MU9191편이 상하이 훙차오에서 베이징까지 비행하며 1년 간의 C919 항공기 상업용 여객 운항 절차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왕즈칭 중국동방항공 회장은 이날 "중국동방항공은 세계 최초의 C919 사용자로서 우리의 노력을 통해 '국내 대형 항공기' 브랜드 출시에 긍정적인 기여를 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중국 현지 매체 제일재경에 따르면 지난 1년 간 중국동방항공은 상하이-베이징, 상하이-청두, 상하이-시안 등의 노선에서 C919 기종으로 총 2181편을 운항해 총 상업비행 6090시간, 운송 여객 30만 명을 기록했다. C919는 중국상용항공기(COMAC)가 2007년 연구 개발에 착수해 2015년 11월 2일 생산 라인에서 최종 조립에 성공했다. 이후 2017년 5월 5일 상하이 푸둥국제공항에서 첫 비행을 완료했으며 2022년 9월 중국 항공 당국으로부터 상용 비행을 위한 최종 절차인 감항인증(,항공기 안전 비행 성능 인증)을 받았다. 중국 첫 자체 제작 중형 여객기로 지난해 5월부터 중국동방항공 노선에 투입됐다. 기내 통로가 하나인 중형 여객기로 탑승 정원 164명, 대당 가격은 약 1억 달러로 알려져 있다.
중국이 암호·보안, 통신, 컴퓨터 등 많은 분야에 혁신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되는 양자기술 연구 분야에서 세계 1위를 차지했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이 지난 27일 발간한 보고서 '논문 데이터로 본 글로벌 양자기술'에 따르면 중국은 이미 2010년 미국의 규모를 넘어섰다. 중국은 양자기술 하위 4대 분야(양자통신·암호, 양자정보기술, 양자계측·센싱, 양자컴퓨팅) 기준으로 논문 규모에서 미국을 순차적으로 추월하였는데, 특히 양자통신·암호 분야에서 어느 국가보다도 독보적으로 많은 논문을 발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2012년에 양자정보기술 분야, 2016년에는 양자계측·센싱 분야에서 미국보다 많은 논문을 발표하였고, 양자컴퓨팅 분야에서는 2022년에 근소한 차이로 미국보다 많은 논문을 발표하여 미국을 맹추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KISTI 연구진은 중국의 양자기술 연구는 양적 확대에 비해 질적 성장은 미흡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양자기술 전 분야에 걸쳐 미국, 독일, 영국이 양자기술 분야에서 양적․ 질적으로 우위에 있으며, 미국은 분석기간 동안 모든 분야에서 엑셀런스 지수가 기준보다 매우 높은 값을 보여 양자기술 분야 연구를 선도하는
지난 27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제8차 한·일·중 비즈니스 서밋'이 개최됐다. 대한상공회의소, 일본경제단체연합회(게이단렌), 중국국제무역촉진위원회(CCPIT)가 공동 개최한 이번 행사에는 한국과 중국, 일본을 대표하는 기업인과 정부 관계자 등 240여 명이 참석했다. 한·일·중 비즈니스 서밋은 2019년 중국 청두에서 개최된 이후 코로나19 여파로 중단됐다가 4년 5개월 만에 재개됐다. 올해는 한·일·중 협력 가동 25주년이자 한·일·중 비즈니스 서밋 출범 15주년이 되는 해다. 올해 서밋에서 한·일·중 3국 대표는 디지털 경제와 인공지능, 첨단제조, 그린에너지, 의료 등 분야에서의 산학연 협력 강화와 투자 확대를 통해 향후 세계 경제에 새로운 활력을 부여할 것에 대해 기대를 표했다. 한편 한·일·중 3국의 경제 총량은 전 세계의 24%, 대외무역 거래액은 20%를 차지한다.
‘2023-2024 화웨이 ICT 경진대회 글로벌 파이널’이 지난 26일 중국 선전에서 개최됐다. 2015년 출범한 화웨이 ICT 경진대회는 전 세계 대학생들이 ICT 지식과 실질적인 역량을 넓히는 동시에 신기술과 플랫폼을 사용해 혁신 역량을 강화하는 데 기여해왔다는 평가를 받는다. 화웨이는 이 대회를 통해 전 세계 대학생들이 아이디어를 교류할 수 있는 국제적인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은 물론 기술 발전을 앞당기고 디지털 포용을 촉진한다는 방침이다. 올해 대회는 역대 최대 규모로 49개 국가에서 160개 팀이 출전해 지역 예선을 거쳐 5월 23~26일 선전에서 열린 글로벌 파이널 경기에 참가했다. 치열한 경기 끝에 9개국(알제리, 중국, 나이지리아, 파키스탄, 폴란드, 필리핀, 탄자니아, 튀르키예, 우간다)을 대표하는 19개 팀이 실천 및 혁신 부문(The Practice and Innovation Competitions)에서 최우수상을 차지했다. 소셜미디어 인기상(The Best Social Media Popularity Award)은 파키스탄 팀에게, 친환경개발상(The Green Development Award)은 중국 팀과 모로코 팀에게 각각 돌아갔다.
전라남도가 중국 우호도시인 충칭시(重慶市) 정부 초청으로 지난 21일부터 24일까지 열린 '충칭 국제우호도시협력대회'에 참가해 전남의 맛과 멋을 선보였다고 24일 밝혔다. 충칭시 국제우호도시협력대회는 충칭시의 해외 우호도시 40여 개국 200여 명의 대표단이 참가해 글로벌 네트워크를 회복, 확장하는 행사다. 행사 기간 전남도대표단은 도립국악단 축하공연, 남도음식 만들기 체험행사와 전남 관광홍보 사진전, 전남산 농수산식품 전시·홍보부스 운영을 통해 행사에 참가한 세계 각국 대표단들로부터 남도문화예술과 음식에 대한 뜨거운 호응과 관심을 얻었다. 특히 '충칭 국제우호도시 음식문화의거리 프로젝트' 개장식에서 해외 우호도시 대표자로 나선 신현곤 전남도 국제협력관은 "충칭 국제우호도시 음식문화거리 조성 프로젝트는 전 세계의 문화를 실시간으로 공유하고 체험하는 현대인의 수요에 잘 부합한다"며 '키친 오브 코리아-전라남도'의 친환경 농수산물에 대한 관심을 유도했다. 이어 "2024∼2026년 전남도가 추진하는 '세계관광문화대전' 프로젝트에 많은 해외 대표단이 전남을 방문해 전남의 멋과 맛을 즐기길 희망한다"고 제안했다. 올해로 교류 16년째를 맞는 전남도와 충칭시는 코로나
칭다오맥주박물관(Tsingtao Beer Museum)이 기업 브랜드 박물관으로서는 유일하게 ‘중국 100대 박물관’에 포함됐다고 23일 밝혔다. 칭다오맥주박물관은 19세기말 설립된 칭다오맥주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확인할 수 있는 곳으로 잘 알려져 있다. 설립 당시 독일 기술진이 설치한 양조 설비를 보존한 상태로 지난 2001년 문을 열었다. 지난해 연말 기준 누적 방문객이 약 950만 명에 달한다. 특히 120여개국에 수출되는 칭다오맥주의 탄생 지역에 위치해 시대를 초월하는 랜드마크이자 칭다오의 대표 관광지로 통한다. 120년이 넘은 칭다오맥주의 양조기술과 중국 맥주 산업 발전사를 살펴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맥주 시음, 맥주를 활용한 다양한 요리, 숙박, 활동을 즐길 수 있다. 칭다오 맥주는 1898년 독일이 청나라 정부로부터 칭다오를 조계지로 받은 후 1903년 독일에서 설비를 들여와 맥주를 제조하기 시작한 게 시초다. ‘중국 100대 박물관’은 Art Exhibitions China와 Oriental Outlook이 중국내 1급 박물관들을 대상으로 평가해 발표된다.
코트라(KOTRA,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가 23일부터 27일까지 중국 광둥성 선전 국제컨벤션센터(바오안)에서 열리는 ‘제20회 중국 선전 문화산업박람교역회’에서 한국관을 운영한다. 이번 한국관에는 국내기업 23개사가 참여해 개량 전통주, 스낵, 음료, 컬러 콘택트렌즈, 화장품, 캐릭터제품 등 150여개 제품과 콘텐츠를 선보인다. 특히 식품 중에는 저당, 저칼로리 등 건강과 영양 성분을 중시하는 중국내 트렌드를 겨냥한 제품이 포함돼 있다. 고단백 영양식인 서리태 선식, 영양성분 파괴를 최소화하는 NFC착즙공법 배즙, 유기농산물 원료를 사용한 찰조청 등이 대표적이다. 이번 전시회가 열리는 선전은 글로벌 소비재 기업들이 진출해 있는 대표적인 도시로 꼽힌다. 샘스클럽(Sam’s Club), 월마트(Walmart), 톈훙(Tianhong, 天虹), 화룬완쟈(Huarun Wanjia, 華潤萬家) 등 글로벌 대형 소매유통기업의 구매본부가 선전에 위치해 있다. 쇼피(Shopee), 주미아(Jumia), 오존(Ozon) 등 동남아, 아프리카, 러시아의 이커머스 플랫폼도 중국 본부를 선전에 설치했다. 황재원 KOTRA 중국지역본부장은 “선전은 상하이·홍콩과 더불어 중국의 글로
아모레퍼시픽이 지난 21일 중국 상하이 통지대(同济大)에서 '아모레 에너지 청년(AMORE Energy Youth)' 프로젝트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아모레 에너지 청년' 프로젝트는 아모레퍼시픽이 지난 2020년 기업의 사회적 책임 실천의 일환으로 시작한 대학생 대상 공익 활동이다. 청년들의 정신건강 보호와 사회정서적 능력 증진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돼 있다. 아모레퍼시픽에 따르면 올해 프로젝트는 새로운 창의적 미술치료 워크숍을 도입하고, 인기 대학 토크쇼 레이블과 협력하여 토크쇼 투어를 선보인다. 또 유명 팟캐스트 플랫폼과 협력하여 대학생들을 돕기 위한 5가지 프로그램을 기획했다. 22일 통지대 캠퍼스에서 진행된 프로젝트에는 많은 대학생들이 참가해 자기 자신과 잘 지내는 법, 자신을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법 등에 대해 실천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또 크리스틴 네프(Kristin Neff)의 자기관리 이론을 바탕으로 학생들이 마스크의 앞면과 뒷면에 이미지를 넣고 그림, 잡지 콜라주 등 다양한 예술적 표현을 통해 진정한 내면을 탐색할 수 있는 아트 테라피 체험을 진행했다. 아모레퍼시픽은 통지대에 이어 푸단대, 인민대, 우한대, 화둥정법대, 중국지질대 등에
21일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NMPA)가 공식 웹사이트를 통해 미국 제약사 일라이 릴리 앤 컴퍼니(Eli Lilly and Company)가 제출한 티르제파티드(Tirzepatide) 성분 주사제 틸포타이드의 판매 신청서가 승인됐다고 발표했다. 티르제파티드는 포도당 의존성 인슐린 자극성 폴리펩티드(GIP),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GLP-1) 수용체 이중 작용제로서 성인 제2형 당뇨병 환자의 혈당조절 치료제로 이번에 승인됐다. 일라이 릴리는 지난해 11월 미식품의약청(FDA)로부터 당뇨병 치료제인 마운자로(성분명 티르제파티드)를 비만 치료제로 승인받으면서 주가가 폭등한 바 있다. 수년 간 200~300달러대에 머물던 주가가 800달러 이상으로 치솟으면서 시가총액이 테슬라를 뛰어넘었다. 물론 티르제파티드가 중국에서 체중 감량 적응증으로 승인을 받은 것은 아직 아니다. 한편 일라이 릴리가 발표한 비만 또는 하나 이상의 동반 질환을 지닌 과체중 중국 성인 대상자를 대상으로 한 52주 임상시험 데이터에 따르면 티르제파티드 10㎎ 투여군과 15㎎ 투여군의 평균 체중 감량은 각각 14.4%, 19.9%로 나타났다. 2023년 8월 기준 중국에서는 GLP-1 약물의 체
애플이 20일부터 티몰(Tmall), 징둥닷컴(JD.com) 등 중국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새로운 할인 프로모션을 진행한다. 이날 중국 현지 매체 제일재경에 따르면 애플스토어 티몰 공식 플래그십 스토어에서 오는 27일까지 아이폰13, 아이폰14, 아이폰15 시리즈를 포함한 휴대폰 쿠폰을 제공한다. 할인 금액은 제품과 모델 또는 저장 용량에 따라 달라진다. '아이폰 15 Pro Max' 모델을 예로 들면 원래 가격은 9999위안이지만 쿠폰 할인 가격은 7949위안으로 2000위안 이상 인하된다. 원래 가격이 7999위안인 '아이폰 15 Pro' 모델은 쿠폰 할인 가격이 6099위안으로 1900위안이 인하된다. 다른 모델의 가격 인하 범위는 900위안~1400위안이다. 애플은 이번 프로모션 기간에 iPhone 15 Pro/15 Pro Max 총 8만 584대, iPhone 15/15 Plus 총 3만 8784대, iPhone 13 및 iPhone 14/14 Plus 모델 총 7500대가 할인 판매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JD.com의 애플 자체 운영 매장에서는 아이폰 시리즈 제품에 대해 660위안 쿠폰을 제공하고, China Mobile의 JD.com 자체 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