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아모레퍼시픽, 상하이 통지대에서 '아모레 에너지 청년' 프로젝트 진행

 

아모레퍼시픽이 지난 21일 중국 상하이 통지대(同济大)에서 '아모레 에너지 청년(AMORE Energy Youth)' 프로젝트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아모레 에너지 청년' 프로젝트는 아모레퍼시픽이 지난 2020년 기업의 사회적 책임 실천의 일환으로 시작한 대학생 대상 공익 활동이다. 청년들의 정신건강 보호와 사회정서적 능력 증진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돼 있다.

아모레퍼시픽에 따르면 올해 프로젝트는 새로운 창의적 미술치료 워크숍을 도입하고, 인기 대학 토크쇼 레이블과 협력하여 토크쇼 투어를 선보인다. 또 유명 팟캐스트 플랫폼과 협력하여 대학생들을 돕기 위한 5가지 프로그램을 기획했다. 

22일 통지대 캠퍼스에서 진행된 프로젝트에는 많은 대학생들이 참가해 자기 자신과 잘 지내는 법, 자신을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법 등에 대해 실천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또 크리스틴 네프(Kristin Neff)의 자기관리 이론을 바탕으로 학생들이 마스크의 앞면과 뒷면에 이미지를 넣고 그림, 잡지 콜라주 등 다양한 예술적 표현을 통해 진정한 내면을 탐색할 수 있는 아트 테라피 체험을 진행했다.

아모레퍼시픽은 통지대에 이어 푸단대, 인민대, 우한대, 화둥정법대, 중국지질대 등에서 '아모레 에너지 청년' 프로젝트를 이어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