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2023-2024 화웨이 ICT 경진대회 최종 우승자 발표

 

‘2023-2024 화웨이 ICT 경진대회 글로벌 파이널’이 지난 26일 중국 선전에서 개최됐다.

2015년 출범한 화웨이 ICT 경진대회는 전 세계 대학생들이 ICT 지식과 실질적인 역량을 넓히는 동시에 신기술과 플랫폼을 사용해 혁신 역량을 강화하는 데 기여해왔다는 평가를 받는다.

화웨이는 이 대회를 통해 전 세계 대학생들이 아이디어를 교류할 수 있는 국제적인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은 물론 기술 발전을 앞당기고 디지털 포용을 촉진한다는 방침이다.

올해 대회는 역대 최대 규모로 49개 국가에서 160개 팀이 출전해 지역 예선을 거쳐 5월 23~26일 선전에서 열린 글로벌 파이널 경기에 참가했다.

치열한 경기 끝에 9개국(알제리, 중국, 나이지리아, 파키스탄, 폴란드, 필리핀, 탄자니아, 튀르키예, 우간다)을 대표하는 19개 팀이 실천 및 혁신 부문(The Practice and Innovation Competitions)에서 최우수상을 차지했다.

소셜미디어 인기상(The Best Social Media Popularity Award)은 파키스탄 팀에게, 친환경개발상(The Green Development Award)은 중국 팀과 모로코 팀에게 각각 돌아갔다.

여성기술인상(The Women in Tech Award)은 케냐, 말레이시아, 모로코, 우간다 팀이 차지했고, TECH4ALL 디지털 포용상(The TECH4ALL Digital Inclusion Award)은 중국 팀과 필리핀 팀이 각각 차지했다.

리치 펑(Ritchie Peng) 화웨이 ICT 전략 및 사업개발부 대표는 "ICT는 지능형 시대의 초석으로 화웨이는 ICT 경진대회를 통해 학생들이 각자의 기량을 겨루고 아이디어를 교류할 수 있는 세계적인 플랫폼을 제공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