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조 538억 8700만 위안' 약 199조 원이다. 올해 1~2월 중국 31개 성(省)급 지역 외국인 투자 기업의 수출 총액이다. 전년 동기 대비 11%가 조금 넘게 줄었다. 두 자릿수 감소다. 중국 경제 지표에서 두 자릿수 감소는 글로벌 경제에 큰 의미를 지닌다. 중국은 그 자체가 글로벌 경제에서 약 20% 가량을 차지한다. 약 25% 가량을 차지하는 미국에 이어 세계 2위다. 중국 경제의 20%의 감소는 대략 계산해도 글로벌 경제에 대략 5%대의 감소 영향을 줄 수 있다. 중국 경제의 축소는 미국의 견제 탓이지만, 그로 인한 영향은 글로벌 경제 전체가 부담해야 한다. 미중 갈등을 우리가 냉철히 바라봐야 하는 이유다. 29일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올해 1~2월 중국 31개 성(省)급 지역 외국인 투자 기업의 수출 총액은 1조 538억 8700만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1% 감소했다. 전체 수출입 총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54.04%였다. 31개 성급 지역 중 광둥성, 장쑤성, 상하이의 외국인 투자 기업 수출액은 1000억 위안을 초과했다. 반면 신장위구르자치구, 간쑤성, 칭하이성, 티베트자치구의 외국인 투자 기업 수출액은 50억 위안 미만으로
중국 상하이 주민의 과반수가 이상적인 자녀 수로 1명을 꼽았다. 당국이 3자녀를 권고하는 상황에서 나온 것이어서 주목된다. 상하이 통계국이 주민들을 대상으로 조사해 28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이상적인 자녀 수에 대해서 1명이라는 응답이 58.1%로 가장 많았고, 36.7%는 2명이라고 답했으며, 3명이라는 응답은 2.6%에 그쳤다. 상하이에 후커우(戶口, 호적)가 있는 주민 중 70.8%가 한 자녀를 뒀고 2명은 25.1%, 3명 이상은 1.2%로 조사됐다. 또 다자녀를 갖지 않는 가장 큰 이유로는 '현재 상황에 대한 만족'을 꼽았다. '부양비가 많이 들고 경제적 부담이 크다'는 응답이 28.5%로 뒤를 이었고, 13%는 '나이와 신체적 이유 때문'이라고 대답했다. 중국 네티즌은 이번 조사 결과에 대해 "지극히 정상적인 생각"이라는 의견을 보이고 있다. 중국 인구는 작년에 60여년 만에 처음으로 감소했다. 인구가 줄어드는 인구 분수령을 넘어서면서 인구감소가 중국 사회 가장 큰 위협요소로 떠올랐다. 특히 취학 연령 감소로 학생 수가 줄어들면서 문을 닫는 유치원과 초등학교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중국 정부가 세 자녀 출산을 허용하고, 지방정부들은 양육비 지원 등
미국 상무부가 23일(현지시간) 14개 중국 기업을 수출 통제 블랙리스트 전 단계인 '미검증 명단(unverified list)'에 올렸다. 미국은 상품 수출에 대한 제한을 중국의 기술 발전을 저지하는 핵심 도구로 사용하고, 이에 대해 중국이 반발하고 있어 양국 간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중국 네티즌도 크게 반발했다. 무엇보다 미국의 대중 조치들은 중국을 억누르려는데 방점이 있다는 게 중국 네티즌의 입장이다. 미 상무부는 이날 광저우신유전자과기(广州信维电子科技有限公司), 산둥월해통신과기(山东越海通信科技有限公司) 등 중국 기업 14곳을 국가 안보상의 이유로 미검증 명단에 추가한다고 밝혔다. 중국 기업 외에도 독일, 캐나다, 싱가포르, 튀르키예, 아랍에미리트(UAE), 불가리아, 인도네시아, 이스라엘, 말레이시아, 사우디아라비아의 18개 기업이 미검증 명단에 포함했다. 미국은 자국의 첨단 기술이 세계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확증하고자 기술 유출로 인한 국가 안보 우려가 있을 경우 '수출 통제 명단(entity list)'에 올리는데, '미검증 명단'은 수출 통제 가능성이 있는 기업을 대상으로 한다. 미검증 명단에 오른 기업은 60일간의 검증 절차에서 자신들이
묘한 게 행복이다. 가난해서 불행하다고 할 때가 있지만 그렇다고 잘 산다고, 잘 살게 됐다고 행복이 커지는 게 아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동양에서 그 같은 현상이 두드러진다. 동양에서 '기적'이라는 소리까지 들으면서 한국과 중국은 경제 발전에 성공했지만, 국민들의 행복지수는 바닥을 헤매고 있다. 유엔 지속가능발전해법네트워크(SDSN)가 '국제 행복의 날'인 지난 20일 '세계행복보고서(World Happiness Report 2023)'을 발표했다. '세계행복보고서'는 갤럽세계여론조사(GWP)가 매년 세계 각국에서 실시하는 '스스로 매긴 주관적 행복도(SWB)'에 관한 설문조사 자료를 분석해 내놓는 것으로, 조사 직전 3년치 데이터가 반영된다. 국가별 국민의 행복감, 경제(1인당 GDP) 및 사회(건강수명, 복지지원 등)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순위가 매겨진다. 올해 상위 10개국은 다음과 같다. 1위 핀란드 (7.804점) 2위 덴마크(7.586점) 3위 아이슬란드(7.530점) 4위 이스라엘(7.473점) 5위 네덜란드(7.403점) 6위 스웨덴(7.395점) 7위 노르웨이(7.315점) 8위 스위스(7.240점) 9위 룩셈부르크(7.228점) 10
"학교 방학할테니, 너희 연애해라!" 학교가 이런 조치를 한다면 어떨까? 캠퍼스의 정원들을 더 낭만적으로 꾸미고, 학생들이 숨어서 키스도 할 수 있는 공간도 만든다면 어떨까? 그저 문란한 풍토가 만연하기만 할까? 그런 문란한 풍토를 교육기관이 조장한다는 비난이 쏟아질까? 물론 그럴지도 모른다. 하지만 요즘은 다르다. 젊은 세대들이 이전 세대보다 연애와 결혼에 대한 관심이 시들해져 저출산이 사회적 문제가 되는 시대다. 저출산이 사회의 최대 난제가 된 상황에서 학생들에게 연애의 기회와 감성을 제공한다면 저출산 해결에 그나마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실제 중국에서 이런 학교가 등장해 화제다. 학생들에게 연애를 장려하며 봄방학을 시행한 대학이 중국 사회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비난보다는 호응이 압도적으로 많다. 중국 현지 매체에 따르면 쓰촨성 청두의 4년제 대학인 서남항공직업학원은 오는 4월 1~7일 봄방학을 시행한다고 최근 공지했다. 중국 휴일인 청명절(4월 5일) 앞뒤로 이틀씩 수업을 쉬는 방식으로 주말인 4월 9일까지 총 9일간 연휴가 된다. 서남항공직업학원의 올 봄방학 캐치프레이즈는 '나가서 꽃구경하고, 연애하라'이다. 꽃 피는 시절에 학생들이 학업에 대한 부담
인류 역사의 발전을 인간이 쓴 도구의 소재에서 찾는다면 첫 시작은 석기다. 돌이 인간의 가장 중요한 도구였다. 이어 나온 게 청동기다. 청동기는 인류가 땅속에 감춰진 금속을 제련해내는 기술을 익히는 중요한 계기를 가졌음을 보여준다. 청동기의 제련 기술은 이후 인류의 철기시대를 열었다. 철기시대 이후 인류는 급속히 발전한다. 석기시대 인류의 삶의 변화 속도가 시속 5㎞라면, 철기시대는 시속 100㎞로 인류의 삶에 변화가 생겼다. 철기시대의 가장 눈부신 전환은 산업혁명이다. 중세까지만 해도 철은 주로 무기, 농기구 등에 활용됐지만, 산업혁명을 맞으면서 철은 건물로, 기관차 등으로 인간 삶의 구조를 변모시켰다. 철은 지금도 인류에게 여전히 가장 중요한 자원이 되고 있다. 자동차부터 선박은 물론 각종 건축물과 제조품에 들어간다. 한 국가의 철 생산량과 소비량은 당해년도의 경제가 얼마나 발전 또는 쇠퇴했는지를 보여준다. 중국의 지난해 철강 생산이 소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중상산업연구원(中商产业研究院)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 조강(粗钢) 생산량은 전년 대비 2.1% 감소한 10억1300만t을 기록했다. 반면 세계 조강 생산량 18억3000t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474억 위안' 9조 원가량이다. 지난 2022년 중국 통조림 수출액이다. 지난해 중국 통조림 수출량과 수출액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중국의 먹거리가 이제 세계에서도 받아들여지는 것이다. 중국의 먹거리는 위생 불안 탓에 글로벌 주요 사회에서는 꺼리는 면이 많았다. 한국도 김치 등을 중국에서 제조해 가져오고 있지만, 매번 위생 문제가 불거져 사회적 불안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중국산 통조림은 아직 한국에서는 소비가 제대로 이뤄지고 있지 않은 상태다. 중국통조림산업협회에 따르면 2022년 중국의 통조림 수출량은 312.5만t, 금액으로는 474억 위안(약 9조 원)에 달했다. 각각 전년 대비 12%, 22% 증가한 수치다. 중국 통조림 수출이 늘고 있는 데 대해서 중국 네티즌들 분석은 간단하다. 값이 싼 덕이라는 것이다. 값이 싼 덕에 그나마 팔리고 있다는 것이다. 문제는 같은 통조림 제품이 해외 수입품은 비싸고 중국산은 싼데 그 이유가 이해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과거의 경우 중국 노동력이 싸기 때문이라고 하겠지만, 최근 중국 노동력은 글로벌 수준을 빠르게 쫓아온 상태다. 전문가들은 중국 통조림 제조업체들이 대량 제조를 통해 단가를 낮추고 있을 것이라고
최근 중국 안후이성 허페이(合肥)의 대학생 4명이 미얀마로 밀입국한 후 연락이 끊겼다. 이들은 같은 학과 학생으로 지난 7일 이후 연락이 끊긴 것으로 알려졌다. 허페이 공안은 이번 사안을 중요하게 판단해 수사중이라고 현지 매체에 밝혔다. 미얀마 주재 중국대사관까지 나서 실종된 학생들의 소재를 찾고 있다. 이번 밀입국 사건은 자발적인지, 강제적인지 아직 알려지지 않고 있다. 현지 매체들의 보도내용으로 보면 자발적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미얀마는 마약 생산 거점이 많아 범죄 연루 가능성도 언급되고 있다. 밀입국한 4명 중 한 학생은 부친에게 전화를 해 "촉산 인근의 기술원에서 인턴 실습 중"이라고 자신의 상황을 전하기도 했다. 통화 내용은 후에 거짓임이 드러났지만, 밀입국 초기 당시만 해도 학생들이 직접 가족에게 전화를 해 안부를 전할 수 있는 상황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제 막 대학교에 입학한 만 18세 대학생 4명이 미얀마로 밀입국 했다는 점에서 그 동기와 범죄 연루 가능성을 놓고 중국 네티즌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일단 네티즌들은 학생들의 안전 귀가를 기원하고 있다. 그러면서도 학교와 가정에서 교육을 철저히 해야했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학생들이
'K-팝' 한국 걸그룹의 매력에 세계 곳곳이 들썩인다. 이웃 중국, 일본은 물론이고 저 멀리 아프리카에서도 한국에서 가수를 하겠다고 찾아온다. 한국 문화를 좋아하면 자연스럽게 한국 제품도 좋아하게 된다. 바로 문화의 힘이다. 부드럽지만 마음과 온 몸으로 좋아하고 따라하게끔 만든다. 문화적 자산에 한 나라의 지적 능력까지 더해진 게 바로 부드러운 힘, 소프트 파워다. 근대 이후 세계가 서로 조우하던 시절, 군사력이 그 나라의 힘이었다면 이제는 소프트 파워가 한 나라의 경쟁력을 말해주는 시대가 됐다. 글로벌 컨설팅 업체 '브랜드 파이낸스(Brand Finance)'가 2023년 세계 '소프트 파워' 지수 순위를 최근 발표했다. '소프트 파워'는 문화, 과학기술, 교육, 언론, 역사유산, 국제관계 등의 경쟁력으로 '하드 파워(군사력, 경제력 등)'에 상반되는 개념이다. 미국이 역시 부동의 1위다. 영국과 독일, 프랑스 등 유럽 국가들이 10위내 상위권에 포진했다. 아시아에서는 일본과 중국이 각국 4, 5위를 차지했다. 이번 평가 지표는 총 8개였다. 문화유산, 국제관계, 국가행정관리, 상업과 무역, 언론, 교육과학, 인간과 가치관, 지속가능성 등이다. 올해 '소프
중국 당국의 '제로 코로나' 정책이 끝나면서 최근 중국인들의 해외 여행이 다시 시작됐다. 중국은 지난 10일 온오프라인 여행사들이 해외 단체 여행상품과 '항공권+호텔' 패키지 상품을 판매할 수 있는 나라 40개국을 추가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중국인들은 세계 최대 여행객이었다. 각국 관광 경제에서 중국인들이 차지하는 부분이 적지 않았다. 이런 중국인들의 여행 추세를 알 수 있는 게 중국 공항이다. 중국 공항은 불과 10여년 전만해도 외국인들로 붐볐다. 중국인들이 해외로 나가는 것보다 외국인들이 중국으로 들어오는 숫자가 훨씬 많았다. 하지만 조금씩 중국 이용객들이 늘더니 지금은 이용객 수가 비등해졌다. 일부 공항은 이미 중국 내국인 이용객수가 외국인 이용객 수를 초과한지 오래다. 2022년 중국 민항 통계 보고서가 최근 발표됐다. 연간 공항 이용객 수를 기준으로 한 2022년 중국 공항 Top 10 순위는 다음과 같다. 상위 5개 공항의 경우 연간 이용객수가 2000만 명이 넘는다. 1위 광저우 바이윈(白云)국제공항, 2612만2000명 2위 충칭 장베이(江北)국제공항, 2168만7000명 3위 선전 바오안(宝安)국제공항, 2155만1000명 4위 쿤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