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2023년 세계 행복지수 순위에서 핀란드 6년 연속 1위, 중국 64위

 

묘한 게 행복이다.

가난해서 불행하다고 할 때가 있지만 그렇다고 잘 산다고, 잘 살게 됐다고 행복이 커지는 게 아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동양에서 그 같은 현상이 두드러진다.

동양에서 '기적'이라는 소리까지 들으면서 한국과 중국은 경제 발전에 성공했지만, 국민들의 행복지수는 바닥을 헤매고 있다. 

유엔 지속가능발전해법네트워크(SDSN)가 '국제 행복의 날'인 지난 20일 '세계행복보고서(World Happiness Report 2023)'을 발표했다.

'세계행복보고서'는 갤럽세계여론조사(GWP)가 매년 세계 각국에서 실시하는 '스스로 매긴 주관적 행복도(SWB)'에 관한 설문조사 자료를 분석해 내놓는 것으로, 조사 직전 3년치 데이터가 반영된다. 국가별 국민의 행복감, 경제(1인당 GDP) 및 사회(건강수명, 복지지원 등)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순위가 매겨진다. 올해 상위 10개국은 다음과 같다.

 

1위 핀란드 (7.804점)

2위 덴마크(7.586점)

3위 아이슬란드(7.530점)

4위 이스라엘(7.473점)

5위 네덜란드(7.403점)

6위 스웨덴(7.395점)

7위 노르웨이(7.315점)

8위 스위스(7.240점)

9위 룩셈부르크(7.228점)

10위 뉴질랜드(7.123점)

 

2020∼2022년 설문조사 자료를 반영한 올해 보고서에서 조사대상 137개국 중 1위는 핀란드(7.804점), 최하위는 아프카니스탄(1.859점)이다.

11위부터 20위까지는 오스트리아(7.097점), 호주(7.095점), 캐나다(6.961점), 아일랜드(6.911점), 미국(6.894점), 독일(6.892점), 벨기에(6.859점), 체코(6.845점), 영국(6.796점), 리투아니아(6.763점)가 차지했다.

아시아 국가 중 한국(5.951점)은 57위, 중국(5.818점)은 64위에 이름을 올렸다.

OECD 정회원국 38개국 중에서 한국보다 행복도 점수가 낮은 곳은 그리스(5.931점, 58위), 콜롬비아(5.630점, 72위), 튀르키예(4.614, 106위) 등이다.

한편 지난해 2월부터 전쟁 중인 러시아는 5.661점으로 70위, 우크라이나는 5.071점으로 92위를 기록했다.

 

 


사회

더보기
중 얄팍한 상술로서 '제로 첨가물' 도마에 올라
‘0’의 저주? 한국에서도 슈가 0, 트랜스지방 0 등 소위 ‘0’상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중국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최근 이 같은 ‘0’ 상품의 대명사였던 한 간장회사가 여론의 철퇴를 맞았다. 첨가물이 없어 첨가물 ‘0’라던 이 간장에서 중금속 카드뮴이 검출된 탓이다. ‘아니 다른 첨가물도 아니고, 중금속 카드뮴을 첨가하다니!’ 중국 네티즌들은 당연히 분노했다. 일부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이 무첨가 간장이 아니며, ‘천허0’는 단순한 상표명일 뿐이라고 주장하며 소비자들이 이를 무첨가 제품으로 오인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매체에서 제조사인 천허미업식품주식회사에 취재를 하자, 고객센터 직원은 “‘천허0’는 당사의 등록 상표가 맞다”고 답변했다. 하지만 ‘천허0’가 무첨가를 의미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명확한 답을 하지 않고 “무첨가 여부는 원재료표를 참고하면 된다”는 입장만 밝혔다. 중국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은 단순한 말장난일 뿐이라고 지적한다. 마치 ‘아내가 들어 있지 않은 아내빵’이나 ‘부부가 없는 부부폐채’처럼 소비자를 혼란스럽게 하는 것이라는 풍자다. 중국 현행법에 따르면 상표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상품이나 서비스의 출처를 식별하여 소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