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전기차 스타트업 기업이 미국 뉴욕 증시 상장을 추진 중이다. 중국 전기차 브랜드들의 글로벌 공략이 본격화했다는 사인 가운데 하나다. 중국 대표 전기차 브랜드인 비야디는 브라질, 헝가리에 이어 멕시코에 생산 기지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다만 이번 중국 전기차 스타트업의 미국 증시 상장이, 갈등이 갈수록 깊어지는 미중관계의 영향을 받을지 여부가 아직 미지수로 남아 있다. 중국 지리(吉利)자동차 산하 하이엔드 전기자동차 메이커 지커(Zeekr, 極氪智能科技)는 최근 위챗 공식 계정을 통해 뉴욕 증시 상장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커는 지난해 11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기업공개(IPO) 신청서를 제출했으며, 이를 통해 10억 달러(약 1조 3300억 원)을 조달할 계획이다. 지커의 뉴욕 증시 상장 추진은 중국의 전기차 스타트업들이 지정학적 긴장 등을 이유로 홍콩 증시 상장을 선호하는 추세 속에서 수년 만에 이뤄지는 행보여서 주목받고 있다. 한편 지난해 뉴욕증권거래소, 나스닥, 아메리칸증권거래소 등 3대 미국 증권거래소에 신규 상장된 중국 기업은 24개, 상장이 폐지된 기업은 11개였다. 중국동방항공 등 중국 국영기업들은 상장 폐지 결정의 이유로
'12조 3258억 위안' 한화로 약 2272조 원이다. 중국의 소프트웨어 및 정보기술 서비스 업종의 4만 개에 육박하는 기업들의 지난 2023년 이익 총액이다. 중국의 IT 업종 성장이 여전히 드세다. IT 업종은 글로벌 산업 생태계에서 업스트림 지위를 누리고 있다. 1차 농수산목축업, 2차 제조업, 3차 서비스업에 이은 4차 산업으로 불린다. 중국은 물론 세계 주요 산업국들이 산업 발전의 파일럿으로 삼고 있는 업종이다. 중국이 발빠르게 글로벌 산업 생태계의 헤드를 선점하고 있는 것이다. 중국 공업정보화부(工信部)가 최근 발표한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 '소프트웨어 및 정보기술 서비스업(이하 소프트웨어 산업)'의 규모이상 기업은 3만 8000개를 넘어섰다. 또 소프트웨어 산업의 연간 매출액은 12조 3258억 위안(약 2272조 원)으로 전년 대비 13.4% 성장했으며, 연간 이익은 전년 대비 13.6% 증가한 1조 4591억 위안(약 269조 원)으로 집계됐다. 부문별 매출액을 살펴보면 정보기술 서비스 부문은 8조 1226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14.7%, 클라우드 서비스 및 빅데이터 서비스 부문은 1조 2470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15.4% 증가했
중국 온라인 쇼핑몰들이 빠른 속도로 국내 모바일 전자상거래 시장을 잠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에서는 쿠팡이라는 강자가 있지만, '글로벌 공장'이라는 중국의 소비재 제조 능력을 바탕으로 한 중국 쇼핑몰들의 가성비를 따라가지 못하는 것이다. 사실 중국 쇼핑몰들은 글로벌 소비재 생태계를 파괴하는 가장 우려스러운 외래종으로 꼽힌다. 글로벌 사회 곳곳이 이 외래종에게 자체 소비재 생태계를 파괴당하고 있다. 더 큰 문제는 이들 기업이 모두 중국에 있어, 소비재 산업 영위를 통한 세금을 제대로 내지 않는다는 점이다. 12일 모바일 빅데이터 기업 아이지에이웍스의 모바일인덱스 통계에 따르면 중국 전자상거래 기업 핀둬둬의 자회사인 온라인 쇼핑 플랫폼 테무(Temu)는 지난해 10월부터 올해 1월까지 4개월 연속 신규 설치 앱 1위에 올랐다. 작년 8월 한국 시장에 진출한 테무는 첫달 37만 8811건이었던 신규 앱 설치 건수가 9월 117만 9761건으로 급증해 100만 건을 돌파했다. 이후 10월 121만 6535건, 11월 136만 9460건, 12월 187만 355건, 올해 1월 222만 1981건으로 증가세를 이어오고 있다. 테무의 1월 신규 앱 설치 건수는 2~3
'3.4%' 지난 2023년 중국 IT(전자정보) 산업의 전년 대비 성장률이다. 중국 정부가 반도체 자립 목표를 내세우며 기업들을 적극 지원했지만 미국의 강력한 제재가 먹힌 것으로 보인다. 성장률이 중국 경제 성장 목표치 대비 1%포인트 이상 낮다. 중국 최대 통신장비 기업 화웨이의 성장이 없었으면 이나마도 어려웠을 수 있어 보인다는 게 전반적인 시장의 평가다. 중국은 과연 미국의 제재를 극복하고 IT 산업의 굴기를 이룰 수 있을 것인가? 중국의 미래가 달린 문제다. 중국 공업정보화부(工信部)가 지난해 전자정보 제조업 운영 현황 보고서를 12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 전자정보 제조 생산은 회복세로 돌아섰으며 수출 하락폭도 줄어들었다. 중국측 보고서여서 그마나 회복세라는 평가가 붙었다는 게 글로벌 시장 분석가들의 지적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23년 중국의 규모이상 전자정보 제조업의 부가가치는 전년 대비 3.4% 증가했다. 성장률은 공업보다 1.2%p 낮지만 첨단기술 제조업보다 0.7%p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내수용 스마트폰 시장이 확대된 것이 유효했다. 중국 당국의 노력이 결실을 본 셈이다. 지난해 휴대폰은 전년 대비 6.9% 증가한
중국 본토 증시에서 거래되는 A주(China A-Shares) 상장사 2808개 기업의 2023년도 실적 잠정치가 최근 공개됐다. 중국 시장조사기관 Wind의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 8일 기준 상하이, 선전 증권거래소의 A주 2808개 상장사 중 617개 사는 전년 대비 실적 향상, 20개 사는 실적 유지, 373개사는 흑자전환, 158개사는 다소 성장이라고 밝혔다. A주 상장사 가운데 40%가 넘는 1168개 기업이 ‘희소식’을 알려온 것이다. A주 상장사들의 전년 대비 성장폭을 살펴보면 54.99%에 달하는 1544곳의 회사가 2023년 순이익이 플러스 성장을 기록할 것이라고 답하였다. 특히 709개 사는 순이익이 전년 대비 100%를 넘어설 것으로 조사됐다. 순이익이 전년 대비 10배에 달할 것이라고 밝힌 기업도 34개에 달했다. 리장주식회사(丽江股份), 후이성환보(惠城环保), 간넝주식회사(赣能股份) 등이 순이익 증가폭 순위 1~3위를 차지했다. 순위별로 순이익 추정치를 살펴보면 리장주식회사가 2억 1500만 위안(약 397억 원)~2억 4000만 위안(약 443억 원), 후이성환보가 1억 3600만 위안(약 251억 원)~1억 5600만 위안(약 288
오를 것인가? 가라앉을 것인가? 중국 경제 그것이 문제로다. 말 그대로 햄릿 경제다. 중국 경제의 현재 모습이다. 침체와 회복의 길목에서 아직도 헤매고 있다. 2년을 그렇게 허비하고 있다. 많은 개선을 의미하는 지표들이 나오고 있지만, 지난 2023년 지방 정부 발표 지표들이 상승과 하락의 방향을 바꾸는 정도의 수치 오류가 있었음이 증명되면서 중국 정부 발표 수치들에 대한 신뢰도는 더욱 바닥으로 떨어진 상태다. 침체 우려는 갈수록 커지고 있다. 중국 경제에 대한 실망도 갈수록 깊어지고 있다. 8일 중국 국가통계국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중국의 1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월 대비 0.8% 하락했다. 전년 동월 대비 CPI 하락폭(-0.8%)은 2009년 8월(-1.2%)과 9월(-0.8%) 이후 14년만에 가장 많이 떨어진 것이다. 중국 CPI는 지난해 7월 전년 동월 대비 0.3% 하락하며 2년 5개월 만에 마이너스를 기록한 뒤 8월 0.1% 상승하며 반등했으나 10월부터 다시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1월 비식품 물가는 0.4% 상승했으나 식품 물가가 5.9%나 떨어져 하락세를 주도했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돼지고기(-17.3%) 가격이 급락한 가운데
중국 최대 명절인 춘제(春節, 설) 연휴가 다가오면서 중국내 항공권 주문이 폭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 최대의 여행그룹인 중국인들이 움직이기 시작한 것이다. 중국인들은 글로벌 여행산업의 최대 고객이다. 그 수가 워낙 많기도 하지만, 중국인들의 소비 규모가 남다르기 때문이다. 실제 중국인들은 여행을 하면서 주변사람들의 돈을 모아, 쇼핑을 대신해준다. 어린 학생들은 이 과정에서 스스로 여행경비를 벌기도 한다. 자연히 현지를 찾으면서 각종 명품에 대한 소비를 하게 된다. 여행을 떠나면서 위탁받은 물품을 구매하는 것이다. 이제 이런 중국 관광객들이 설을 맞아 대대적인 이동을 시작한 것이다. 7일 중국 항공정보 앱 '항반관자(航班管家, Flight Manager)'에 따르면 지난 5일 기준으로 중국 국내 항공권 예약은 지난해 대비 130%, 2019년 대비 201% 증가했다. 항공권 운임 측면에서 살펴보면 올해 춘제 연휴기간 중국 국내 항공권(이코노미 클래스)의 평균 가격은 910위안(약 16만 7000원)으로 작년보다 7%, 2019년 대비 2.7% 상승했다. 또 올해 춘제 연휴기간 인기 항공 여행지로는 베이징(北京), 청두(成都), 상하이(上海), 항저우(杭州
누가 이 아름다운 황금 가면을 썼을까? 여성일까? 남성일까? 화려한 황금 문화로 세계를 놀래킨 싼싱두이·진샤 고대 슈문명의 유물들이 전시된다. 한국에는 이미 삼성퇴(싼싱두이) 유물로 잘 알려져 있다. 중국 상하이박물관이 '중국의 별: 싼싱두이·진샤 고대 슈문명전(星耀中国: 三星堆·金沙古蜀文明展)'을 5월 20일까지 선보인다. 싼싱두이(三星堆)는 쓰촨성 광한(广汉) 인근에서 발굴된 고대 청동기 유적으로 황허문명과는 다른 독자적인 문명의 발자취로 잘 알려져 있다. 1929년 최초 발견한 이후 총 8개의 갱이 확인됐다. 지금까지 일부만 발굴이 진행됐으며 청동기, 황금 가면 등 1만3000여 점의 유물이 출토됐다. 진샤(金沙)는 쓰촨성 성도 청두(成都) 외곽에서 발굴된 유적으로 BC 12세기부터 7세기까지 양쯔강 상류 일대에서 번성했던 고대 슈(蜀) 문명의 중심지이다. 상하이박물관 동관에서 열리는 이번 전시회는 '중국 문화 유물 및 고고학 전시회 시리즈'의 세 번째 전시회로 상하이박물관과 쓰촨성 문화유물 및 고고학 연구소가 공동으로 주최한다. 광한시에 있는 싼싱두이박물관과 청두에 있는 진샤유적지박물관이 소장한 총 363점의 유물을 한 자리에서 살펴볼 수 있다. 특히
'차세대 정보기술, 첨단 설비 제조, 신에너지 신소재, 현대 해양 산업, 실버 헬스케어, 첨단 화학공업, 현대 농업, 프리미엄 관광 산업, 현대 금융 서비스, 현대 경공 방직업' 중국 산둥성이 내세우는 지역내 10대 주요 산업이다. 산둥성은 이들 산업을 집중으로 육성해 지역 발전을 꾀한다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들 10대 산업들의 지난 2023년 한 해 전년 대비 매출 성장률이 6%에 육박했다. 중국 산둥성 정부가 6일 발표한 '2023년 산둥성 세수(稅收) 통계 보고서'에 따르면 산둥성 10대 산업(十强产业 - 차세대 정보기술, 첨단 설비 제조, 신에너지 신소재, 현대 해양 산업, 실버 헬스케어, 첨단 화학공업, 현대 농업, 프리미엄 관광 산업, 현대 금융 서비스, 현대 경공 방직업)의 매출이 전년 대비 5.7% 증가했다. 특히 차세대 정보기술(11.6%), 첨단 설비 제조(14.6%), 현대 해양 산업(11.0%), 프리미엄 관광 산업(18.7%), 현대 금융 서비스 산업(19.2%) 부문이 성장을 주도했다. 디지털 경제 핵심 산업의 매출 수익은 전년 대비 6.8% 증가하였으며 특히 소프트웨어와 정보 기술 서비스업(16.5%), 인터넷 서비스업(15.
중국 최대 통신장비업체 화웨이(HUAWEI, 华为)가 드디어 해냈다. 애플을 제치고 중국 스마트폰 시장 1위 자리를 차지했다. 최근 수년간 미국은 화웨이에 대해 각종 제재를 가해 북미에서 제대로 영업조차 할 수 없게 만들었다. 그로 인해 화웨이는 중국 시장에 더 매진할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그런 와중에도 중국 스마트폰 시장에선 언제나 애플이 화웨이를 크게 앞섰다. 중국이 미국을 미워해도 '아이폰 사랑'만큼은 어쩔 수 없다는 소리가 나왔을 정도다. 그런데 올해 들어 사상 최초로 화웨이가 애플을 앞선 일대 사건이 일어난 것이다. 4일 시장조사 기관인 카운터포인트 리서치(Counterpoint Research)에 따르면 화웨이는 올해 1월 첫 2주 동안 중국 스마트폰 시장에서 판매 1위에 올랐다. 화웨이의 중국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은 2019년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제재 조치 이후 계속 감소해 왔으나 지난해 8월말 자체 개발한 'Kirin 9000S 칩'을 탑재한 프리미엄 스마트폰 '메이트(Mate) 60' 시리즈를 출시하면서 부활의 신호탄을 쏘아올렸다. 지난해 9월 3일 판매에 들어간 Mate 60 Pro의 경우 화웨이몰, 타오바오, 징둥닷컴 등 모든 온라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