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베이징 ‘한중일 고대 유물 전시회’에 동북공정 노골화

 

중국이 한중일 고대 유물 전시회에서 고구려와 발해를 삭제한 한국사 연표를 선보여 논란이 되고 있다.

베이징 중국국가박물관은 지난 7월부터 한중 수교 30주년과 중일 국교 정상화 50주년을 기념하는 '동방길금(동방의 상서로운 금속) - 한중일 고대 청동기전'을 진행하고 있다.

이 전시회는 한국의 국립중앙박물관과 일본 도쿄국립박물관이 공동으로 참여한 행사로 관람객의 이해를 돕기 위해 3개 국가의 고대사 연표가 유물과 함께 전시됐다.

하지만 한국 고대사 연표를 보면 청동기시대를 고조선으로, 철기시대를 신라·백제·가야·통일신라·고려·조선 등으로 표기한 것으로 밝혀졌다. 고구려와 발해를 고의로 삭제한 것이다.

이에 대해 국립중앙박물관은 전시회에 앞서 제공한 연대기표를 중국이 임의로 편집했다며 수정과 함께 사과를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부도 우리 민족의 정체성과 관련된 사안인 만큼 역사 왜곡 동향에 대해 단호하게 대응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반면 중국 외교부 마오닝 대변인은 13일 정례 브리핑에서 관련 질의에 "고구려 문제는 하나의 학술 문제로 학술 영역에서 전문적인 토론을 할 수 있으며 정치적인 조작을 할 필요가 없다"고 답했다.

중국은 지난 2002년부터 2007년까지 국책 학술사업으로 진행한 동북공정(東北工程)을 통해 고구려사와 발해사 등 한국 북방사를 중국사로 편입하려는 의도를 드러낸 바 있다.

이번 일로 한중 간의 골은 더욱 깊어질 전망이다. 특히 중국 서열 3위인 리잔수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상무위원장의 방한을 앞두고 국민 감정상 가장 민감한 '역사 논란'이 벌어져 주목된다.

리 상무위원장은 15일 방한해 한국 윤석열 정부에 사드 배치 문제 등에서 협력을 요청할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은 과거 문재인 정부 때와 마찬가지인 '3불' 정책을 지켜달라 요구하고 있고, 현 정부는 내정 문제라며 "간섭 말라"고 강경한 입장이다. 

이런 상황에서 다시 국민 감정을 건드리는 '역사 논란'이 불거지면서 한중은 서로 각자의 길을 가게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는 것이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