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낸시 펠로시 만나려던 이용수 할머니 부상에 中네티즌 “인권 지지자 아니었나?”

 

94세 고령의 이용수 할머니가 국회에서 부상을 당했다는 사실이 전해지자, 중국 네티즌들이 낸시 펠로시 미 하원의장은 "인권운동가 아니었냐?"는 반응을 보이며 낸시 의장을 디스하고 있다. 타이완 방문으로 골이 난 것을 이 참에 마음껏 풀어내는 모습이다.

이용수 할머니 사건은 지난 4일 벌어졌다. 당일 한국의 민간단체인 '일본군 위안부 문제 국제사법재판소 회부 추진위원회'(이하 추진위)와 이용수 할머니는 낸시 펠로시 미국 하원의장에게 면담을 요청하기 위해 국회 사랑재에서 기다리다 국회 경호원 10여 명의 제지로 휠체어에서 넘어져 다쳤다.

이날 추진위와 이용수 할머니는 펠로시 의장을 만나 위안부 피해자들의 권리를 지지해달라는 의견을 전달할 계획이었다. 이와 관련해 국회 사무처는 "할머니에게 이동 협조를 구했음에도 할머니가 고성을 지르는 등 요청에 응하지 않아 직접 휠체어를 이동시키던 중 할머니가 몸을 좌우로 흔들며 땅으로 내려왔다"고 해명했다.

 

이런 일은 어딜 가나 다 있지 않나요? 한국만 있는 게 아닙니다.

 

이건 한국측 잘못이지 펠로시와는 무관합니다! 미국 내에서도 흑인이 이와 비슷한 취급을 받는 상황이 있었어요.

 

여성 권리를 지지하는 사람이 피해자를 도와야하는 거 아닌가요? 피해자를 왜 이렇게 대하는 거죠? 여성 권리 지지의 뜻을 제가 잘못 이해하는 건가요?

 

일본군에게 피해를 입은 94세의 노인이시지만 펠로시는 또 일본에 방문할 건데 이 문제에 관심을 가질리가 없습니다. 자기 일에서 성과를 내야 더 잘 될 거니까요.

 

답답하네요. 미국인은 자신의 이익만 챙길 줄 알지 ‘세계 경찰’이 아니라는 걸 할머니가 아셔야할텐데요.

 

펠로시는 여성 인권을 지지하는 사람 아닙니까. 왜 나와서 목소리를 내지 않는 겁니까!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