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김정은 국무위원장 북중우의탑 헌화 소식에 中네티즌 “양국 우의가 계속되길”

 

북한의 관영매체인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28일 북중 우의탑에 헌화했다. 조국해방전쟁승리 69주년을 맞아 전쟁에서 목숨을 잃은 중국인민지원군에게 경의를 표했다는 것이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중국인민지원군이 조국해방전쟁의 역사에서 이룬 공적은 불멸할 것이라며, 피로 맺어진 북중 관계는 사회주의의 발전과 함께 대대로 계승되고 발전할 것이라고 밝혔다.

항미원조는 중국이 북한을 도와 치른 한국전쟁을 중국과 북한에서 부르는 이름이다. 미국에 대한한 전쟁이고, 중국과 북한은 그 전쟁에 승리했다고 주장을 한다.

어찌보면 요즘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비슷한 면이 있다. 먼저 공격을 해놓고 지지 않은 것을 이겼다고 주장하는 게 닮았다. 북한은 러시아를 믿고 남침을 강행해 초반의 극적인 승리를 이뤘지만 낙동강 전선을 중심으로 강하게 저항하는 한국군과 미국 등 유엔 참전군에 부딪치면서 전세가 급전된다. 

미국이 인천상륙작전으로 서울을 수복하고 긴 점령전선을 펼쳤던 북한군의 허리를 끊자 북한국은 지리멸렬해 압록강변까지 쫓겨나게 된다. 중국군은 이 때를 노리고 참전해 다시 전쟁은 38선 부근까지 이동해 소강상태가 이어지게 된다.

휴전선이 38도선 이북에 있는 이유는 당시 휴전협상이 진행되면서 미국과 국군이 한치의 땅이라도 더 확보하기 위해 피를 흘렸기 때문이다. 당시 중국과 북한군도 한치의 땅을 더 확보하기 위해 격렬히 공격을 해왔고, 이 기간 양측의 피해가 가장 컸다고 한다. 

북한은 중국군의 희생을 기려 1959년 10월에 우의탑을 건설한다. 우의탑 정면에는 지원군의 업적과 양국 우의를 기리는 비문이 새겨져 있고, 탑 양쪽의 기대에는 양국 군인들이 어깨를 나란히 하는 부조가 새겨져 있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북중 우의탑 헌화 기사에 많은 중국 네티즌은 양국의 우의가 계속되기를 바란다며 지원군에게 경의를 표하다는 댓글을 남겼다.

 

양국의 우의가 계속되길 희망합니다. 모두 제 할아버지의 전우입니다! 중국 인민 지원군에 경의를 표합니다!

 

중국 인민 지원군에 경의를 표합니다. 중국과 북한의 우의가 오래갔으면 좋겠네요.

 

북중 우의 만세, 세계 평화 기원!

 

지원군에게 경의를 표합니다. 당신들이 없었다면 지금의 행복한 생활도 없었을 거예요.

 

중국 인민 지원군은 영원히 양국 국민의 마음 속에 있습니다!

 

북한은 정과 의리를 중시하는 좋은 형제입니다. 전쟁 중 생사의 시련을 함께 겪은 친구이고, 이러한 우정이 많은 시련을 이겨낼 수 있습니다. 사람간의 관계도 그렇고, 국가간의 관계도 마찬가지이죠.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