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한국 물가 급등 소식에 中네티즌 "자본주의 국가의 결말”

 

미국을 휩쓸고 있는 인플레이션 파고가 한국도 덮쳤다.

올해 상반기 한국 물가가 빠르게 상승해 24년 만에 최고치를 갱신했다. 인플레이션은 장바구니 물가부터 공격했다.

서울 마포구의 한 식당은 상추 한 장 당 200원 꼴로 물가가 올랐다면서 적자를 보지 않기 위해 어쩔 수 없이 인기 메뉴인 쌈밥을 판매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서민들의 최애식품인 삼겹살 등의 가격도 천청부지로 치솟고 있다. 

한국 국가 통계 사이트 데이터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음식점에서 판매하는 음식 평균값이 증가했다. 정확하게는 전년 동기 대비 6.7% 증가했다.

각종 매체에서는 이러한 물가 상승의 원인으로 다음 두 가지를 들고 있다. 첫째는 전 세계의 원자재 가격 상승이다. 둘째는 고온, 장마, 해충 등의 영향으로 인한 생산량 감소이다.

한국 내부적으로는 코로나19 팬데믹 극복을 위해 지나치게 유동성을 풀어낸 것도 큰 요인이다. 

문제는 이 같은 인플레이션에 대응책이 금리 인상이라는 점이다.

금리인상은 서민대출 금리를 올려, 서민가계를 압박한다. 인플레이션으로 실질 소득이 감소한 서민들은 금리 인상으로 금융부담마저 커지고 있는 것이다. 

돈이 있는 이들은 금리 인상으로 금융수익이 높아져 인플레이션 부담을 해소할 수 있다.

다만 인플레이션에 비해 여전히 금리가 낮아 그 해소폭이 적을 뿐이다.

한국이 미국과 같은 인플레이션으로 고통스러워하자, 중국 네티즌들은 자본주의에 비해 공산주의가 낫다는 식의 해석을 내놓고 있어 주목된다.

중국인들은 자본주의 국가의 마땅한 결말이라는 의견을 보이고 있다.


하하, 미국한테 도와달라고 해.

 

한국인들 월급이 얼만지 알아? 한 사람이 돈 벌면 가족들 다 먹고 살 수 있어.

 

며칠 전에 훠궈집에서 밥먹는데 주인이 야채를 한 가득 가져와서 하루종일 먹었는데도 다 못먹었어.

 

뭐가 무서워. 한국인: 우리는 선진국이야.

 

안 비싸. 훠궈집에서도12위안에 상추 한 접시 주는데 몇 장 안 나왔어.

 

선진 자본주의 국가의 결말이야. 야채와 과일이 사치품이 되는 거지.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