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하이난 면세품 매출 2년간 906억 위안

 

'906억 위안'

17조 원가량이다. 최근 원화 가치가 떨어지면서 금액이 좀 더 커졌다. 올 1~6월 사이 중국 하이난 면세점 매출액이다.

적지 않은 액수다. 

물론 세계 최대 매출을 자랑하는 한국의 인천공항 매출에 비하면 아직 미흡하다. 한국인천공항은 지난 2019년 224억3000만 달러(29조7197억 원)의 매출을 올렸다.

하지만 하이난이 중국의 관문이라는 베이징과는 차이가 있다는 점에서 하이난 면세점의 매출은 여전히 눈의 띄는 액수다.

최근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하이커우 세관의 하이난섬의 면세 정책이 최근 2년간 조정되었다.

이에 하이커우 세관은 올 6월 말 현재 면세품 판매 매출액이 906억 위안, 판매건수 1억2500만 건에 달한다고 밝혔다.

이용 쇼핑객 수는 1228만 명이었다.

이 지역의 하루 평균 면세품 판매 금액은 1억2400만 위안이었다. 이 같은 수치는 정책 조정의 덕이 컸다는 게 현지 매체들의 분석이다. 매출액이 정책조정 전보다 257% 증가한 때문이다.

현지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중국 당국자는 "면세 한도의 대폭적인 증가, 품목 구매 제한 단계적 완화 등의 조치가 면세점 매출 증대로 이어졌다"고 말했다.

현지 매체에 따르면  하이난섬의 면세 쇼핑 정책은 2020년 7월 1일 조정됐다.

조정을 통해 면세 쇼핑 한도 연간 1인당 3만 위안에서 10만 위안으로 인상됐고, 단일 제품 면세 한도액 8000위안 및 대부분의 품목별 1회 구매 수량 제한 등이 폐지됐다.

정책은 하이난 면세점의 매출이 2배 이상이 늘어날 수 있는 공간을 넓혀준 것이다. 실제 이번 정책 조정 직후 늘어난 매출이 조정 직전보다 정확히 2.5배 가량 늘었다. 

면제점의 매출은 결국 규제 당국의 손에 달렸다. 한국이 대표적인 사례다. 규제를 최소화하고 품목별 구매수량을 자유롭게 하면서 한국 인천공항은 세계적인 쇼핑의 대명사로 자리 잡고 있다. 아시아에서 트랜스퍼를 해야 한다면 한국 인천공항을 골라 잠시라도 쇼핑을 한다는 게 세계 여행객들의 일반적인 선택이 되고 있는 것이다. 

한편 중국 현지 매체들에 따르면 최근 하이난의 면세점 운영 주체는 모두 5곳이고, 면세점은 10곳으로 늘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