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세계 CO2 배출량 순위, 중국 98억9930만t으로 1위

 

기후변화

이처럼 인류를 막연한 공포에 몰아 넣는 것도 없다. 지구 대기 변화에 따른 지구 온난화 영향으로 지구가 더워지고 생태환경이 변한다는 지적이다.

그래서 탄소 배출을 줄여야 한다는 데 지구촌 모두가 공감하고 있다.

유럽 등이 주도해 2050년까지 탄소 배출을 줄여 보자는 목표를 세우고 추진하고 있다. 한국도, 중국도 동참하고 있다.

하지만 제조업을 경제 근간으로 하는 한국이나, 중국의 경우 그 목표 달성이 쉽지 않다.

유럽 각국은 돈으로 대신하라는 주장을 한다. 하지만 돌이켜보면 오늘날의 탄소 포화상태는 유럽 등 서구사회가 주범이다. 

한국이나 중국은 뒤늦게 산업화해 이제 겨우 먹고살만한 제조업 기반을 갖추고 있다. 

그런데 이제 더 탄소를 배출하려면 돈을 내라고 한다. 중국은 탄소 넷 제로 주장에는 공감하면서도 그 과제가 과하다고 반발하고 있다.

문재인 정권은 얼씨구 좋다고 하고 유럽 기준을 그대로 따르겠다고 나섰다.

하지만 쉬운 문제는 결코 아니다. 기본적으로 제조 단가가 오른다. 

전 세계적인 코로나19 여파로 탄소 배출량이 감축되었지만, 글로벌 경기 회복에 따라 각국이 봉쇄를 풀면서 지속적이고 상당한 규모의 이산화탄소 감축이 이뤄질 수 있을지가 난제이다.

2020년 기준 전 세계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총 322억8400만t으로 연평균 증가율이 6.3% 줄었다. 인구 1~3위인 중국, 인도, 미국은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상위권을 차지했고, 미국은 4457만2000t으로 인도보다 높다.

1인당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싱가포르가 36.1t으로 가장 높았고, 그 외 14개국이 10t 이상, 중국은 6.9t이었다.

세계 탄소 배출 국가 순위를 살펴봤다.

 

1. 중국

2. 미국

3. 인도

4. 러시아

5. 일본

6. 이란

7. 독일

8. 한국

9. 사우디아라비아

10. 인도네시아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