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코로나19로 중국에서 명상 앱 인기, 누적 가입자 1000만 명 돌파

 

'1000만 돌파'

중국의 한 명상 앱 가입자 수다. 중국에서 놀라운 숫자는 아니다. 하지만 이 숫자가 코로나 19 팬데믹 이후 단기간 급증한 숫자라면 다르다.

중국에서 코로나 팬데믹 탓에 명상 앱이 인기를 끌고 있다.

코로나 팬데믹으로 경영난에 빠진 자영업자, 코로나 봉쇄 탓에 집에 갇히게 된 이들이 앞다퉈 명상으로 심리적 불안, 압박을 해소하려 하기 때문이다. 

중국 한 매체는 이 같은 현상을 소개하는 기획 기사를 게재했다.

기사에서 한 자영업자는 "매주 두세차례 명상앱을 열고 따라 명상을 한다"고 말했다. 작은 음식점을 운영했던 그는 코로나 팬데믹으로 손님이 끊어지자, 심리적 스트레스가 심해져 앱을 찾게 됐다고 매체는 소개를 했다. 

"어차피 시간을 떼워야 했다"는 게 자영업자의 말이다. 

사실 게임 등으로 시간을 보낼 수도 있지만, 끝나고 나면서 보낸 시간들이 허망해지고 다시 심리 한 구속에 몰아 넣었던 현실의 불안감 되살아 나는 악순환이 반복될 수도 있다.

명상은 게임 등과는 다르게 자신의 마음을 다스려, 불안을 직시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중국 현지 매체들은 이 같은 원인으로 명상 앱 시장이 급속히 커지고 있다고 전했다. 

현지 매체들의 보도에 따르면 최근 몇 년간 코로나19로 인해 심신 건강에 대한 욕구가 높아지면서 직장생활의 균형과 삶의 보람에 대해 고민하는 사람이 많아졌고 이 덕에 지난 2021년 6월~2022년 4월 명상 앱 월간 활성 사용자는 20만 명에서 30만 명으로 늘었다.

한 매체는 업계 관계자의 말을 빌어 "코로나19가 시작된 후에는 앱 다운로드 수가 두 배로 증가했고, 특히 2020년 3월 이후에는 월 60만~100만 명에 이를 수 있다"고 전했다.

현재, 이 중국의 오래된 명상 앱의 누적 가입자 수는 모두 1000만 명을 넘는다.

이들의 핵심 이용자는 25~35세 직장인이며, 10명 중 6명 이상이 여성 이용자라고 업계 관계자는 전했다. 현재는 코로나19 사태 초기인 2021년에 비해 조석 유료 가입자가 전년 동기 대비 100% 넘게 늘어났다.

최근 들어 눈에 띄는 새로운 변화는 명상 관련 제품의 청소년 이용층이 늘고 있다는 점이다. 젊은 세대가 도시생활에서 겪는 스트레스, 초조함 등 심신적인 요소에 주목해야 한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