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한국과 중국, 세계에서 양육비 부담 가장 높아

 

중국의 출산율이 빠르게 줄고 있다.

이유는 다른 게 아니다. '아이 키우기가 너무 힘들다'는 것이다. 

한국처럼 중국 역시 아이의 교육에 거의 모든 투자를 한다. '잘 키운 아이가 집안을 일으킨다'는 게 중국과 한국 가정의 전통적인 가치관이다.

부모의 거의 모든 자산이 자녀 교육에 들어간다. 가장 많은 투자를 했으니, 더욱 아낄 수밖에 없는 구조다.

아이의 양육은 부모가 책임지고, 부모의 양육은 자식이 책임지는 게 동방의 가치다.

가족이라는 개념의 핵심이다.

서구 사회로 오면서 이 같은 양육의 책임을 사회가 맡아야 한다는 개념이 등장했다. 서양 주도로 글로벌 무대가 이끌어지면서 서구적 양육의 가치는 동양 사회 제도와 틀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한국과 중국에서는 여전히 '가족 양육'의 개념이 강하다.

최근 미국의 교육 관련 기관들은 세계 각 국에서 양육비를 연구해 계산했다.

절대적인 금액으로 따지면 중국은 아이를 키우는 데 가장 싼 곳이다. 수익에 비해 아이 교육 등 양육에 쓰는 돈의 비중이 높다.

중국의 1인당 GDP는 몇 년을 거치면서 이미 전 세계 평균을 상회했고 고소득 국가 수준에 근접해 12000달러를 넘었다.

그럼에도 여전히 일본의 4만 달러, 미국의 6만 달러와는 격차가 있다.

문제는 이 같은 전체 수익에서 양육비가 차지하는 비중이다. 

관련 기관의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에서 0세에서 18세까지 아이를 양육하는 데 투입되는 비용은 1인당 GDP의 6.9배에 달한다.

이는 미국 등 선진국보다 훨씬 높은 수치다. 

중국 보다 높은 곳이 바로 한국이다. 한국은 7.79배로 가장 높다.

이탈리아는 6.28배, 미국은 5.25배였고, 뉴질랜드는 4.55배, 캐나다는 4.34배, 일본은 4.26배, 호주는 2.08배 등이다.

'천하에 불쌍한 게 부모 마음이다'는 중국 속담이 틀리지 않았던 것이다. 정말 안타까운 점은 이 속담은 중국보다도 한국에 더 어울린다는 점이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