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홍찬선의 시와 경제 5 - 불확실성과 시간가치

원숭이는 왜 ‘아침 4개, 저녁 3개’를 택했을까

 

옛날에 저공이라는 사람이 원숭이를 길렀다. 어느 날 그는 원숭이들에게 하루에 줄 바나나 7개를 아침에 3개, 저녁에 4개를 주겠다고 했다. 원숭이들이 화를 내자, 저공은 아침에 4개, 저녁에 3개는 어떠냐고 했다. 원숭이들은 좋다며 받아들였다.

살면서 한 두 번씩은 들어본 조삼모사(朝三暮四)라는 사자성어의 기원이다. 조삼모사는 처음엔 원숭이들이 멍청하다는 뜻으로 쓰였고, 시간이 흐르면서 이랬다저랬다 하는 변덕스러운 사람을 가리키는 말로도 전용되고 있다. 과연 원숭이들은 멍청했던 것일까….

 

조삼모사/ 如心 홍찬선

 

내 머리로만 보면

옳은 것도 틀린 것으로 여기고

내 생각으로만 들으면

잘못된 것도 올바르다고 착각한다

바나나를 아침 4개, 저녁 3개

받는 게, 아침 3개, 저녁 4개

보다 나은 것은

숲 속에 있는 참새 10마리가

내 손안에 있는 한 마리 보다

못하다는 것과 마찬가지인데

똑똑하다며 콧대 세우는

비심(非心)들은

원숭이를 향한 손가락질이

스스로에게 되돌아오는 걸

내가 옳다고 우기면 틀리고

내가 틀리다며 묻고 찾으면

옳은 길 얻는다는 것을

꿈도 꾸지 못한다

 

 

삶은 불확실성으로 가득 차 있다. 내일 무슨 일이 일어날지는 물론이고, 오늘 저녁이나 바로 10분 뒤에 어떻게 될지 알 수 없다. 앞날이 불확실하기 때문에 생물은 확실한 것을 좋아한다. 하이에나가 썩은 내가 진동하는 고기를 먹는 것은, 싱싱한 고기를 사냥할 불확실성보다 사자가 먹다 남겼더라도 확실한 썩은 고기가 낫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본능이 알려주는 생존방법이다.

사람이 경제생활을 할 때도 마찬가지다. 아르바이트 하고 받을 돈을 한 달 뒤 110만원 받는 것과 지금 100만원 받는 것을 선택하라고 하면, 대부분 후자를 고른다. 한 달 동안 어떤 일이 벌어질지 알 수 없기 때문이다. ‘마시멜로 효과’는 참으로 누리기 힘든 유혹이다.

한 달과 하루의 시간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원숭이가 아침에 3개, 저녁에 4개보다 아침에 4개, 저녁에 3개를 더 좋아한 것은, 원숭이들이 시간가치를 알고 있기 때문이다.

장자는 조삼모사의 뜻을 다르게 해석했다. 원숭이로서는 아침에 3개, 저녁에 4개를 받는 것은 옳지 않으며, 아침에 4개 저녁에 3개 받는 게 옳은 것이다. 저공은 처음에 원숭이들의 반발을 샀지만 곧 태도를 바꿔 원숭이들을 만족시켰다. 나만이 옳고 원숭이는 틀렸다는 고정관념에 사로잡혀 있는 사람이라면, 원숭이들이 멍청하다고 혀를 차는 것으로 끝났을 것이다. 하지만, 저공은 원숭이들의 생각에 공감해서 그들을 기쁘게 했다는 설명이다.

양력과 음력이 한 달의 시차를 두고 칡범 해, 임인년(壬寅年)이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4일이 입춘이어서 긴긴 겨울이 끝나고 봄이 움트기 시작하는 때다. 비록 봄이 오는 것을 시샘하는 강추위가 몰아치고 있어 막판 감기를 더욱 조심해야 하지만….

봄과 함께 시작하는 새해는 새로운 마음으로 새로운 각오를 다지고, 새로운 계획을 세운다. 해마다 작심삼일 공약(空約)으로 끝나고 마는 새해 다짐이 명실상부한 공약(公約)이 되도록 지금의 중요성을 새김질해보자. 지금, 바로 이 순간!

 

 

바로 지금/ 如心 홍찬선

 

바로 지금이 보물이다

눈은 멀리 보면서 성큼성큼

발은 쫀쫀하게 자벌레 걸음

이것이냐 저것이냐

둘 가운데 하나 고르는

삶은 싸움,

네가 죽어야 내가 살지만

이것도 저것도

모두 받아들이는

삶은 어울림,

너와 내가 함께 행복하다

황금과 소금보다

더 소중한 것은

지금, 바로 이 순간!

 

빅터 프랭클 박사는 『죽음의 수용소』에서 다른 버전의 조삼모사가 있었음을 증거했다. 2차 세계대전이 끝나갈 무렵, 아우슈비츠에선 하루 배급 식량이 톱밥 섞인 빵 한 덩이로 줄어들었다. 수감자들은 이 빵 한 덩이를 한꺼번에 먹을지, 조금씩 나눠 먹을지를 놓고 논쟁을 벌였다. 한 번에 다 먹으면 굶주림을 잠시나마 잊을 수 있고, 다른 사람에게 뺐기지 않을 수 있다는 주장(조사모삼)도 있었으나, 프랭클은 조금씩 나눠 먹으면서(조삼모사) 위안을 얻었다고 했다.

사람이 조삼모사의 상황에 처하지 않도록 하는 게 최선이지만, 어쩔 수 없이 그런 처지에 빠졌다면 어떻게 행동하는 게 현명할까. 언제 조삼모사이고, 언제 조사모사일까. 사람마다 해답이 다르다는 현실이 삶을 어렵게 한다….




사회

더보기
장관이대에서 고농현허까지 사자성어로 본 중국 AI 조작 광고 사기행각
“‘장관이대’(張冠李戴) 광고 사기 수법을 아시나요?” 중국 매체가 AI조작을 통한 사기판매 행각을 사자성어로 정리해 눈길을 끈다. 대표적인 성어는 ‘장관이대’(張冠李戴)다. 본래 뜻은 장씨의 관모를 이씨가 쓰고 있다는 의미다. 흔히 자신에게 어울리지 않는 자리를 앉아 권한을 행사할 때 쓴다. 또는 일은 장씨가 하는 데 생색은 이씨가 낸다는 의미도 있다. AI 조작 사기에서는 유명 연예인이 광고한 적 없는 데 AI로 조작해 유명 연예인이 모델로 나서 광고하는 브랜드인양 속이는 것을 말한다. 유명 연예인이 등장하는 광고의 제품에 대해 일반인들은 제품이 하자가 있거나, 사기일 것이라는 생각을 못하기 때문에 이용되는 수법이다. 가장 보편화된 AI 조작 광고 수법이다. 이 보다 한층 심각한 범죄가 ‘무중생유’(無中生有) 수법이다. 성어 의미는 완전한 거짓이라는 뜻이다. 없는 곳에서 물건을 있다고 만들어내는 것을 의미한다. AI 조작 사기광고에서는 단순히 모델로만 유명 연예인을 AI 조작해 등장하도록 하는 게 아니라, 더 나아가 마치 없는 할인 행사를 하는 듯 광고하는 것을 의미한다. 소비자를 적극적으로 속이는 것이다. 할인 혜택이 있는 예약 구매를 유도하는 듯한 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