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2021년 1~3분기 중국 상위 5대 수익성 산업...인터넷 서비스 사업이 1위

 

코로나19로 모두가 힘든 한 해다. 모든 소비가 줄고, 글로벌 무역 규모가 대폭 하락했다. 

2021년도 이제 마지막 한 분기만 남겨 놓고 있다.

중국에서 올 1~3분기 가장 돈을 많이 번 업종은 무엇이었을까? 최근 중국 매체 분석에 따르면 인터넷 서비스 산업이 1위였다.

중국의 네티즌 수는 매년 급증하고 있다. 이미 7억 명을 넘어선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많은 인구가 오프라인 소비보다 많은 부분을 온라인 소비로 전환하고 있는 것이다.

무엇보다 코로나 19 팬데믹은 인터넷 사업에는 오히려 긍정적인 작용을 했다. 언택트 문화를 확산시켜 플랫폼 사업 발전을 가속시켰다.

자연히 온라인 판매, 온라인 매출이 늘었다. 네티즌들의 소비 대상도 일반 소비재 주문 구매에서 문화콘텐츠, 온라인 교육, 온라인 업무 관련 서비스업 등 다양해졌다. 

다만 많은 이들이 아직 주의를 기울이지 못하고 간과하는 점이 있다. 온라인 소비가 추가 소비를 만들어 내지 않는다는 전제에서 보면, 결국 국가 총생산량의 일부를 삭감하는 효과가 있다는 점이다.

예컨대 대형 마트에 가면 보통 필요한 물건만 사는 게 아니라 눈에 띈 예상치 못한 구매를 하게 된다는 것이다. 온라인 구매에는 이 같은 비 계획성 구매가 적어진다. 물론 온라인 상품을 보다 하는 충동 구매가 있지만 그 정도가 오프라인의 경우에 비해 적을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어쨌든 중국은 매일 인터넷 소비가 늘고 있다. 이 같은 현상은 한국 등 기타 국가들도 다르지 않다. 재미있는 것은 중국에서 올해 돈을 많이 번 업종에 농업과 관광 서비스업이 포함돼 있다는 점이다. 한국 경제 입장에서 참 부럽기 그지 없는 일이다.

 

1. 인터넷 서비스 산업

2. 교육훈련 산업

3. 농업

4. 관광산업

5. 문화 및 엔터테이먼트 산업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