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中글로벌 혁신지수 상승해 ‘세계 12위’...한국 5위

 

세계 12위

중국의 글로벌 혁신지수 순위다. 아직 10위 권 밖이다.

한국은 5위를 기록했다.

글로벌 혁신지수는 세계지식재산기구(WIPO)가 유럽경영대학원(INSEAD) 등과 함께 뽑는 경제 발전의 주요 혁신 역량을 의미한다.

세계지식재산기구는 최근 제네바에서 ‘2021년 글로벌 혁신지수(Global Innovation Index)’를 발표했다.

중국은 작년에 이어 세계 12위에 올랐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은 코로나19로 인한 막대한 사상자와 경제적 손실에도 불구하고 정부와 기업은 혁신에 대한 투자를 늘렸다. 보고서는 이전 경기 침체와 비교하여 연구개발(R&D) 지출이 코로나19 경제 침체 기간 동안 더 큰 회복력을 보였다는 점이 주목할만하다고 평가했다.

스위스, 스웨덴, 미국, 영국은 계속해서 혁신 순위 최상위권을 차지했다. 아시아에선 한국(5위), 싱가포르(8위), 중국(12위), 일본(13위), 홍콩(14위) 등이 15위권에 진입했다. 일본의 혁신역량 수준은 일본의 현 위치를 대변하는 듯하다.

중국은 아직 많은 산업 영역에서 국영기업들이 핵심이다. 이런 상황에서 글로벌 혁신 순위로 일본을 제쳤다는 것은 상당한 의미가 있다.

공기업의 특징은 효율성보다 정책 과제 달성에 중점을 둔다는 점이다. 

이 때문에 이번 혁신지수를 살피면서 전문가들은 이번 평가는 역으로 중국 정부의 혁신성향이 세계 수위 수준임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정책과제를 경영성과로 삼는 공기업들이 주를 이루는 상황에서 중국 글로벌 혁신 지수가 높다는 것은 중국 정부의 정책과제가 그만큼 혁신적이라는 방증이라는 게 이들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실제 중국 당국의 정책은 한국 문재인 정부와 비교해도 '중국이 사회주의 국가가 맞나?'는 의구심이 들 정도로 시장과 효율에 방점이 찍혀 있다. 

반면 문재인 정부는 역으로 '자본주의 국가가 맞나?' 싶을 정도로 시장보다는 공정과 분배에 방점이 찍혀 있다. 전문가들은 한국이 글로벌 혁신지수에서 5위를 기록한 것은 결과적으로 정부보다 기업의 혁신성이 그만큼 뛰어난 덕분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사회

더보기
고장난 주차타워...도심 주차난의 주범으로 등장 눈길
‘고장난 주차타워, 이걸 어째?’ 중국에서 한 때 인기를 끌었던 주차타워가 최근 도심 주차난 해소는커녕 오히려 주차난을 가중시키고 있어 논란이다. 타워가 오래되면서 기계 고장으로 멈춰섰거나, 자동차 크기가 변하면서 주차장이 작동을 해도 실제 이용할 수 있는 차량이 크게 줄어든 탓이다. 중국 매체에 따르면 중국 각 도시에서 기계식 입체 주차타워는 공간을 절약하고 도시 내 주차공간을 보완하는 데 일정 역할을 했지만, 일부 장비는 실제 사용에서 제대로 활용되지도, 철거되지도 못해 차량을 세울 수 없는 ‘좀비 주차장’으로 전락했다. 기계식 주차타워는 본래 한정된 토지 위에서 최대한 많은 주차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등장했다. 그러나 보도에서 지적했듯이, 현실에서는 다수의 기계식 주차타워가 ‘좀비 주차장’이 되었고, 많은 운전자들이 통로에라도 주차하려 하지, 기계식 주차타워에 주차하려 하지 않는 상황이 벌어졌다. 이는 분명 자원의 큰 낭비다. 기계식 주차공간은 대개 내연기관 차량을 기준으로 설계됐지만, 현재의 신에너지차량들은 대체로 크고 무거워 차량 소유자들이 ‘주차공간’만 바라보며 한숨짓는 상황이 벌어졌다. 물론 많은 내연기관 차량 소유자들 또한 기계식 주차공간을 피할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