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가족계획법 개정해 세 자녀까지 출산 허용

 

중국이 세자녀 정책을 도입했다. 

두 자녀 정책이 시행된지 5년만이다. 중국 당국이 추진 사실을 공개한 지 3개월만에 전격 추진됐다. 그만큼 중국 당국이 사회 인구변화 문제를 중시한다는 방증이다.

22일 신화통신 등 중국 관영매체에 따르면 지난 20일 열린 제13기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상무위원회 제30차 회의에서 이 내용을 골자로 하는 '인구 및 가족계획법' 개정 법안이 통과됐다.

개정법은 부부가 자녀 셋을 낳을 수 있도록 규정했다.

또 정부로 하여금 재정, 세금, 보험, 교육, 주택, 고용 관련 지원 조치를 채택해 국민들의 출산과 양육 및 교육 부담을 경감토록 했다.

아울러 의료 및 보건 기구가 출산 연령기의 사람들에게 건강한 출산 및 양육 관련 교육과 보건 서비스를 제공하는 내용도 담겼다.

개정법은 또한 특정 지역서 부모 육아휴가 제도도 도입하도록 했다. 

자연스럽게 허용된 수 이상의 자녀를 낳은 부부에 대한 벌금 처분도 폐지됐다.

앞서 중국 공산당 중앙위 정치국 회의는 지난 5월31일 세자녀 정책 도입 추진을 공식화했다.

지난 1978년 도입된 한자녀 정책은 이로써 완전 폐기된 셈이 됐다. 

중국의 출산율을 그만큼 최근들어 급격히 저하되는 상황이다.  결국 저출산에 따른 노동력 감소와 고령화 위기감이 고조됐다.

중국 국가통계국이 지난 5월 발표한 인구조사 결과 중국의 작년 신생아 수는 1천200만 명으로 4년 연속 감소했다.

합계 출산율(한 여성이 가임기에 낳을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 출생아 수)은 1.3명에 그쳤다.

합계 출산율 1.3명은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고도로 민감한 경고선'(highly sensitive warning line)인 1.5명보다 낮은 것이다.

중국 당국은 이에 지난 2016년 '2자녀 정책'을 전면 시행했다.

 

 


사회

더보기
중 상하이시 출산장려를 위해 사측 납입 사회보험액의 6개월치 50%를 회사에 되돌려 주기로
중국 상하이시가 여 직원이 출산휴가를 쓰는 경우, 회사에게 납입했던 고용보험 등 사회보험료 6개월분의 50%를 지원키로 했다. 여성들이 보다 자유롭게 출산 휴가를 쓸 수 있도록 하는 조치다. 이번 제도 실시로 출산 등을 우려해 여성 고용을 주저하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1징지왕 등 중국 매체에 따르면 상하이시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의 ‘"여성 직원의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기간 중 고용주의 사회보험 지원금 지급에 관한 통지"(이하 통지)를 공표했다. 이번 통지는 시 인적자원사회보장국을 비롯한 5개 부서가 공동으로 서명했다. 중국 매체들은 “새로운 정책은 정부, 사회, 기업이 참여하는 출산 비용 분담 체계를 구축하고 "아동 친화적" 정책의 가치 지향성을 더욱 강화하는 것을 목표”라며 “’아동 친화적 일자리‘와 ’출산휴가 사회보장금‘의 시너지 효과를 통해 여성의 취업 장벽을 최소화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번 통지는 2025년 1월 1일부터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을 시행하고 고용보험 등 사회 보험료를 납부한 경우 바로 신청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지원 기준은 출산휴가 및 육아휴가 기간 동안 여성 근로자의 기초연금보험, 기초의료보험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