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베이징 경제개발구, 中도시별 신규 상장 기업수 순위 3위

 

베이징 경제개발구가 중국 도시들 가운데 신규 상장 기업수 3위를 차지했다.

베이징경제개발구는 중국 기술굴기의 핵심 지역이다. 이 곳에서 중국 당국의 육성 정책 아래 중국은 물론 글로벌 경제를 이끌 유니콘들이 자라고 있다.

18일 베이징 신경보에 다르면 8월 4일 페제트(倍杰特)가 상장을 하면서 베이징 경개구 2021년 상장기업이 6개가 됐다.

베이징 경제개발구는 올 상반기에만 화안신창(華安辛創), 차이나골드(中國金), 케인테크놀로지(凱因科技), 자오옌신약(昭延新藥), 징둥(京東)물류(京東) 등 5개 기업이 성공적으로 상장했다. 

베이징 경제개발구는 이로써 중국 전 도시 가운데 신규 상장기업 수 3위에 올랐다.

페제트는 292.92위안의 발행가로 A주 발행가 최고가를 경신했다.

이로써 현재까지 베이징 경제 개방구에는 36개 국내외 상장기업이 있으며 시가총액만 약 2조9300억위안에 달한다.

베이징경제개발구는 지난 1992년 첫 개발을 시작했다.

1994년 8월 25일 국무원에 의해 베이징 유일의 국가급 기술개발구가 됐다. 이어 2007년 1월 5일 베이징시정부는 이 구의 개발 계획을 확정, 베이징 동부 지역 개발의 핵심 기지임을 명확히 했다. 

2018년에 베이징경제개발구는 중국 정부의 평가에서 전국 4위를 차지했다.

최근 미국과 기술 갈등을 겪으면서 이 경제개발구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는 것이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