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게임 회사 Top 5...텐센트가 1위

 

전자게임의 본질은 사람이다. 사람이 게임을 하지, 기계가 게임을 하지 않는다.

이런 점에서 중국은 세계 최대 게임 시장이다.

중국은 철저히 시장 보호 정책을 펼치며 자국 게임사에게만 그 시장을 최대한 활용하도록 하고 있다. 이 기회를 중국 게임사들도 철저히 이용하고 있다.

그렇게 번 돈을 다시 투자를 하면서 중국 게임사들은 글로벌 강자가 되고 있다.

그동안 전자게임분야에서 선두를 달렸던 한국 기업들을 위협하고 있는 것이다.

중국의 주요 게임사들의 목록을 정리해봤다.

 

 

1. 텐센트 게임 (腾讯游戏)

텐센트게임은 2003년 설립된 텐센트의 게임 개발 및 운영기관으로 텐센트의 4대 온라인 플랫폼 중 하나이자 세계 10대 유명 게임사 중 하나로 현재 왕의 영광, 평화의 엘리트 등 다수의 모바일 게임을 보유하고 있으며 전 세계에서 8억 명이 넘는 이용자를 연결하고 있다.

 

2. 넷이즈 게임 (网易游戏)

넷이즈게임은 2001년 넷이즈가 설립한 온라인게임사업부로, 20여 년의 성장을 거쳐 현재 중국 MMORPG게임 시장을 선도하고 있으며, 드림서유2, 무혼, 천하3, 천녀유혼2 등 다수의 대형 온라인게임을 자체 개발, 운영하고 있으며, 오버워치 및 월드오브워크래프트의 국내 운영권도 보유하고 있다.

 

3. 완미세계(完美世界)

글로벌 문화오락산업 그룹이자 세계적인 온라인게임 플랫폼 서비스 업체로 주선, 소오강호OL 같은 대형 게임과 신신마대륙, 신주선 같은 모바일 게임이 미국, 유럽, 아시아 등 전 세계 100여 개국에 걸쳐 있다.

 

4. Xoyo(金山逍遥)

1995년부터 시작한 게임사업으로 2003년 본격적으로 게임산업에 뛰어들어 컴퓨터게임과 디지털TV오락사업에 전념한 Xoyo는 같은 해 10대 PC단말기 게임인 '검협인연 인터넷 버전'을 발간해 성공을 거두고 있으며, 현재 전국 7대 블록버스터에 20여개의 지사와 사무소를 두고 전국 채널망을 망라하고 있다.

 

5. 성취유희(盛趣游戏)

1999년 설립된 글로벌 온라인게임 개발·운영·배급사로 탄생 이후 '알짜화·글로벌·신문화' 전략을 고수하며 시종일관 시너지 경험을 극대화해온 과학기술 문화기업으로, 2001년 운영된 '열혈전기'는 전 세계 대형 다중접속 게임 운영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