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G7 중국 압박에 중 네티즌 "미국의 인플레이션을 초래하자"

미국이 돌아왔다.

첫 번째 신호는 세계 주요 7개국 정상회의의 결과다. 정상들은 중국을 위협이라고 규정했다. 

미국의 입장이 그대로 받아들여진 것이다.

트럼프 시절 미국은 그저 유럽연맹을 적대시해 중국 품으로 밀어 넣었다.

사실 유럽은 미국보다 중국을 더 잘 아는 나라들이다. 청나라 말기 연합해 중국과 전쟁을 벌여 이화원을 초토화 시키기도 했다.

영국은 그 댓가로 홍콩을 조차해 다스리기도 했다.

그런 유럽은 중국의 힘을 너무도 잘 안다. 중국과 가깝게 지내면 경제적으로 득이지만, 견제를 할 수 없는 순간이 되면 말려든다는 것도 잘 안다.

불가근, 불가원 바로 유럽과 중국의 사이다.

하지만 트럼프는 유럽을 계속 압박했다. 자연스럽게 중국은 이 같은 상황을 이용해 유럽을 자신의 의지 하에 두려고 노력했다.

하지만 조 바이든 대통령이 등극하면서 상황은 바꼈다. 

유럽은 미국의 힘을 이용해 같이 중국을 견제해 힘의 균형, 솔직히 서구 우세로 기울어져 있는 과거 상황을 되풀이 하고자 한다.

과연 서구 생각대로 될 것인가? 향후 시진핑 주석을 중심으로 한 중국의 대응에 관심이 쏠리는 이유다.

중국 네티즌들의 생각은 어떨까?

 

하하하! 일곱 난쟁이의 회의가 열렸어, 백설공주는 오지 않았네!

 

G8부터 G7까지. 지금 사람들에게 주는 인상은 초라한 부자 클럽이야.

 

강도 모임에는, 각자의 계획이 있고, 강도 논리는 늘 우두머리를 차지하려고 하지.

 

노쇠한 나이에도, 아직 밥 먹을 수 있어?

 

나는 그냥 웃을 뿐이야.

 

달러를 서서히 망쳐, 미국의 인플레이션을 초래하자.

 

그냥 웃을뿐이라고 한다. 하지만 속으로는 결코 웃지 못할 것이다. 두고 보면 알 일이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