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10대 청소년 범죄 1위는 '절도'

 

중국은 사람이 많다. 결과적으로 나쁜 사람도 많다. 다양한 사고가 많고, 강도 등 큼 범죄고 많지만 무엇보다 작은 도둑이 많은 나라다. 

작은 도둑질은 도둑이 나쁜 게 아니라 당한 사람이 바보라는 소리까지 있다.

중국어를 배우면서 중국 소도둑들이 어떻게 사기를 치는지하는 일화가 등장에 고소를 금치 못한 이들이 적지 않다.

오죽했으면 자국어를 처음 배우는 외국인을 대상으로 자국의 치부를 드러내야 했을까?

최근 중국의 범죄는 어떻게 변했을까? 과거와 같을까? 역시 작은 도둑이 많았다. 

중국 최고 인민 검찰원은 2019년 검찰 기관의 주요 사건 데이터를 공개했다. 작년에 검찰 기관은 141만 건의 심사 및 기소를 처리했다. 2018년 국가 통계국이 발표 한 기소 건수와 영주권자 수를 비교한 결과 전국 평균 1만명 당 범죄 건수는 13명이다.

통계에 따르면 각종 범죄 용의자의 체포는 1,088,490건으로 전년 대비 3% 증가했다.

그 중 10대 체포는 도난 188,408명 (17.3%), 사기 11,454명 (10.4%), 다툼 및 도발이 93,834 명으로 8.6% 달했다. 이 외에도 밀수, 인신 매매, 운송 범죄(70,763명, 6.5%), 교통 사고 (30,997 명, 2.8%) 순으로 많았다.

다음은 중국 범죄유형의 순위다. 

 

1위: 도난

2위: 사기

3위: 다툼 및 도발

4위: 밀수, 인신매매, 운송범죄

5위: 고의적 폭행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