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中화성 탐사 로봇 촬영 사진 공개에 중국 네티즌 "외계인 만나길 기대해"

중국의 화성탐사 성공.

처음 눈치를 보던 미국 나사까지 나섰다. 미국이 나서 축하를 할 정도의 대단한 일이 바로 화성 탐사인 것이다.

세계적으로 화성을 탐사할 능력을 갖춘 나라는 세계적으로 몇 되지 않는다.

우선 미국이 있다. 미국은 수차례 탐사선을 보냈다. 이미 화성의 지질, 대기 등의 정보를 계속해서 수집해왔다.

지난 2004년 탐사를 시작한 '스피릿'과 '오퍼튜니티'는 과거 화성에는 습기가 많았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어 2012년 화성에 착륙한 '큐리오시티'는 화성 지표 아래 물의 흔적과 질소를 발견했다.

중국과 아랍에미리트 화성 탐사에 도전장을 던졌다. 

아랍에미리트의 '아말'은 착륙 대신 궤도 진입까지 목표로 했고 성공했고 중국 우주선을 화성 착륙까지 성공했다.

미국 나사는 여전히 화성탐사에서 선두다. 

2030년 유인 탐사를 계획하고 있다. 지난해 유인 우주선 발사에 성공한 스페이스X는 2024년까지 화성에 사람을 보낼 계획이다. 

중국의 우주 굴기는 이웃인 우리 한국만 잘 모르고 있다 싶다. 중국인들의 자부 역시 대단했다.

 

 

과학연구원들에게 존경을 표해.

 

나도 화성을 보러 가고 싶어.

 

다시 한 걸음 크게 나아가자, 파이팅.

 

화성, 우리가 왔다!

 

목표는 화성의 바다야.

 

외계인을 만나길 기대해.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