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도시별 소비력 순위 1위는 저장성 난징

 

중국에서 장사를 한다면 어느 성이나 도시가 제일 좋을까?

정답은 저장성 난징이었다.

 

코로나19로 새로운 소비패턴이 등장했던 지난해 2020년 중국의 대도시 가운데, GDP대비 소비력이 가장 왕성했던 도시가 상하이 나 베이징이 아니라, 져쟝성의 성도인 난징(南京)시가 1위로 등장했다고 인민일보가 보도했다.

 

인민일보도 이같은 결과를 보도하면서 의외라는 전제를 달면서, 코로나19로 중국 전역도시의 소비품 소매액수가 전체적으로 하강한 가운데, 남중부 창지앙 연안의 도시들인 충칭(重慶)·우한(武漢)·난징(南京)이 비교적 , 소비품의 판매액수가 각 도시 GDP 대비해 비교적 높게 나타난 가운데, 창지앙의 동부 마지막도시인 난징시가 GDP대비 소비품의 판매총액 비율이 가장 높았다고 전했다.

 

인민일보는 이 같은 원인을, 중국의 고속철이 동남부해안지역의 선진도시인 상하이와 선쩐등 뿐만 아니라, 중부내륙을 관통하고 전국을 사통팔달로 연결하면서, 중부 내륙 중심도시들인 창지앙연안의 인구많은 도시들이 GDP대비 소비재 판매총액의 비율이 높아지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즉 이 통계에서 상위를 차지하는 도시들은 각 도시가 생산해는 총생산에 비해 소비의 비율이 매우 높다는 뜻으로, 소비성향이 높은 도시로 불릴 수 있는 것이다.

 

사람으로 비유해서 표현하자면, 자기가 버는 소득중에서 소비하는 비율이 가장 높은 사람과 비슷한 의미인 것이다.

 

위 표에서 1.2.3위를 차지한 져쟝성의 난징시와 충칭직할시 그리고 3위인 쓰촨성의 청두시는 모두 창지앙이 관통하는 도시들이라는 공통점을 안고 있는데, 인민일보는 이 도시들이 모두 고속철의 지역별 주요거점도시로서 , 주위의 인근 중소도시들의 소비인구들이 중소도시에 없는 비교적 고급 소비품의 구매를 위해 몰려드는 현상때문일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놓기도 했다.

 

인민일보는 이어 과거 베이징과 상하이에 집중된 소비경제가, 내륙 중심의 도시들로 고르게 분산되는 현상은 바람직 한 것이라는 분석도 덧붙혔다.

 

이하는, 각 도시의 총생산(GDP) 대비 소비품 판매총액의 비율이 높은 도시들의 순위이다.

 

1위 : 난징  48.6 % 

2위 : 충칭  47.1 %

3위 : 청두  45.8 %

4위 : 상하이 41. %

5위 : 우한  39.3 %

6위 : 쑤저우 38.1 % 

7위 : 베이징 38 %

8위 : 항저우 37 %

9위 : 광저우 36.8 %

10위 : 선전 32 %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