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영국 보복에 中 텐센트, 게임서 버버리 퇴출시킨다

중국이 신장(新疆) 위구르 자치구 인권 이슈와 관련해 영국에 '보복 제재'를 가했다.

 

중국 외교부는 26일 웹사이트에 올린 성명에서 영국 기관 4곳과 개인 9명을 제재한다면서 이날부터 관련 개인과 그 직계 가족이 중국 본토와 홍콩, 마카오에 입국하는 것을 금지한다고 밝혔다.

 

또 중국 국민과 기구가 이들과 거래하는 것도 금지한다고 덧붙였다.

 

이는 영국이 지난 22일 유럽연합(EU), 미국, 캐나다 등과 함께 신장 위구르족 인권탄압을 이유로 중국 관리들과 단체를 제재한 데 대한 보복 조치다.

 

중국은 앞서 EU의 제재에 대해서는 EU 이사회 정치안전위원회 등을 제재한다고 발표하며 즉각 맞대응했었다.

 

이날 중국이 발표한 제재 대상에는 톰 투겐다트 영국 하원 외교위원장과 보수당 대표를 지낸 이언 덩컨 스미스 하원의원 등 정치인들이 대거 포함됐다.

 

단체로는 보수당 인권위원회와 중국연구그룹 등이 있다.

 

중국 외교부는 영국이 거짓과 허위정보로 신장 인권 문제를 구실로 중국 개인과 기관을 일방적으로 제재해 국제법과 국제관계의 기본 준칙을 공공연히 위반하고 중국 내정에 난폭하게 간섭해 중국과 영국 관계를 심각히 훼손했다고 비난했다.

 

외교부는 중국 주재 영국 대사를 초치해 엄중 항의했다고 밝혔다.

 

이어 "중국은 추가 조치를 할 권리를 남겨두고 있다"고 말했다.

 

중국 외교부는 "중국은 국가 주권과 안보, 발전이익을 수호하려는 결심이 확고부동하다"면서 "영국이 잘못된 길을 계속 가지 않을 것을 경고한다. 그렇지 않으면 중국은 추가로 단호한 대응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신장위구르자치구 정부도 성명을 내고 신장의 인권 침해 의혹을 완강히 부인하면서 미국, 영국, 캐나다 등을 향해 "인권 문제에서 정치 농간을 부리고 이중 기준을 적용하는 것을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한편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중국 텐센트(騰迅·텅쉰)는 자사 모바일 게임인 '왕자영요'(王者榮耀)에서 버버리와 협업해 선보였던 의상(스킨)을 제거했다.

 

버버리는 영국의 대표적 패션 브랜드로 신장에서 생산한 면화를 사용하지 않겠다고 선언한 외국 기업 가운데 하나로 지목됐다.

 

텐센트의 결정은 신장 면화에 대한 버버리의 입장과 관련이 있다고 SCMP 소식통은 전했다.

 

'왕자영요'는 지난해 일일 평균 이용자 수가 1억 명을 돌파한 중국 최고 인기 모바일게임이다.

 

이와 별도로 텐센트가 운영하는 e스포츠 리그 '레전드 프로 리그'는 홈페이지에서 나이키의 로고와 상품을 내리고 나이키와의 파트너십을 중단했다.

 

나이키 역시 신장 면화와의 관계 단절을 선언했던 기업이다.

 

중국 본토에 이어 홍콩 연예인들도 잇달아 신장 문제로 논란이 된 기업들과의 제휴를 중지했다.

 

홍콩프리프레스(HKFP)에 따르면 가수 이슨 찬(陳奕迅)은 아디다스, 윌리엄 찬(陳偉霆)은 토미 힐피거와의 모든 협업을 종료한다고 전날 발표했다.

 

[황혜선/연합뉴스/한중21 제휴사]


사회

더보기
중 상하이시 출산장려를 위해 사측 납입 사회보험액의 6개월치 50%를 회사에 되돌려 주기로
중국 상하이시가 여 직원이 출산휴가를 쓰는 경우, 회사에게 납입했던 고용보험 등 사회보험료 6개월분의 50%를 지원키로 했다. 여성들이 보다 자유롭게 출산 휴가를 쓸 수 있도록 하는 조치다. 이번 제도 실시로 출산 등을 우려해 여성 고용을 주저하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1징지왕 등 중국 매체에 따르면 상하이시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의 ‘"여성 직원의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기간 중 고용주의 사회보험 지원금 지급에 관한 통지"(이하 통지)를 공표했다. 이번 통지는 시 인적자원사회보장국을 비롯한 5개 부서가 공동으로 서명했다. 중국 매체들은 “새로운 정책은 정부, 사회, 기업이 참여하는 출산 비용 분담 체계를 구축하고 "아동 친화적" 정책의 가치 지향성을 더욱 강화하는 것을 목표”라며 “’아동 친화적 일자리‘와 ’출산휴가 사회보장금‘의 시너지 효과를 통해 여성의 취업 장벽을 최소화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번 통지는 2025년 1월 1일부터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을 시행하고 고용보험 등 사회 보험료를 납부한 경우 바로 신청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지원 기준은 출산휴가 및 육아휴가 기간 동안 여성 근로자의 기초연금보험, 기초의료보험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