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영국 보복에 中 텐센트, 게임서 버버리 퇴출시킨다

중국이 신장(新疆) 위구르 자치구 인권 이슈와 관련해 영국에 '보복 제재'를 가했다.

 

중국 외교부는 26일 웹사이트에 올린 성명에서 영국 기관 4곳과 개인 9명을 제재한다면서 이날부터 관련 개인과 그 직계 가족이 중국 본토와 홍콩, 마카오에 입국하는 것을 금지한다고 밝혔다.

 

또 중국 국민과 기구가 이들과 거래하는 것도 금지한다고 덧붙였다.

 

이는 영국이 지난 22일 유럽연합(EU), 미국, 캐나다 등과 함께 신장 위구르족 인권탄압을 이유로 중국 관리들과 단체를 제재한 데 대한 보복 조치다.

 

중국은 앞서 EU의 제재에 대해서는 EU 이사회 정치안전위원회 등을 제재한다고 발표하며 즉각 맞대응했었다.

 

이날 중국이 발표한 제재 대상에는 톰 투겐다트 영국 하원 외교위원장과 보수당 대표를 지낸 이언 덩컨 스미스 하원의원 등 정치인들이 대거 포함됐다.

 

단체로는 보수당 인권위원회와 중국연구그룹 등이 있다.

 

중국 외교부는 영국이 거짓과 허위정보로 신장 인권 문제를 구실로 중국 개인과 기관을 일방적으로 제재해 국제법과 국제관계의 기본 준칙을 공공연히 위반하고 중국 내정에 난폭하게 간섭해 중국과 영국 관계를 심각히 훼손했다고 비난했다.

 

외교부는 중국 주재 영국 대사를 초치해 엄중 항의했다고 밝혔다.

 

이어 "중국은 추가 조치를 할 권리를 남겨두고 있다"고 말했다.

 

중국 외교부는 "중국은 국가 주권과 안보, 발전이익을 수호하려는 결심이 확고부동하다"면서 "영국이 잘못된 길을 계속 가지 않을 것을 경고한다. 그렇지 않으면 중국은 추가로 단호한 대응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신장위구르자치구 정부도 성명을 내고 신장의 인권 침해 의혹을 완강히 부인하면서 미국, 영국, 캐나다 등을 향해 "인권 문제에서 정치 농간을 부리고 이중 기준을 적용하는 것을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한편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중국 텐센트(騰迅·텅쉰)는 자사 모바일 게임인 '왕자영요'(王者榮耀)에서 버버리와 협업해 선보였던 의상(스킨)을 제거했다.

 

버버리는 영국의 대표적 패션 브랜드로 신장에서 생산한 면화를 사용하지 않겠다고 선언한 외국 기업 가운데 하나로 지목됐다.

 

텐센트의 결정은 신장 면화에 대한 버버리의 입장과 관련이 있다고 SCMP 소식통은 전했다.

 

'왕자영요'는 지난해 일일 평균 이용자 수가 1억 명을 돌파한 중국 최고 인기 모바일게임이다.

 

이와 별도로 텐센트가 운영하는 e스포츠 리그 '레전드 프로 리그'는 홈페이지에서 나이키의 로고와 상품을 내리고 나이키와의 파트너십을 중단했다.

 

나이키 역시 신장 면화와의 관계 단절을 선언했던 기업이다.

 

중국 본토에 이어 홍콩 연예인들도 잇달아 신장 문제로 논란이 된 기업들과의 제휴를 중지했다.

 

홍콩프리프레스(HKFP)에 따르면 가수 이슨 찬(陳奕迅)은 아디다스, 윌리엄 찬(陳偉霆)은 토미 힐피거와의 모든 협업을 종료한다고 전날 발표했다.

 

[황혜선/연합뉴스/한중21 제휴사]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