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군 관계자 테슬라 자동차 이용 금지

미국의 중국 기업 제재가 이어지는 가운데 이번엔 중국이 미국 기업에 대한 제재에 나섰다.

대상은 테슬라다.

 

사실 전기차는 중국이 가장 신경을 썼던 단계를 뛰어넘는 산업발전 전략 가운데 하나였다.

 

중국 공산당이 군 당국과 일부 국영기업 관계자의 테슬라 자동차 이용을 제한했다. 테슬라가 수집한 정보가 미국 정부에 보내져 국가 기밀 유출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한 것이다.

 

지난 19일(현지시각) 월스트리트저널 등 외신은 중국이 테슬라 자동차에 대한 보안 검토를 지시했다고 보도헀다. 관계자들은 차량에 부착된 센서가 주위를 촬영할 수 있고, 시간·장소·상황 등을 파악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 테슬라 자동차와 휴대전화를 동기화할 경우 테슬라 측이 운전자의 인적사항과 연락처 목록에 접근할 수 있다고 발표했다. 관계자들은 해당 정보들이 미국 정보에 보내질 것을 우려한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테슬라는 자율주행 자동차 경쟁에 대비해 차량 내부 카메라를 권장하는 입장을 유지해왔다.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들이 차량 주행 상황에 집중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는 과거 “우버·리프트와 경쟁을 시작하고, 사람들이 테슬라의 공유 자율주행자동차로 돈을 버는 것을 허락했을 때”를 대비해 차량 내부 카메라를 설치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단 테슬라는 중국에 있는 모든 차량의 실내 카메라가 꺼진 상태라고 설명했다.

 

한편 중국 정부 측은 월스트리트저널의 보도와 관련해 답을 내놓지 않은 상태다. 다만 과거 테슬라에 대해 “개인 정보 보호 정책이 중국의 법과 규정을 준수한다”며 “사용자의 개인 정보 보호에 큰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긍정적인 평을 한 것이 밝혀지며 관심이 쏠리고 있다.

 

테슬라는 베이징의 움직임에 대해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앞서 한 성명을 언급했다. 이 자동차 회사는 "개인 정보 보호 정책이 중국 법과 규정을 준수한다"며 "사용자의 개인 정보 보호에 큰 중요성을 부여한다"고 말했다.


사회

더보기
중 상하이시 출산장려를 위해 사측 납입 사회보험액의 6개월치 50%를 회사에 되돌려 주기로
중국 상하이시가 여 직원이 출산휴가를 쓰는 경우, 회사에게 납입했던 고용보험 등 사회보험료 6개월분의 50%를 지원키로 했다. 여성들이 보다 자유롭게 출산 휴가를 쓸 수 있도록 하는 조치다. 이번 제도 실시로 출산 등을 우려해 여성 고용을 주저하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1징지왕 등 중국 매체에 따르면 상하이시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의 ‘"여성 직원의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기간 중 고용주의 사회보험 지원금 지급에 관한 통지"(이하 통지)를 공표했다. 이번 통지는 시 인적자원사회보장국을 비롯한 5개 부서가 공동으로 서명했다. 중국 매체들은 “새로운 정책은 정부, 사회, 기업이 참여하는 출산 비용 분담 체계를 구축하고 "아동 친화적" 정책의 가치 지향성을 더욱 강화하는 것을 목표”라며 “’아동 친화적 일자리‘와 ’출산휴가 사회보장금‘의 시너지 효과를 통해 여성의 취업 장벽을 최소화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번 통지는 2025년 1월 1일부터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을 시행하고 고용보험 등 사회 보험료를 납부한 경우 바로 신청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지원 기준은 출산휴가 및 육아휴가 기간 동안 여성 근로자의 기초연금보험, 기초의료보험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