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의 중국 기업 제재가 이어지는 가운데 이번엔 중국이 미국 기업에 대한 제재에 나섰다.
대상은 테슬라다.
사실 전기차는 중국이 가장 신경을 썼던 단계를 뛰어넘는 산업발전 전략 가운데 하나였다.
중국 공산당이 군 당국과 일부 국영기업 관계자의 테슬라 자동차 이용을 제한했다. 테슬라가 수집한 정보가 미국 정부에 보내져 국가 기밀 유출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한 것이다.
지난 19일(현지시각) 월스트리트저널 등 외신은 중국이 테슬라 자동차에 대한 보안 검토를 지시했다고 보도헀다. 관계자들은 차량에 부착된 센서가 주위를 촬영할 수 있고, 시간·장소·상황 등을 파악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 테슬라 자동차와 휴대전화를 동기화할 경우 테슬라 측이 운전자의 인적사항과 연락처 목록에 접근할 수 있다고 발표했다. 관계자들은 해당 정보들이 미국 정보에 보내질 것을 우려한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테슬라는 자율주행 자동차 경쟁에 대비해 차량 내부 카메라를 권장하는 입장을 유지해왔다.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들이 차량 주행 상황에 집중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는 과거 “우버·리프트와 경쟁을 시작하고, 사람들이 테슬라의 공유 자율주행자동차로 돈을 버는 것을 허락했을 때”를 대비해 차량 내부 카메라를 설치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단 테슬라는 중국에 있는 모든 차량의 실내 카메라가 꺼진 상태라고 설명했다.
한편 중국 정부 측은 월스트리트저널의 보도와 관련해 답을 내놓지 않은 상태다. 다만 과거 테슬라에 대해 “개인 정보 보호 정책이 중국의 법과 규정을 준수한다”며 “사용자의 개인 정보 보호에 큰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긍정적인 평을 한 것이 밝혀지며 관심이 쏠리고 있다.
테슬라는 베이징의 움직임에 대해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앞서 한 성명을 언급했다. 이 자동차 회사는 "개인 정보 보호 정책이 중국 법과 규정을 준수한다"며 "사용자의 개인 정보 보호에 큰 중요성을 부여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