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서양패스트푸드와 커피 체인, 자국서는 폐점 행진, 중국서는 확장일로

 

맥도날드나 스타벅스 같은 미국발 패스트푸드 체인점들이 정작 자국에서는 성장한계치에 도달해 매출이 하락하면서 수 백개씩 문을 닫는데, 반대로 중국에서는 수 백개씩 새 점포를 오픈하는 기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중국산업뉴스 ( 中国产业信息网, www.chyxx.com )의 8월 달 보고서에 따르면,  맥도널드는 올해 미국지점을 약 200개, 그리고 스타벅스도 올해 미국지점 약 400개를 폐점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유는 코로나19로 인한 소비위축에 따른 적자를 일시 보충한다는 계획때문인 것으로 알려졌다.

 

맥도널드측은 올해 중국등 전 세계의 신흥개발도상국들에 약 950개의 신규점포를 열 계획인데 이중 420개가 중국의 3선과 4선 도시에 새롭게 들어설 것이라고 밝혔다.

 

스타벅스도 코로나19로 인한 미국 매장들의 영업액은 40% 정도가 하락한 데 비해, 중국 매장들의 하락폭은 19%에 불과했다고며, 올해도 계속 중국매장을 늘려나갈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스타벅스측은 현재 중국에 약 4, 400 개의 점포를 운영중인데 올래는 최소 500 개 정도의 지점을 더 증설한다는 방침이다.

 

또 켄터키치킨 파자헛 타코벨 등을 소유하고 있는 팍슨차이나 그룹은 올해 초 코로나19 와중에서 지난 2분기에만 중국전역의 지점 169 개를 신규로 개설해,  전 중국의 위 3개 브랜드 매장이 일 만개에 육박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런데 이들 서양에서 들어온 브랜드들의 중국내 약진과 달리, 중국 고유브랜드들의 매출액 감소와 영업이익의 폭락으로 중국인들의 마음을 무겁게 하고 있다.

 

중국요리협회의 보고에 의하면, 코로나역병 속에서도 영업재개율은 7-80% 에 달하고 있지만, 관련매출은 그 수준을 회복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중국 훠궈의 대표브랜드인 하이디라오(海底捞) 와 일인용 훠궈브랜드인 야포야포 (呷哺呷哺 )의 순 이익률이 지난해 동기대비 약 20-30% 가량씩 하락했다고 중국산업뉴스왕이 전했다.

 

이에 중국산업뉴스왕은, 중국인들의 자국산 브랜드에 대한 소비에 더 한 층신경을 써야야는 중국브랜드 애호정신을 되살려나가자고 애국심에 호소하기도 했다.

 

 

 

 

족하 매출핵


사회

더보기
중 허베이 한 도시 "빨강, 파랑, 검정색 광고 금지" 조치 논란...중 네티즌, "황당하다"
‘간판에서 빨강, 파랑, 검정색 금지’ 중국 허베이성 산허시의 『산허시 도시계획건설관리 가이드라인』이 중국 사회 논란이 되고 있다. 이 가이드 라인은 “국제 및 국내 프랜차이즈 브랜드를 제외하고는 빨강, 파랑 바탕색이나 글씨 사용을 허용하지 않는다”고 명시하고 있다. 실제 중국 매체에 따르면 이 지역 일부 상점의 간판이 빨간색에서 초록색으로 바뀌었고, 일부 간판은 아예 철거됐다고 전했다. 한 상인은 “장사가 눈에 띄게 영향을 받았다”고 하소연했다. 중국 인민일보은 이에 “멀쩡히 걸려 있던 간판이 대체 누구에게 피해를 줬다는 말인가? 억지로 색상을 바꾸라고 하는 조치는 어떤 논리로 설명할 수 있을까?”라고 반문하고 있다. 신문에 따르면 실제 이 같은 간판 색상 변경을 강요한 것은 상인의 영업에 지장을 줄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지출을 떠안도록 했다. 신문에서 한 상인은 “새 간판 제작에 거의 2,000위안(약 38만 8,820 원)이 들었는데, 이는 반달치 임대료에 해당한다”고 밝혔으며, 이 비용을 누가 책임질 것이냐는 의문도 제기됐다. 간판은 오랜 기간 사용되며 고객의 기억에 남는 상징이 되었고, 고객 유치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간판이 법규를 위반하지 않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