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中, 온라인 쇼핑객 7억명 , "중국은 모바일로 이어진 텔레커뮤니케이션 세상"

중국 네티즌 수가 9억 명을 넘겼다는 소식에 넓은 중국땅도 순간에 연결, 중국 네티즌 환호

 

 

중국인터넷정보센터(CNNIC)는 정례보고서를 통해 “지난 3월 기준 중국 네티즌 수는 9억 ↑40만 명에 달한다.”고 밝혔다.

 

 중국인터넷정보센터(CNNIC)에 따르면 중국 인터넷 보급률은 64.5%이며, 온라인 쇼핑을 이용하는 네티즌 수는 7억1000만 명이다.

 

지난해 중국의 온라인 쇼핑 규모는 10조6300억 위안 (약 1833조 6000억 원)으로 전년 대비 약 16.5% 나 커졌다.

 

 소득 기준으로 네티즌을 구분하면 월 소득 5000위안(약 86만 원)이하인 네티즌이 전체의 72.4%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네티즌의 대다수가  어린이 청소년 대학생등 아직 취업연령이 되지 않은 20대 이하의 거의 모든 젊은이들의 소득이 없거나 미미하기 때문이다.

 

한편,  작년 12월 부터 신종폐렴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등장과 확산사태를 계기로, 그렇지 않아도 확장일로에 있던 온라인사용이 폭발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각급학교의 등교가 미뤄지고, 사교육시장도 온라인으로 진행될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되면서, 지난 3에만 온라인 교육 서비스를 이용한 사용자가 무려 4억 2,300만 명으로, 작년 말에 비해 무려 110%나 증가했다.

 

중국의 이동통신을 이용한 온라인의 시작은 지난 2,000년 9월 부터였다.

 

당시 중국이동시장 경영부의 장위에 (张跃) 가 중국 준비단을 인솔해 일본의 NTTDoCoMo 회사를 방문해 약 3개월 동안 '이동통신망을 통한 온라인 구현시스템'을 습득하고 돌아온 것이 오늘날 중국이동통신의 눈부신 발전의 밑거름이 되었다. 

 

 

국토가 넓고 이동통신의 중계기를 전국에 설치하는 것도 어마어마한 예산이 투입되는 관계로, 중국통신당국은 자체 인공위성을 이용해, 정지위성을 통한 무선인터넷 시스템도 연구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다음은 중국 네티즌 수가 9억 명을 넘겼다는 소식을 접한 중국 네티즌 반응이다.

 

국가가 진보하고 사람들의 생활이 더욱 편리해졌으니, 이제는 외진 산간지역의 네트워크 인프라에도 초점을 맞춰줬으면 좋겠어, 일부 지역에서는 아직 4G도 이용할 수 없는 상황이거든 ㅠㅠ.

 

소생도 그럼 '억대 프로젝트' 의 참여자인 셈이네...

 

외딴 산간지역에는 네트워크가 아직 하나도 없고, 마을단위의 유선인터넷 패키지서비는 값이 너무 비싼게 현실이야.... 부유한 가정이 아니면 도저히 감당할 수가 없는데.... ㅠㅠ

 

정말 공교롭게, 너희들도 지금도 인터넷 서핑중이지 ?? 

 

위나 아래나 우리 모두 한마음이 되는 구만.... 모바일 생활로 서로가 연결되어, 문자나 전화로 소통하는 세상이 되었구먼....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