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짐승 같은 놈들 엄벌에 처해라" , '중국판 n번방' 회원수 860만명.

‘중국판 n번방’ 사건에 대한 중국 네티즌 반응

 

 미성년자를 협박해 성 착취 영상을 제작·유포하는 한국의 n번방 사건이 터진 후, 중국에서도 매체들이 나서서 중국 인터넷상에 만연한 유사사이트들을 폭로하자,  중국 사회도 충격에 빠졌다.

 

29일 신경보 추적보도에 따르면, 일부 사이트는 회원 수가 860만 명에 이르고, 다단계판매 방식으로 회원들을 끌어 들여 막대한 검은 돈을 벌어들였다고 밝혔다. 

 

 

중국 당국은 신경보의 취재와 누리꾼들의 제보를 받아, 아동 성착취물 사이트인 야먀오(芽苗·새싹)과 츠위안(次元·차원) 등을 적발해 폐쇄 조치하고 사이트 운영자 추적에 나서는 등 대대적인 수사에 나섰다.

 

이번 보도를 주도하고 있는 신경보(新京報)는, 중국상황을 '중국판 n번방’ 사건이라고 표현하고 있다.  신경보의 취재에 따르면, 이들 사이트의 첫 화면은 미성년자의 신체 노출 사진으로 가득 차 있고, 몇십 위안( 한화로 만원 내외) 만 내면 아동포르노를 대량 내려 받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의 텔레그램 ‘n번방 사건’과 거의 같지만, 동영상을 보고나 내려받는 비용이 훨씬 싸서, 한국보다 더 만연돼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대부분 중국매체들은, 서버가 해외에 있어 경찰이 관리자를 찾아 처벌하기는 쉽지 않은 것으로 전망했다.

 

 

다음은 ‘중국판 n번방’ 사건에 대한 중국 네티즌 반응이다.

 

짐승 같은 놈들을 엄벌에 처하자.

 

그보다 먼저, 인터넷사이트 어디에나 뜨는 각종 포르노 광고부터 금지시켜라.

 

팔백만 회원이라는 놈중, 단 한 놈도 놓쳐선 안 된다.

 

반드시 잡아 엄하게 처벌해야... 저런 놈들은 양심도 없는 인간들이니...

 

바이두에 검색만 해면, 비슷한 데 수없이 많아...

 

깊이 제대로 파헤쳐서, 엄한 벌을 줘야해...


사회

더보기
소비자 거부에도 광고 문자 보낸 공연장 법적 재제 받아
중국에서 소비자가 분명히 거부의사를 밝혔음에도 1년이상 지속적으로 광고 문자를 보낸 문화단체가 법적 제재를 받게 됐다. 최근 중국 펑파이신문에 따르면 조웨(가명)은 자신이 산시대극장에서 공연을 관람한 이후 1년 넘게 다양한 가상의 전화번호로부터 공연 홍보 문자 메시지를 지속적으로 받아와 이를 신고하고 민사소송도 제기했다고 밝혔다. 현재 1심 법원은 공식 사과하라 판결한 상태다. 지난 1년간 조웨는 수신 거부 의사를 밝히고 관련 번호를 차단했음에도 불구하고, 스팸 메시지는 계속 이어졌다고 주장했다. 조웨는 자신이 산시대극장에 정보 수신을 위임하거나 구독한 적이 없다고 강조하며, 극장의 행위는 시민의 개인정보 및 프라이버시 권리를 침해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12315 소비자신고센터에 신고하고 경찰에 보호 요청을 했으나 별다른 성과를 얻지 못하자, 조웨는 민사소송을 제기했다. 2025년 5월 26일, 허베이성 스자좡시 차오시구 인민법원은 본 사건에 대해 1심 판결을 내렸다. 판결에 따라 산시폴리대극장관리유한회사(이하 ‘산시폴리대극장’) 및 마케팅 문자를 발송한 3개 기업은 조웨에게 홍보 문자를 발송하는 행위를 중단하고, 서면으로 사과해야 한다고 명령받았다. 202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