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컬럼] 계란으로 바위를 친다. 무모한 도전을 한다.

鸡蛋碰石头 (jī dàn pèng shí tóu)

중국에서 기업을 경영하면서 발생하는 문제를 제대로 해결하고 있는지 스스로 묻게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여러 가지 중에 조직관리의 어려움이 있다. 일본 내 한국기업은 한국주재원, 일본 현지인, 재일동포로 구성되어 있지만, 별반 문제가 없다. 그러나 중국 내 한국기업은 한국주재원, 한족, 조선족이라는 구성에 의해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의사소통이 수월하다는 이유로 조선족 직원들과 가까운 분위기가 되면, 한족직원들과 껄끄러운 장면이 나타난다. 한국주재원, 조선족 다음에 한족이라는 차별이 있다는 볼멘소리가 터져 나온다.

조선족 문제는 훨씬 복잡하고 미묘하다. 앞서 진출한 다른 한국기업의 사례를 참고하여, 현지화에 충실하고자 주요업무에 한족을 배치하고 대고객 한국어 서비스가 필요한 부문에만 조선족을 채용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조선족은 소모품에 불과하다는 불만들이 쏟아졌다.

 

중국은 56개 민족으로 구성된 다민족 국가로 한족이 전체인구의 약 91.5%, 한족을 제외한 55개 소수민족이 약 8.5%를 차지한다. 그중 조선족은 약 200만 명으로 소수민족 중 13번째 규모이다.

 

한국기업에게 조선족은 특별한 존재임에 틀림없다. 우리보다 20년 앞서 중국과 수교한 일본에 비해 단기간 내 한국기업들이 성공적으로 자리 잡을 수 있었던 배경에 조선족을 빼놓을 수는 없다. 그러한 기여에 비하여 그들에 대한 배려가 부족했다는 평가가 존재한다. 반면에 그들로 인한 피해사례로 인해 부정적인 평가도 있다.

 

조직이 제대로 관리되지 못하면 사업이 정상적일 수 없다. 중국에서의 성공적인 기업경영을  위하여 다민족 국가에서 발생할 수밖에 없는 민족 간 파벌문제도 쉽게 지나쳐서는 안 된다.

 

 

 

 

 

 

 

 

오승찬

연세대학교 경영학 석사

(전) 현대해상화재보험 중국 법인장

(전) 중국한국상회 감사

(현) 해동주말 부대표

E-mail : ohcha01@naver.com


사회

더보기
소비자 거부에도 광고 문자 보낸 공연장 법적 재제 받아
중국에서 소비자가 분명히 거부의사를 밝혔음에도 1년이상 지속적으로 광고 문자를 보낸 문화단체가 법적 제재를 받게 됐다. 최근 중국 펑파이신문에 따르면 조웨(가명)은 자신이 산시대극장에서 공연을 관람한 이후 1년 넘게 다양한 가상의 전화번호로부터 공연 홍보 문자 메시지를 지속적으로 받아와 이를 신고하고 민사소송도 제기했다고 밝혔다. 현재 1심 법원은 공식 사과하라 판결한 상태다. 지난 1년간 조웨는 수신 거부 의사를 밝히고 관련 번호를 차단했음에도 불구하고, 스팸 메시지는 계속 이어졌다고 주장했다. 조웨는 자신이 산시대극장에 정보 수신을 위임하거나 구독한 적이 없다고 강조하며, 극장의 행위는 시민의 개인정보 및 프라이버시 권리를 침해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12315 소비자신고센터에 신고하고 경찰에 보호 요청을 했으나 별다른 성과를 얻지 못하자, 조웨는 민사소송을 제기했다. 2025년 5월 26일, 허베이성 스자좡시 차오시구 인민법원은 본 사건에 대해 1심 판결을 내렸다. 판결에 따라 산시폴리대극장관리유한회사(이하 ‘산시폴리대극장’) 및 마케팅 문자를 발송한 3개 기업은 조웨에게 홍보 문자를 발송하는 행위를 중단하고, 서면으로 사과해야 한다고 명령받았다. 202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