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옷 판매량은 감소하지만 가격은 상승...네티즌, "많이 못사게 되니 한벌 사더라도 더 고르게 된다."

‘획일화 싫다’소비 성향 변화…다품종 소량 생산으로 전환

중국에서 의류 판매량이 줄고 있지만 가격을 꾸준히 오르고 있다. ‘남과 같은 옷을 입기 싫다’는 소비 패턴의 변화로 생산방식도 소품종 대량 생산에서 다품종 소량 생산으로 바뀌고 있다. 값싼 싸구려 소비 중국에서 비싼 소비로 전환되고 있는 것이다.

중국 네티즌 역시 이 같은 현상에 공감을 하면서 "돈이 없어 많이 사지 못하니 한 벌을 사더라도 좋은 것을 사게되는 것"이라 반응하고 있다.

 

 

중국 통계청에 따르면 2017년 4분기부터 의류와 천의 판매량이 모두 전년 동기 대비 하락했다. 이 중 의류 판매량은 2018년 540억6000만건으로, 2017년 719억1000만 건에 비해 24.8% 줄었다. 2018년 전국 주민 1인당 평균 의복 지출이 소비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6.5%로 전년보다 0.3포인트 낮아졌다.

 

하지만 의류 단가 인상이 뚜렷하고, 옷 소비에 대한 전반적인 지출은 여전히 증가하고 있다. 2018년 한도 이상 의류 판매액은 9870억4000만위안, 누적 8.5%증가, 증가 속도는 2017년보다 0.5포인트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2018년에는 의류 소비 가격이 누계 1.4% 올랐다. 가격 변동의 원인으로는 기업의 종합원가가 꼽히고 있다.

 

패스트리, 아이덴티티 등 패션 소비 관념이 유행하면서 패션 소비시장이 전반적으로 바뀌고 있다. 예전에 인기 상품들은 몇만장 혹은 몇십만 장이 팔리곤 했지만 오늘날 소비자들은 더 이상 다른 사람들과 같은 옷을 입지 않으려 한다. 새로운 소비이념은 의류업체에 빠르게 피드백되고 있으며, 그 생산모델은 '크고 전면적'에서 '작고 정확한'로 바뀌었다. 의류업체들은 디자인과 원단 등 인력을 많이 투입하고 있어 원가를 낮추고 수익을 극대화하기 어렵고, 단일 의류의 판매가격도 높아졌다.

 

네티즌들은 웨이보에 댓글을 이어 달고 있다. 한 네티즌은 “옷을 잘 사지 않는 게 아니라 살 돈이 없어서 그렇치. 다들 알면서”라고 했고, 다른 네티즌은 “올해는 확실히 작년보다 옷을 잘 사지 않았다. 주로 보기 좋은 것이 적어서 그런 것 같아”라는 댓글을 달았다.

 

 

<웨이보 댓글>

 

솔직하게 그냥 옷 값이 올랐다고 하면 되는 걸...

 

지출은 그대로이고, 판매량은 감소하고 있는데, 이는 우리가 이렇게 버는 논이 그대로고, 전부 비싼 옷을 사러 갔다는 것을 의미한네.

 

옷을 잘 사지 않는건 아니라 살 돈이 없어서 그렇치...다들 알면서...

 

‘의류 판매는 1년에 178억 5천만 건 감소하고 있고, 옷에 대한 소비 지출은 여전히 증가하고 있다’는 것은 곧 옷의 소비 가격이 고가로 오르고 있다는 것이다.

 

올해는 확실히 작년보다 옷을 잘 사지 않았다. 주로 보기 좋은 것이 적어서 그런 것 같아.


사회

더보기
소비자 거부에도 광고 문자 보낸 공연장 법적 재제 받아
중국에서 소비자가 분명히 거부의사를 밝혔음에도 1년이상 지속적으로 광고 문자를 보낸 문화단체가 법적 제재를 받게 됐다. 최근 중국 펑파이신문에 따르면 조웨(가명)은 자신이 산시대극장에서 공연을 관람한 이후 1년 넘게 다양한 가상의 전화번호로부터 공연 홍보 문자 메시지를 지속적으로 받아와 이를 신고하고 민사소송도 제기했다고 밝혔다. 현재 1심 법원은 공식 사과하라 판결한 상태다. 지난 1년간 조웨는 수신 거부 의사를 밝히고 관련 번호를 차단했음에도 불구하고, 스팸 메시지는 계속 이어졌다고 주장했다. 조웨는 자신이 산시대극장에 정보 수신을 위임하거나 구독한 적이 없다고 강조하며, 극장의 행위는 시민의 개인정보 및 프라이버시 권리를 침해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12315 소비자신고센터에 신고하고 경찰에 보호 요청을 했으나 별다른 성과를 얻지 못하자, 조웨는 민사소송을 제기했다. 2025년 5월 26일, 허베이성 스자좡시 차오시구 인민법원은 본 사건에 대해 1심 판결을 내렸다. 판결에 따라 산시폴리대극장관리유한회사(이하 ‘산시폴리대극장’) 및 마케팅 문자를 발송한 3개 기업은 조웨에게 홍보 문자를 발송하는 행위를 중단하고, 서면으로 사과해야 한다고 명령받았다. 202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