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소비자, 명품 소비 1150억달러...'25년엔 1800억달러로 전망'

다가오는 2025년엔 중국 소비자들의 명품 소비 규모가 연간 209조원을 기록하며 전세계 시장의 40%가량을 차지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특히 중국의 젊은 세대가 명품을 일종의 사회적 자산으로 인식하며, 명품산업의 성장을 주도해 산업 재편의 중심에 설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29일 글로벌 경영 컨설팅업체인 맥킨지가 발간한 '2019년 중국 럭셔리 시장 보고서'는 지난해 중국 소비자들이 국내외에서 명품 신발과 가방, 패션, 보석, 시계 등을 구입하는 데 쓴 돈으로 약 7천700억 위안(1천150억 달러·133조5천억 원)으로 바라봤다.

 

이는 전세계 명품 시장 규모(3천850억 달러)의 32%를 차지하는 것으로, 2012년 조사 때(19%)보다 점유율이 13%포인트나 상승해 나타났다.

 

중국 소비자의 명품 소비는 오는 2020년 9천210억 위안, 2025년에는 1조2천270억 위안(1천800억 달러·208조9천800억 원)으로 늘어나면서 전세계 시장의 40%를 차지할 것으로 보고서는 전망했다.

 

특히 눈에 띄는 대목은 지난해부터 2025년까지 중국인들의 명품 소비 증가율은이 세계 성장 규모의 65%를 차지할 것이란 관측이다.

 

보고서는 1980년대 이후 출생한 중국 소비자들이 지난해 중국 내 명품 소비시장에서 79%의 비중을 차지했다. 이 가운데 1990년대 이후 출생 세대가 1천700만 위안을 지출해 부모 세대와 비슷한 수준을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소비 경로별로는 오프라인 채널이 지난해 전체의 92%를 차지했으며 오는 2025년에도 오프라인 비율이 88%로 여전히 압도적일 것으로 내다봤다.

 

보고서는 "중국의 젊은 소비자들은 명품을 일종의 사회적 자산으로 본다"며 "명품은 점차 세련돼 가고 있는 도시 소비자 집단 속에서 돋보이게 하는 수단인 동시에 공통의 사회적 경험·라이프 스타일로 들어가는 관문"이라고 설명했다.

 

맥킨지 한국 사무소의 김애미 시니어 파트너는 "새로운 브랜드를 사고자 하는 의도는 모든 세대에 걸쳐 일관되게 나타나지만 특히 1990년대 이후 출생한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획기적인 디지털 전략을 펼치는 브랜드가 시장 점유율을 확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