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소비자, 명품 소비 1150억달러...'25년엔 1800억달러로 전망'

다가오는 2025년엔 중국 소비자들의 명품 소비 규모가 연간 209조원을 기록하며 전세계 시장의 40%가량을 차지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특히 중국의 젊은 세대가 명품을 일종의 사회적 자산으로 인식하며, 명품산업의 성장을 주도해 산업 재편의 중심에 설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29일 글로벌 경영 컨설팅업체인 맥킨지가 발간한 '2019년 중국 럭셔리 시장 보고서'는 지난해 중국 소비자들이 국내외에서 명품 신발과 가방, 패션, 보석, 시계 등을 구입하는 데 쓴 돈으로 약 7천700억 위안(1천150억 달러·133조5천억 원)으로 바라봤다.

 

이는 전세계 명품 시장 규모(3천850억 달러)의 32%를 차지하는 것으로, 2012년 조사 때(19%)보다 점유율이 13%포인트나 상승해 나타났다.

 

중국 소비자의 명품 소비는 오는 2020년 9천210억 위안, 2025년에는 1조2천270억 위안(1천800억 달러·208조9천800억 원)으로 늘어나면서 전세계 시장의 40%를 차지할 것으로 보고서는 전망했다.

 

특히 눈에 띄는 대목은 지난해부터 2025년까지 중국인들의 명품 소비 증가율은이 세계 성장 규모의 65%를 차지할 것이란 관측이다.

 

보고서는 1980년대 이후 출생한 중국 소비자들이 지난해 중국 내 명품 소비시장에서 79%의 비중을 차지했다. 이 가운데 1990년대 이후 출생 세대가 1천700만 위안을 지출해 부모 세대와 비슷한 수준을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소비 경로별로는 오프라인 채널이 지난해 전체의 92%를 차지했으며 오는 2025년에도 오프라인 비율이 88%로 여전히 압도적일 것으로 내다봤다.

 

보고서는 "중국의 젊은 소비자들은 명품을 일종의 사회적 자산으로 본다"며 "명품은 점차 세련돼 가고 있는 도시 소비자 집단 속에서 돋보이게 하는 수단인 동시에 공통의 사회적 경험·라이프 스타일로 들어가는 관문"이라고 설명했다.

 

맥킨지 한국 사무소의 김애미 시니어 파트너는 "새로운 브랜드를 사고자 하는 의도는 모든 세대에 걸쳐 일관되게 나타나지만 특히 1990년대 이후 출생한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획기적인 디지털 전략을 펼치는 브랜드가 시장 점유율을 확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