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패션 거장 ‘샤넬 수석 디자이너’ 칼 라커펠트 별세

세계적 패션 디자이너 칼 라거펠트가 2월 19일, 향년 85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다수 외신 보도에 따르면 칼라거펠트의 사인은 췌장암으로 드러났다. 측근들만 알고 있을 정도로 병환을 숨겨왔지만 그는 지난 1월 파리에서 열린 샤넬 오트 쿠튀르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아 와병설에 휩싸였다. 이후 최근 몇 주 사이 급작스러운 건강 악화로 끝내 눈을 감았다. 그는 사망 직전까지도 이탈리아 밀라노 패션위크에 선보일 2019년 콜렉션을 준비했던 것으로 알려져 안타까움을 자아내고 있다.

 

 

1933년 독일 함부르크에서 태어난 칼 라거펠트는 14세 때 프랑스 파리로 건너와 피에르 발망에서 견습 디자이너로 패션계 일을 시작했다. 이후 파투, 클로에, 펜디 등에서 일한 칼 라거펠트는 1983년 샤넬에 합류하며 세계적인 명성을 쌓아고, 보수적인 파리 패션계에 현대적 감각을 가미하며 샤넬의 전성기를 열었다.

 

 

칼라거펠트 별세 소식에 칼라거펠트가 일했던 루이뷔통모에헤네시(LVMH) 그룹의 베르나르 아르노 회장은 "너무나 소중한 친구의 죽음에 무한한 슬픔을 느낀다"고 애통해했다. 샤넬은 인스타그램 공식 계정에 "칼 라거펠트 크리에이티브 디렉터의 죽음을 발표하게 된 건 깊은 슬픔"이라면서 "뛰어난 창의력을 지닌 칼 라거펠트는 가브리엘 샤넬이 만든 브랜드 코드를 재창조해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그(칼 라거펠트)는 ‘내 일은 그녀(가브리엘 샤넬)이 한 일이 아니라 그녀가 했을 일을 하는 것이다’라고 말하곤 했다"며 "그는 끝없는 상상력으로 사진과 단편 영화 등 많은 예술 세계를 탐험했다. 샤넬은 1987년부터 그의 재능 덕을 많이 봤다"고 덧붙였다.

 

 

한편, 샤넬은 라거펠트 후임으로 그와 함께 30여 년간 샤넬을 이끌었던 비르지니 비아르 부수석을 임명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