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시를 잊은 그대에게

 고단한 일상을 시 한편으로 위로 받는 사회초년생 이유비의 모습이 시청자들의 공감을 자아냈다. 

 <시를 잊은 그대에게>는 의사들이 주인공이었던 기존 병원드라마와는 달리 물리치료사, 방사선사 등 의사 외 보건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의료종사자들, 코메디컬 스태프(Comedical staff)의 이야기를 담은 드라마다. 소소하지만 공감 가득한 코메디컬 스태프들의 일상을 시()와 함께 경쾌한 웃음으로 버무렸다.  <시를 잊은 그대에게>공감된다는 반응을 얻으며 산뜻한 출발을 알렸다.

 

 

ⒸtvN

 

 

 공감의 원천은 연출과 대본이다. <막돼먹은 영애씨>를 연출한 한상재 PD<막돼먹은 영애씨>, <혼술남녀>를 집필한 명수현 작가가 의기투합했다. 특히 명수현 작가는 사회적 관심 밖에 있는 인간상들을 그려내며 호평받아왔다. <막돼먹은 영애씨>에서는 노처녀의 일상을 솔직하고 당당하게 묘사했고, <혼술남녀>에서는 칙칙한 노량진 고시촌의 인간다운 모습을 그려냈다.

 

 

 이번에는 코메디컬 스태프(Comedical staff). <시를 잊은 그대에게> 1회에서는 계약직 물리치료사 우보영(이유비 분)의 애환이 등장했다. 언제나 무시 받고 잡다한 일을 떠맡는 보영은 환자들에게 추천카드를 받아 친절 직원에 이름을 올리게 된다. 하지만 병원측은 계약직 직원은 친절 직원으로 뽑힌 전례가 없다. 정규직 중 다시 선정하겠다고 통보했다. 연출진은 짠한 보영의 모습을 통해 청년들의 모습을 현실적으로 그려내면서도 따뜻한 위로의 코드를 놓지 않았다. 이번에는 ()’. 좌절한 우보영은 도종환 시인의 <흔들리며 피는 꽃>을 읽으며 위로 받고, 이철환 시인의 <아픔과 슬픔도 길이 된다>를 읽으며 다시 한 번 일어설 용기를 냈다.

 

 

 배우들의 신선한 연기는 시청자들이 더욱 공감할 수 있게 만들었다. 특히 우보영 역을 맡은 이유비는 계약직의 짠한 일상을 담아내면서도 특유의 통통 튀는 매력을 발산해 시선을 사로잡았고, 나직하게 시를 읽는 목소리로 시청자들의 귀와 감성을 사로잡았다. 시청자들은 드디어 이유비 대표작 생기겠다는 반응을 보였다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