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이색 컬래버레이션 … 츄파춥스 운동화, 코카콜라 립스틱

  패션·뷰티 브랜드들과 친근한 식음료 브랜드 만남이 눈길을 끈다‘더 페이스샵’은 음료 브랜드 ‘코카콜라’와 손을 잡았고, 스포츠 브랜드 ‘휠라’(FILA)와 글로벌 롤리팝 브랜드 ‘츄파춥스’(Chupa Chups) 협업에 나섰다휠라는 츄파춥스와 협업한 휠라 X 츄파춥스 콜라보 컬렉션 한국중국홍콩 3개국에서 동시 출시했다. 이번 협업 컬렉션은 휠라 고유의 헤리티지와 스트리트 무드를 바탕으로 한 아이템들에 츄파춥스 특유의 컬러를 덧입혀 탄생시킨 스페셜 라인이다.

 

 


   휠라와 츄파춥스의 아이코닉 로고를 자유자재로 활용, 발랄하고 생동감 넘치는 분위기에 펀(fun) 요소 등을 디자인에 배치했다. 츄파춥스만의 톡톡 튀는 팝 컬러를 휠라 아이템에 투영해 발랄한 매력을 극대화한 것이 특징이다. 휠라 의류, 신발, 모자, 액세서리 등을 필두로 휠라 키즈, 휠라 언더웨어까지 휠라 패밀리 브랜드와 연계해 다양한 아이템을 선보였다.

 

    페이스샵은 코카콜라의 톡톡 튀는 청량감을 그대로 제품에 녹였다. 쿠션, 섀도우, 립스틱, 립틴트 등에 코카콜라의 선명한 컬러감을 표현했다. 아울러 코카콜라의 로고와 레드 컬러의 팝한 감성을 패키지에 적용해 소장가치를 높였다.

이번 컬래버래이션은 피지 잡는 수분 쿠션 오일 클리어 기름종이 팩트 비롯해 코크베어 틴트코카콜라 립스틱코카콜라 립틴트  제품 3종, 코카콜라 모노 아이즈  베이스 제품부터 색조 제품까지 다채롭게 구성됐다. 특히 립 3종은 비비드한 컬러감과 바를 때마다 기분이 좋아지는 달콤한 콜라 향을 느낄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코카콜라의 감성이 담긴 디자인도 눈길을 끈다. ‘코크베어 틴트’엔 콜라병을 들고 있는 코카콜라의 마스코트 ‘폴라베어’가 담긴 귀여운 스노우볼이 부착됐다. ‘코카콜라 립틴트’는 상쾌한 콜라처럼 수분감 있는 텍스처가 속은 촉촉하고 겉은 보송하게 마무리하는 제품이다틴트 팁을 스트라이프 빨대와 같은 디자인으로 위트있게 표현했다.

 

코카콜라 모노  아이즈는 콜라처럼 경쾌하고 스파클링한 느낌을 콜라 레드, 스파클 오렌지, 칠리 브라운 등의 컬러로 표현했다. 데일리 컬러부터 포인트 컬러까지 다양하게 구성돼 다채로운 아이 메이크업을 연출할 수 있다

 

 기사 = 손일연


 

 

 

 

 


사회

더보기
고장난 주차타워...도심 주차난의 주범으로 등장 눈길
‘고장난 주차타워, 이걸 어째?’ 중국에서 한 때 인기를 끌었던 주차타워가 최근 도심 주차난 해소는커녕 오히려 주차난을 가중시키고 있어 논란이다. 타워가 오래되면서 기계 고장으로 멈춰섰거나, 자동차 크기가 변하면서 주차장이 작동을 해도 실제 이용할 수 있는 차량이 크게 줄어든 탓이다. 중국 매체에 따르면 중국 각 도시에서 기계식 입체 주차타워는 공간을 절약하고 도시 내 주차공간을 보완하는 데 일정 역할을 했지만, 일부 장비는 실제 사용에서 제대로 활용되지도, 철거되지도 못해 차량을 세울 수 없는 ‘좀비 주차장’으로 전락했다. 기계식 주차타워는 본래 한정된 토지 위에서 최대한 많은 주차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등장했다. 그러나 보도에서 지적했듯이, 현실에서는 다수의 기계식 주차타워가 ‘좀비 주차장’이 되었고, 많은 운전자들이 통로에라도 주차하려 하지, 기계식 주차타워에 주차하려 하지 않는 상황이 벌어졌다. 이는 분명 자원의 큰 낭비다. 기계식 주차공간은 대개 내연기관 차량을 기준으로 설계됐지만, 현재의 신에너지차량들은 대체로 크고 무거워 차량 소유자들이 ‘주차공간’만 바라보며 한숨짓는 상황이 벌어졌다. 물론 많은 내연기관 차량 소유자들 또한 기계식 주차공간을 피할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