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양제츠 부총리 인선에서 탈락 눈길

해동의 20일 자 [오늘의 중국]입니다. 

국무원 부총리 한정, 쑨춘란, 후춘화, 류허 등.

 

리커창 중국 총리가 한정韩正, 쑨춘란孙春兰, 후춘화胡春华, 류허刘鹤 등 4명을 국무원 부총리에 지명, 모두 인선됐습니다. 
류허는 시진핑의 지낭으로 알려진 인물입니다. 금융 전반을 장악할 것으로 관측되고 있습니다.
왕이 王毅, 웨이펑허魏凤和, 자오커즈赵克志, 샤오제肖捷, 왕융王勇 등은 국무위원에 인선됐군요..

 

양제츠 의외로 부총리 인선 안돼 … 기능 외교 관료의 한계?

 

양제츠杨洁篪 국무위원이 부총리 인선에서 의외로 탈락했습니다. 양 위원은 번역가 출신으로 정통 기능 외교 관료로 꼽힙니다.
중국에서 이제 외교 방점이 번역 등의 기능보다 정책 전략 쪽에 무게가 실린다는 게 중화권 매체들의 분석입니다.

 

공청단파 후춘화 부총리에, 루하오는 자원부 부장으로 중앙 무대 복귀

 

시진핑 2기 과거 중국의 2대 세력이었던 태자당과 공청당은 거의 몰락 수준입니다.
그런데 
대표적인 공청단파였던 후춘화 광둥성 서기가 부총리가 됐고, 차세대 주자인 루하오陆昊 헤이룽장黑龙江성 성장이 국무원 자연자원부 부장으로 복귀했습니다.

 

미국통 리강 신임 중앙은행장에

 

미국과 무역전쟁이 시작되면서 더욱 주목을 받고 있는 중국 중앙은행인 런민人民은행 은행장에 리강李纲이 선출됐습니다.
대표적인 미국통으로 미국에 대응하는 전략으로 보인다는 게 서구 매체들의 분석입니다.

 

중국판 카카오톡 위쳇, 인도도 역시 보안 위험 지적해 눈길

 

중국판 카톡으로 우리에게도 잘 알려진 웨이신, 위쳇에 대한 보안 경고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호주 등에 이어 이번엔 인도 육군이 위쳇의 중국 당국에 의한 정보 유출 가능성을 경고했습니다.

 

북한, 중국에 1080만 달러 전력 수출

 

흔히 북한은 전력난에 시달리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실은 전력 수출국이었다고 월스트리트 저널이 19일 폭로했습니다.
신문이 2017년 북한과 중국의 전력 수출량을 분석한 결과, 2017년 북한은 중국에 1080만 달러, 약 115억 9920만 원 상당의 전력을 수출했습니다. 이는 2016년 260만 달러보다 3배 이상 크게 늘어난 수치입니다.

 

중국 첫 자국산 항모, 진수 준비 완료

 

중국의 첫 자국산 항모가 주변에 건조를 위해 설치됐던 장비들이 모두 철거돼 진수가 초읽기 들어갔다고 합니다.
정말 중국 잰걸음으로 아시아 최강의 해양 군사대국으로 거듭나고 있습니다.

 

글 = 박선호

          

          


사회

더보기
고장난 주차타워...도심 주차난의 주범으로 등장 눈길
‘고장난 주차타워, 이걸 어째?’ 중국에서 한 때 인기를 끌었던 주차타워가 최근 도심 주차난 해소는커녕 오히려 주차난을 가중시키고 있어 논란이다. 타워가 오래되면서 기계 고장으로 멈춰섰거나, 자동차 크기가 변하면서 주차장이 작동을 해도 실제 이용할 수 있는 차량이 크게 줄어든 탓이다. 중국 매체에 따르면 중국 각 도시에서 기계식 입체 주차타워는 공간을 절약하고 도시 내 주차공간을 보완하는 데 일정 역할을 했지만, 일부 장비는 실제 사용에서 제대로 활용되지도, 철거되지도 못해 차량을 세울 수 없는 ‘좀비 주차장’으로 전락했다. 기계식 주차타워는 본래 한정된 토지 위에서 최대한 많은 주차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등장했다. 그러나 보도에서 지적했듯이, 현실에서는 다수의 기계식 주차타워가 ‘좀비 주차장’이 되었고, 많은 운전자들이 통로에라도 주차하려 하지, 기계식 주차타워에 주차하려 하지 않는 상황이 벌어졌다. 이는 분명 자원의 큰 낭비다. 기계식 주차공간은 대개 내연기관 차량을 기준으로 설계됐지만, 현재의 신에너지차량들은 대체로 크고 무거워 차량 소유자들이 ‘주차공간’만 바라보며 한숨짓는 상황이 벌어졌다. 물론 많은 내연기관 차량 소유자들 또한 기계식 주차공간을 피할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